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인샤알라, 중동이슬람 827

[라운드업] 연표로 보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중동 지정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중동 불안정의 '원죄' 격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입니다. 통칭 '중동분쟁'이라 하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가리키죠. 사실상 이스라엘이 서방의 지원을 등에 업고 일방적으로 팔레스타인인들을 쫓아내고 때리고 죽이는 것이니 '분쟁'이라는 표현이 적절한지조차 의심스러울 때가 많습니다만. 그간의 일들을 연대 순으로 살펴봅니다. 열강에 의해 결정된 '유대국가 수립' 1917 발단은 영국의 이른바 '밸푸어 선언'이었습니다. 당시 팔레스타인 땅에는 당연히 팔레스타인 사람들(!) 즉 아랍계 주민들이 살고 있었습니다만, 영국은 자기네가 점령하고 있던 이 땅에 유대인들의 국가를 세우게 해주겠다고 유대인들과 약속을 합니다. (이미 19세기 후반부터 러시아 등 동유럽에 거주하던 유..

[Q&A] 한국 선박 나포한 이란

-한국 선박이 이란에 나포됐습니다. 지난 4일, 사우디아라비아를 떠나 아랍에미리트연합(UAE)으로 향하던 한국 국적 유조선 '한국케미'가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됐습니다. 이란 언론 보도와 이란 정부의 입장을 종합하면, 유조선이 환경 오염을 일으켜서 붙잡았다고 합니다. 나포된 선원들은 한국인, 인도네시아인, 베트남인, 미얀마인 등 20명이고 이란 남부 항구도시인 반다르압바스에 구금돼 있다고 합니다. 이란 측은 이 선박이 ‘반복적으로 환경 규제를 위반했다’고 밝혔으나 선사인 디엠쉬핑 쪽에서는 “이란 혁명수비대에 끌려간 지점은 이란 영해가 아닌 공해인데다 환경오염은 일으키지 않았다”고 반박했습니다. -작년 1월에 이란 혁명수비대 사령관을 미군이 이라크에서 살해했지요. 호르무즈 해협의 긴장 높아지고 한국군 청해..

[사진으로 본 세계]이집트 피라미드에 새겨진 "집에 있으라"

이집트 피라미드에 “집에 안전히 있으라”는 코로나19 안전메시지가 빛으로 새겨졌다. 이집트투데이 등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30일(현지시간) 카이로 근교 기자(Giza)의 대(大)피라미드에 코로나19 위기를 겪고 있는 세계에 보내는 연대의 메시지와 이동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는 글이 레이저로 표시됐다. 이집트 문화유물부가 주관한 특별 레이저쇼다. 어둠 속에 대피라미드는 빨간 불빛으로 물들었고, “집에 머물러라” “우리를 안전히 지켜주는 이들에게 감사를 보낸다”는 등의 글귀가 영어와 아랍어로 쓰여졌다. 대피라미드는 기원전 2500년대 파라오 쿠푸 시절에 지어졌으며 현재 이집트에 남아 있는 피라미드들 중에서 가장 크다. 세계인들이 찾는 명소이지만 피라미드와 스핑크스조차 코로나19 때문에 지난 23일부터 관람이 ..

단죄 받지 않은 채…이집트 옛 독재자 무바라크 사망

이집트를 30년 동안 철권통치했던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25일 사망했다. AP통신은 이집트 국영TV 보도를 인용해 무바라크 전 대통령이 91세로 세상을 떠났다고 보도했다. 공군 장성 출신인 무바라크는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 시절 부통령을 지내다가, 사다트 대통령이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게 암살당하자 1981년 자리를 이어받았다. 그후 30년 간 장기 집권을 하다가 2011년 ‘아랍의 봄’ 혁명으로 쫓겨났다. 무바라크 집권 기간 이집트는 사다트 시절에 탈퇴했던 아랍연맹에 복귀하고 사우디아라비아와 화해하는 등 ‘아랍 회귀’를 추진하면서 중동의 외교 맹주로 부상했다. 유엔 사무총장, 아랍연맹 사무총장,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을 모두 배출하면서 국제적 위상을 과시하기도 했다. 사다트가 쫓아낸 야세..

UAE "이란 항공편 막는다" 코로나19 '축소 의혹' 이란, 빗장 닫아거는 중동

세계보건기구(WHO)는 24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팬데믹(세계적인 대유행)으로 보기엔 이르다면서도 “팬데믹이 되는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현재 코로나19 감염자가 발생한 나라는 35개국이고 감염자 수는 8만 명을 넘어섰다. 그 중 세계가 주시하는 곳은 한국, 이탈리아, 이란의 감염자 폭발이다. 한국의 비밀스런 종교집단 ‘신천지’에 대한 해외 언론 기사들이 줄줄이 나온다. 하지만 그 못지않게 큰 의문과 우려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감염 경로조차 알 수 없는 이탈리아와 이란 상황이다. 특히 이란은 이날 현재 코로나19 사망자가 중국 다음으로 많다. 문제는 감염자 수다. 19일 첫 감염자가 나온 이래, 이제까지 정부가 밝힌 공식 확진자 수는 95명뿐이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한국은 ..

미국의 이란 솔레이마니 살해작전, 이스라엘이 정보 줬다

미국이 가셈 솔레이마니 전 이란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을 살해하는 과정에 이스라엘이 개입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NBC방송과 타임스오브이스라엘 등 이스라엘 언론들은 12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지난 3일 이라크 바그다드 국제공항에서 솔레이마니를 드론으로 공격해 살해할 때 이스라엘 정보기관들이 도왔다고 보도했다. 공격 당일 솔레이마니가 시리아 다마스쿠스에서 바그다드로 이동할 때 이용한 항공편을 시리아에 있는 정보원이 미 중앙정보국(CIA)에 알려줬고, CIA는 이스라엘 정보기관을 통해 이 사실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NBC는 이스라엘 측이 내준 정보가 솔레이마니 살해 작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보도했다. 솔레이마니를 태운 항공기를 확인한 만큼, 비행기가 바그다드에 착륙한 뒤 미국 측이 드론을 이용해..

[뉴스 깊이보기] "하메네이는 살인자"...여객기 격추 뒤 터져나온 이란 반정부 구호

이란의 대학생들이 테헤란 시내에 나와 혁명수비대 등 군부와 정부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가셈 솔레이마니의 피살과 이란의 이라크 미군기지 미사일 공격, 그 가운데 벌어진 우크라이나 여객기 격추 사건 등이 잇달아 벌어지면서 이란을 둘러싼 중동 정국이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격동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프레스TV 등 이란 언론들은 테헤란의 몇몇 대학에 11일(현지시간) 학생들이 모여 미사일 격추로 숨진 우크라이나 여객기 희생자 176명을 추모하는 집회를 열었다고 보도했다. 이 방송은 테헤란대학과 아미르카비르대학, 샤리프대학 등에 학생들이 모여 촛불을 켜고 이번 사건으로 숨진 이란계 캐나다인 등을 추모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CNN 등 미국 언론들은 여객기 격추 사실을 당국이 인정한 뒤 옛 미국대사관과 가까..

[뉴스 깊이보기]미-이란 전면전 가능성은 낮지만...곳곳 '대리 충돌' 예고

미국이 이라크에서 이란의 유력 군 장성 가셈 솔레이마니를 드론으로 공습해 표적살해한 뒤 중동 분위기가 심상찮다.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에서 4일(현지시간) 열린 솔레이마니의 장례식에는 수만 명이 운집했고, 테헤란의 입김에 반발해온 이라크의 ‘반이란 감정’은 솔레이마니 살해 이후 ‘반미 정서’에 자리를 내줬다. 레바논 베이루트에도 솔레이마니의 대형 사진들이 걸렸고, 이라크·레바논·팔레스타인의 무장조직들은 일제히 미국 규탄에 나섰다. 이란은 보복을 다짐했다. 최대 관심사는 중동의 전운이 실제 포연으로 이어질 것인지다. 현재로 봐서 중동이 이라크전과 시리아 내전에 이은 ‘세 번째 전쟁’으로 치달을 가능성은 낮다. 미국도, 이란도 그렇게까지 몰고 갈 의지와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솔레이마니는 이란 혁명수비대 안에..

이란, 포르도 지하핵시설 결국 가동…핵합의 '파기'로 가나

미국이 핵합의를 폐기한데 맞서 이란도 대응 수위를 갈수록 높이고 있다. 이란이 ‘핵합의 이행 수준을 축소하는 4단계 조치’로 테헤란 남쪽 포르도의 지하 핵시설에서 우라늄 농축을 재개했다. 이란 원자력청이 포르도 핵시설에서 7일 0시(현지시간)부터 우라늄 농축을 재개했다고 국영 IRNA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틀 전 하산 로하니 대통령이 핵합의 이행 수준을 낮추는 네 번째 조치로 포르도 시설을 재가동한다고 발표했고, 유럽 등의 우려 속에서도 예고대로 우라늄 농축을 재개한 것이다. 원자력청은 전날 중부 나탄즈 핵시설에 있던 육불화우라늄 2000kg을 포르도로 옮겼다고 밝혔다. 원자력청은 가스 주입 과정을 국제원자력기구(IAEA) 점검단이 감독했다고 설명했다. 2015년의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미국 '핵합의 탈퇴' 맞서 '지하핵시설' 가동 나선 이란

이란이 포르도의 지하 핵시설에서 우라늄 농축을 재개할 채비를 하고 있다. 미국이 일방적으로 핵합의를 깨자 이에 맞서 이란도 핵합의 이행 수준을 낮추고 있는 것이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생방송 연설에서 “내일부터 포르도 농축시설의 원심분리기에 우라늄 기체를 주입하라고 원자력청에 지시했다”며 “미국이 핵합의에서 탈퇴하고 유럽도 합의를 지키지 않는 것에 대응해 (이란의) 이행 수준을 낮추는 4단계 조치”라고 밝혔다. 로하니 대통령은 테헤란 남쪽 포르도 농축시설의 원심분리기에 육불화우라늄(UF6)을 주입하라는 지시를 내렸으나, 농축을 재개할 것인지는 확실히 언급하지 않았다고 프레스TV 등 현지 언론들은 보도했다.. 농축 준비를 갖추고 미국과 유럽에 경고장을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포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