전체 글 6265

단죄 받지 않은 채…이집트 옛 독재자 무바라크 사망

이집트를 30년 동안 철권통치했던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25일 사망했다. AP통신은 이집트 국영TV 보도를 인용해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91세로 세상을 떠났다고 보도했다. 공군 장성 출신인 무바라크는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 시절 부통령을 지내다가, 사다트 대통령이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게 암살당하자 1981년 자리를 이어받았다. 그후 30년 간 장기 집권을 하다가 2011년 ‘아랍의 봄’ 혁명으로 쫓겨났다. 무바라크 집권 기간 이집트는 사다트 시절에 탈퇴했던 아랍연맹에 복귀하고 사우디아라비아와 화해하는 등 ‘아랍 회귀’를 추진하면서 중동의 외교 맹주로 부상했다. 유엔 사무총장, 아랍연맹 사무총장,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을 모두 배출하면서 국제적 위상을 과시하기도 했다. 사다트가 쫓아낸 야세..

UAE "이란 항공편 막는다" 코로나19 '축소 의혹' 이란, 빗장 닫아거는 중동

세계보건기구(WHO)는 24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팬데믹(세계적인 대유행)으로 보기엔 이르다면서도 “팬데믹이 되는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현재 코로나19 감염자가 발생한 나라는 35개국이고 감염자 수는 8만 명을 넘어섰다. 그 중 세계가 주시하는 곳은 한국, 이탈리아, 이란의 감염자 폭발이다. 한국의 비밀스런 종교집단 ‘신천지’에 대한 해외 언론 기사들이 줄줄이 나온다. 하지만 그 못지않게 큰 의문과 우려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감염 경로조차 알 수 없는 이탈리아와 이란 상황이다. 특히 이란은 이날 현재 코로나19 사망자가 중국 다음으로 많다. 문제는 감염자 수다. 19일 첫 감염자가 나온 이래, 이제까지 정부가 밝힌 공식 확진자 수는 95명뿐이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한국은 ..

멈춰선 밀라노, ‘오리무중’ 이탈리아 코로나19…“글로벌화의 게임체인저”

이탈리아의 상업 중심지이자 ‘패션의 수도’로 불리는 밀라노. 관광객들이 몰리던 두오모 대성당과 라스칼라 오페라극장은 25일(현지시간) 문이 닫혔고 은행과 가게들도 셔터를 내렸다. 한창 붐벼야 할 식당과 술집들, 상점들 모두 문을 닫거나 한산하다. 기업들과 은행들, 패션업체 조르조 아르마니도 직원들에게 재택근무를 지시했다. 현지 언론 코리에레델라세라는 “밀라노는 정지 상태에 들어간 것 같다”고 표현했다. 밀라노가 있는 북부 롬바르디주가 코로나19 확산지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내 감염자 수는 이날 270명에 이르렀으며 누적 사망자는 7명이다. 감염자 절반 이상이 롬바르디주에서 나왔다. 주 내 도시 11곳은 봉쇄 중이다. 정부는 지진 피해에 준해 감세 등 경제적 지원을 해주겠다고 약속했다. 밀라노는..

[월드피플]트럼프 '경제 오른팔' 나바로, "중국이 WHO 망쳤다"

“중국이 세계보건기구(WHO)를 장악해 망쳐놨다.” “중국이 마스크 만드는 미국 회사 공장을 국유화해버렸다.” “위기 시에 동맹은 없다. 다행히 트럼프 대통령 덕에 미국 경제는 튼튼하다.” 피터 나바로 미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이 중국을 향한 공격을 쏟아냈다.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WHO의 대응이 지나치게 ‘친중국적’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WHO가 제 기능을 못하는 것은 중국 탓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해외로 나간 부품 등 생산 공급망을 다시 미국 내로 옮겨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나바로 국장은 23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다음달 열리는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사무총장 선거를 거론하면서 중국을 향해 포문을 열었다. 이 기구에서 중국이 사무총장에 중국인..

[라운드업]이란·이탈리아도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세계 확산 우려

이란, 이탈리아에서도 코로나19 사망자가 다시 나왔다. 중국을 포함해 사망자가 나온 나라는 현재까지 모두 8개국이다. 중국 이외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전파가 제한돼 있었던 감염증이 세계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란 사망자 늘자 중동 긴장 이란 국영방송은 23일 코로나19 감염자 2명이 더 사망해, 이날까지 사망자가 총 8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이슬람 성지 곰(Qom)을 중심으로 확진자도 추가돼, 전체 확진자는 43명에 이른다. 보건부는 이외에도 785명이 의심 증상을 보여 검사 중이라고 밝혔다. 사이드 나마키 보건장관은 “조사결과 19일 곰에서 처음 사망한 환자는 무역을 하기 위해 중국에 출장 다녀온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란에서는 전날도 2명이 숨졌다. 사망자 ..

터키계 주민 즐겨 찾는 독일 술집서 ‘외국인 혐오’ 총기난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부근 헤센주 소도시 하나우의 술집 두 곳에서 총기난사 사건이 일어나 최소 9명이 숨졌다. 공격당한 술집들이 터키계 주민들이 즐겨 찾는 곳인 데다 숨진 용의자가 남긴 편지 등에서 “특정 민족들을 제거한다” 등 외국인 혐오 등의 발언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독일 수사당국은 극우 범죄 가능성을 거론했으며, 테러 사건으로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지 일간 빌트와 AP통신 등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오후 10시쯤 프랑크푸르트에서 20여km 떨어진 하나우의 상점 두 곳에 차량을 타고 온 괴한이 들이닥쳐 총기를 난사했다. 목표가 된 상점들은 ‘후카 라운지’ 또는 ‘시샤바’라고 불리는 곳들로, 중동식 물담배를 피우는 바들이다. 처음 공격을 받은 곳은 시내 중심가인 호이마르크트 거리의 시샤바였다..

랜싯 "코로나19, 사스·메르스와 비슷한 치명적 폐손상 확인"

코로나19의 병리학적 특성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등 이전의 두 차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매우 유사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의 치사율은 2%대로 알려져 있으나, 그보다 치사율이 훨씬 높았던 사스나 메르스 때와 비슷한 치명적인 폐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의학전문지 랜싯은 18일 코로나19에 감염돼 지난달 숨진 한 환자의 폐조직 생검(생체 조직 일부를 떼어내 질병 유무와 특징을 확인하는 검사) 결과를 담은 중국 연구자들의 논문을 실었다. 연구자들은 지난달 감염증에 걸려 결국 사망한 50대 남성의 폐조직을 검사한 결과 사스나 메르스 환자에게서 나타난 것과 같은 손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랜싯]코로나19에 따른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사망사례 연구 이 남..

[구정은의 '수상한 GPS']위기의 시진핑, ‘즈장신쥔’이 막아줄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02년부터 5년 동안 저장성 공산당 서기를 맡았을 때 현지 신문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썼고, 이를 묶어서 ‘즈장신위(之江新語)’라는 책을 썼다. 즈장은 저장성을 흐르는 첸탕장(錢塘江)의 별칭이다. ‘즈장신위’는 남부 경제중심지 중 하나인 저장성을 맡은 시진핑의 철학과 사상을 담은 책으로 꼽혔고, 거기 동의하며 시진핑에게 충성하는 일군의 당 관료들이 생겨났다. 홍콩 언론인 마하오량(馬浩亮)이 이 그룹에 시진핑 저서를 따서 ‘즈장신쥔(之江新軍)’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여기에 시 주석의 상하이·칭화대 인맥을 합친 것이 시자쥔(習家軍)이라 불리는 측근 그룹이다. 시진핑 키즈, ‘즈장신쥔’ 장쩌민 전 국가주석 계열의 상하이방이나 당 고위간부 2세들인 ‘태자당’ 같은 세력과 달리, 즈장신쥔..

중 허난성 신현, "최장 21일 자가격리"…코로나19 잠복기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잠복기간은 며칠일까. 중국 허난(河南)성의 한 지역이 코로나19의 자가격리 기간을 14일에서 21일로 연장했다. 전염 경로가 확실하지 않은 확진사례 가운데, 통상적인 잠복기간으로 보이는 14일보다 더 긴 시간이 지난 뒤에 증상을 보인 사례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환구시보는 17일 허난성 신현(新縣) 보건당국이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했거나 접촉한 것으로 의심되는 이들의 자가격리 기간을 14일에서 21일로 일주일 연장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이 지역에 사는 우(吳)씨라는 사람은 지난달 14일 후베이성 우한을 방문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동안 친지들과 두 차례 식사를 했는데, 함께 식사한 10명 중 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3명은 의심 증상이 나타났다. 정작 우씨는 고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