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68

아프간 카르자이 재선 확정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2일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을 깜짝 방문,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며 대통령궁으로 들어가고 있다. 카불|로이터연합뉴스 부정선거 논란에 시달리던 아프가니스탄의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이 미국 등 국제사회의 지원 덕에 간신히 재선을 확정지었다. 아프간 독립선거관리위원회(IEC)는 2일 대선 결선투표를 취소하고 카르자이의 재선을 확정지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부정선거 논란을 제기해온 야당 후보 압둘라 압둘라는 오는 7일 치러질 예정이던 결선투표에 불참하겠다고 전날 발표했었다. 아지줄라 로딘 선관위원장은 “압둘라의 불참에 따라 결선투표를 취소하고 카르자이를 최종 당선자로 확정지었다”고 선언했다. 이날 카불을 깜짝 방문, 카르자이와 회담하고 압둘라와도 만난 ..

세계 신종플루 사망자 현황(11/1 현재)

Pandemic (H1N1) 2009 by country Summary of official reports.‡‡ 국가 Indicators Cases Deaths 전파 속도 공식확인 공식확인 ECDC 집계 6,051 총계 930,369 6,789 미국 W + ** mod (66,216) 1,451 브라질 R - * low (35,457) 1,403 아르헨티나 W - low (10,209) 593 인도 W = * mod 13,908 473 멕시코 W + ** mod 52,067 354 호주 W - 37,039 187 태국 R - * mod 28,057 182 페루 W - * low 8,724 162 영국 W + * (18,623) 140 칠레 W = * low 12,257 136 콜롬비아 W + * low ..

[캄보디아]절에서 먹은 밥, 소박한 그 마음 때문에

오래도록 우려먹고 있는 캄보디아.... 캄보디아에서 본 조각들이다. 바욘 사원, 낚시질하고 장사하는 사람들 인상적인 얼굴.. 거대한 얼굴... 그걸 그리는 남자 반떼이스레이의 정교한 조각.. 위는 선한 모습, 아래는 악한 모습이라는데 어째 반대로 보인다 앙코르 와트, 불사의 영약을 끄집어내기 위해 '젖의 바다'를 젓는 신들 * 그런데 내가 가장 감동했던 곳은 여기였다. 시엠립 시내에 있는 왓쁘레아 쁘롬라트라는 절이다. 일단 맛난 절밥(여긴 채식이 아니었다)을 대접받은 탓도 있지만. 붓다의 일생을 죽 둘러선 담벼락 안쪽에 일화별로 나누어 그려놓았다. 촌스럽다. 이발소 그림도 요샌 이 수준은 아닐거다. 너무 화려하다 못해 번쩍번쩍 눈이 부시다. 온통 빨갛고 파랗고... 미니멀리즘, 모던한 거, 세련된 거 좋..

후배에게 한 부탁

나이 들어 누군가에게 짐 되고, 세상 달라지는 것 모르며 자기 고집만 부리고, 결국 나잇값도 못한다는 소리나 듣고, 그러면서도 남들이 제 얘기 어떻게 하는지도 모른 채, 눈치코치 없이 걸림돌 되면서 살아서는 안 되겠지. 나이들어가는 것이 점점 두려운데, 가장 큰 두려움은 앞가림 못해서 자식에게 짐 되는 것이다. 하지만 그 못잖게 걱정되는 것이 직장에서의 일이다.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밥값이고, 그 못잖게 나잇값도 해야 하는데 후배들에게 짐되면서 '저만 모르고' 있으면 어쩌나 싶은 생각이 든다. 그런 사람들이 많이 보이는데 정작 그들은 모른다. 어느 새 직장에서 내 나이는 아랫사람보다는 윗사람들에게 가까운 쪽으로 가고 있다. 나도 내가 그런 사람이 될지 안될지 장담할 수 없으므로, 그리고 혼자만 짐되..

한국군 파병한다는데... 아프간 상황은 '최악'

아프가니스탄의 최근 전황과 치안 상황은 매우 좋지 않다. 전쟁이 시작된지 8년이 지났지만 탈레반·알카에다를 소탕하기는커녕 오히려 파키스탄 쪽으로까지 전선이 넓어지면서 최악의 국면을 맞고 있다. 미국 정보기관들과 싱크탱크들의 평가에 따르면 탈레반은 이미 아프간 국토의 70% 이상을 다시 수중에 넣었다. 탈레반은 미군이 2001년 10월 전쟁을 일으키자마자 공습을 피해 도주했다. 그러나 잘 알려진대로 탈레반 정권을 이끌었던 지도자 물라 무하마드 오마르는 아프간-파키스탄 접경지대에서 지금도 탈레반군을 지휘하고 있다. 지난 9월에는 9·11 테러 8주년을 맞아 미군의 철군을 요구하는 성명을 내며 건재를 과시했다. 미군은 개전 이후 3년 동안 공습 위주로 ‘성공적인’ 작전을 벌여왔다. 하지만 2005년을 지나면서..

20년 뒤에 다시 만난 베를린의 세 주역들

“우리 독일인들의 역사에 별로 자랑할만한 일이 많지는 않지만 20년전의 통일만큼은 자랑스러워할 이유가 충분하다.” 동·서독을 갈랐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지 오는 9일로 20주년이 된다. 당시 냉전 종식을 이끌어 낸 ‘세기의 지도자’ 세 명이 지난 30일 베를린에서 만나 20년 전의 극적인 사건을 회고했다. 당시 미국 대통령으로서 냉전이 끝난 이후 세계의 ‘관리자’ 역할을 맡았던 조지 H 부시 전대통령(85), 공산권 개혁을 통해 냉전의 종식을 이끌어낸 미하일 고르바초프 옛소련 대통령(78), 서독의 마지막 국가수반이자 통일 독일의 첫 수반이 됐던 헬무트 콜 전 독일연방총리(79)가 그들이다. 베를린 장벽이 있던 곳 바로 부근에 위치한 프리드리히슈타트의 팔라스트 극장에서 이날 열린 기념식에 참석한 세 사람..

신종플루

사망자 숫자가 갈수록 늘어가고 있다. 벌써 비공식 집계 6300명이 넘어섰다(신뢰도가 낮아서 비공식집계라는 것이 아니라, WHO의 공식 집계는 일주일 정도의 시간차를 두고 나오기 때문에 너무 느린 감이 있어서-신종플루 사망자는 요즘 하루가 다르게 늘고 있으므로- 각국 집계치를 모은 위키피디아 자료를 인용한 것이다). 신종플루는 바야흐로 팬데믹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방금전 뜬 소식. 영국에서 일주일새 10만명이 감염됐다고 한다. 이대로라면, '북반구 겨울 위기설'이 그대로 현실화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아시아에서도 감염이 본격화되고 있고... 지금까지와는 질적으로 다른 단계로 가고 있는 것 같은 불안감도 든다. 치사율에 대한 분석을 면밀하게 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WHO가 '6단계' 경..

이란, 핵합의안 '최종 입장' 통보

이란이 서방과의 핵협상 합의안에 대한 ‘최종 입장’을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29일 통보했다. 5년여 동안 계속돼온 핵협상이 결실을 맺을 지 주목된다. 알리 아스가르 솔타니에 IAEA 주재 이란 대사는 이날 모하마드 엘바라데이 IAEA 사무총장에게 핵협상 합의안에 대한 이란 정부의 최종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솔타니에 대사는 최종 입장의 내용이 무엇인지는 말하지 않았으나 “테헤란의 연구용 원자로 가동에 필요한 핵연료를 어떻게 공급받을지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로 논의를 계속할 것”이라 말했다고 이란 ISNA통신이 전했다.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은 29일 국영TV에 나와 “이제는 (합의의) 조건이 성숙됐다고 본다”고 말해 기대감을 높였다. IAEA도 이란의 입장을 전달받았음을 공식 확인했다. ..

미 GDP 1년반만에 플러스 성장

미국의 3·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지난해 2·4분기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미 상무부는 3·4분기 경제성장률이 3.5%를 기록했다고 29일 공식 발표했다. 앞서 경제전문가들이 예측했던 3.0~3.2%보다 더 높은 수치다. 미국의 GDP 성장률은 지난 1·4분기에 마이너스 6.4%에서 2·4분에는 마이너스 0.7%로 올라갔다. 기업들의 3·4분기 실적 악화 때문에 내림세로 출발했던 유럽 증시는 미국 GDP성장률 덕에 오름세로 반전됐고, 뉴욕증시도 개장과 함께 활기찬 출발을 보였다. 상무부는 전날에는 9월 내구재 주문실적이 전월대비 1.0% 늘어나 1년반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고 발표했었다. 최근 줄줄이 발표된 대기업들의 실적이 몹시 저조한 것으로 보아 아직 실물경제가 본격 회복세에..

대만판 '쇠고기 파동'

대만 정부가 최근 미국산 쇠뼈와 내장 등을 수입하기로 결정하자 광우병 감염을 우려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마잉주 총통은 항의를 피하기 위해 “검역기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으나 ‘대만판 광우병 쇠고기 파동’이 일어날 조짐이다. 마 총통은 29일 미국산 쇠뼈와 내장 수입금지를 해제한 데 대한 항의시위가 잇따르자 “안전기준을 강화해 광우병 우려가 없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하지만 각료회의 직전 정부청사 앞에는 100여명이 모여 수입금지 해제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대만 위생서(보건부)는 지난 23일 6년간 계속돼온 미국산 쇠고기 부분 수입금지조치를 해제, 뼈에 붙어있는 쇠고기와 내장, 다진고기 등도 들여오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30개월 이하 소에서 생산된 고기와 내장 등만 들여오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