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루이자와, 단풍 닛코에 이어, 일본에서 마음에 드는 곳 발견. 나가노 현의 카루이자와. 추웠다. 도쿄와는 비교가 안 되게... 차가운 산 공기. 온통 숲속의 별장지이고 그 사이사이로 길이 나 있다. 낙엽 깔린 길들이 너무 좋았다. 그런데 사진은 별로 못 찍어서... ㅎㅎㅎ 저 길은 아필이면 -_- 낙엽 안 깔린 길... 1박2일 보내면서 두 번이나 들렀던 'Magnolia'라는 카페. 사진에 집중하고 있는 요니. 이런 얘기 저런 얘기/딸기의 하루하루 2011.11.15
우드로 윌슨의 '14개 조항' 우드로 윌슨(Thomas Woodrow Wilson. 1856-1924)은 미국 28대 대통령(1913-1921 재임)이자 프린스턴 대학 총장을 지낸 학자이고, 또 교육자이기도 했습니다. 학교 다닐 때 국사 교과서에서 윌슨의 이름을 처음 봤습니다. 윌슨은 한국 학생들에게는 1919년 3.1 운동과 짝을 이뤄 등장하는 이름이죠. 윌슨의 이른바 14개 조항, '민족자결주의'가 3.1운동에 영향을 미쳤고, 3.1운동은 다시 중국의 5.4운동을 촉발시켰다...라는 것이었습니다. 윌슨의 14개 조항, 1차 대전 후 체제의 '이상'을 담다 윌슨은 1918년 1월 8일 미 의회 상하원 양원 합동회의에 참석해 1차 대전(1914-1918)을 끝낼 ‘강화(講和) 조건’에 대한 구상을 밝혔습니다. 이 연설에서 밝힌 14개.. 내맘대로 세계사 2011.11.09
아일랜드자유국과 에이레의 독립 오늘부터 딸기 맘대로 고른 '현대사의 장면들'이라는 연재(?)를 시작합니다. 캬캬. 오늘 가볼 곳은... 아일랜드! 아일랜드자유국이라는 나라가 있었습니다. 영어로는 Irish Free State, 아일랜드어로는 Saorstat Eireann. (아일랜드어(켈트어? 게일어?)는 언제 보아도 신기합니다. 한때 켈틱음악에 빠져 지내던 기억이 새록새록...) 아일랜드자유국- 이름도 생소한 이 나라는, 영국과 아일랜드 간 협정에 따라 1922년 탄생한 국가랍니다. 아일랜드인들은 1800년에 채택된 영국-아일랜드 연합법(Act of Union of 1800)에 따라 영국에 자치권을 요구하는 아일랜드자치운동(Irish Home Rule Movement)을 벌였으며 1886년, 1893년, 1914년, 1920년 네 .. 내맘대로 세계사 2011.11.07
그리스 '긴축안 국민투표로 결정' 그리스가 긴축재정안을 국민투표에 부친다고 하네요.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 총리가 유럽연합이 제안한 2차 구제금융안을 국민투표에 부쳐 찬반을 정하겠다는 입장을 1일 발표했습니다. 문제의 구제금융안은 유럽연합(EU)과 국제통화기금(IMF)·유럽중앙은행(ECB)이 지난주에 간신히 합의를 봐서 내놓은 겁니다.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몰려 있는 그리스에 1000억 유로(약 154조원)을 지원해주되, 그리스 정부가 허리띠를 완전히 졸라매게끔 하는 내용의 구제금융안입니다. 우리도 1990년대 말 IMF 구제금융을 받았을 때 생각하면 상상할 수 있을 것 같군요. 정부가 경기부양을 못하고, 공공부문을 일제히 구조조정하면서 외국 자본에 매각하고, 복지혜택은 왕창 축소하게 되겠죠. 국민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여론조사에.. 딸기가 보는 세상/유럽이라는 곳 2011.11.02
미국은 여전히 독재자들 편 튀니지의 지네 벤 알리, 이집트의 호스니 무바라크... 지금은 쫓겨났지만 과거 미국의 지원을 등에 업고 독재권력을 휘두르던 사람들이죠. 얼마전 사망한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도 미국과 겉으로는 앙숙이었지만 물밑에서 거래하던 인물이었고요. 예멘의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은 최근까지도 미국의 대테러전에 협력하면서 미국의 경제원조와 군사적 지원을 받았는데요. 미국이 입으로는 민주주의의 수호자인 척하지만 뒤에서 독재정권을 지원해준 예는 너무나 많습니다. 심지어 ‘아랍의 봄’으로 중동·북아프리카 군사독재정권들이 타격을 입은 뒤에도 미국은 여전히 여러 곳에서 독재자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미국 외교잡지 포린폴리시는 미국의 지원을 받는 8곳의 독재정권에 대한 기사를 실었습니다. America's Unsavory Al.. 딸기가 보는 세상/아메리카vs아메리카 2011.11.01
사우디 새 왕세제... '노인천하'네.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라 국왕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압둘라 국왕의 이복동생인 나이프 빈 압둘아지즈 내무장관이 책봉됐습니다. 지난 22일 술탄 전 왕세제가 지병으로 숨지면서 다음번 계승자가 공석이 됐고, 그 자리를 나이프 왕자가 메우게 된 겁니다. 술탄 전 왕세제가 맡고 있던 제1부총리직도 함께 이어받았습니다. 내무장관을 계속 할 것이기 때문에, 내무장관 겸 제1부총리 겸 왕세제가 되는 거지요. 세계 최대 산유국 사우디의 차기 국왕이 될 나이프(Nayef bin Abdul Aziz Al Saud)... 나예프라고도 하고 나이프(Naif)라고도 하는데요. 1933년생입니다. 어릴 적에는 울라마라고 하는 이슬람 공동체에서 이슬람 지도자들로부터 전통 교육을 받았고요. 1953년에 리야드 주지사가 됐는데 이듬해 바.. 딸기가 보는 세상/인샤알라, 중동이슬람 2011.10.28
인구 70억명 시대, '지구여 행동하라!' 세계 인구가 곧 70억명으로 늘어난다고 합니다. 유엔인구기금(UNFPA)이 26일 ‘2011 세계인구현황’이라는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31일에 지구상 70억명 째 아기가 태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60억번째 아기가 태어났다고 했을 때가 생각나는데요. 1999년 보스니아를 방문했던 코피 아난 당시 유엔 사무총장이 60억번째 아기에게 축하해주는 모습이 보도됐었죠. 재미난 것은,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70억번째 아기도 이미 정해져 있답니다. 인도의 우타르 프라데시 주에서 태어날 아기가 ‘70억번째 아기’로 정해진 상태입니다. 70억번째 아기를 왜 미리 정하냐고요. 지구에 사는 모든 사람들의 수를 하나하나 셀 수는 없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는 세상을 뜨고, 또 누군가는 태어나고 .. 딸기가 보는 세상 2011.10.27
죽어서도 돈 버는 스타들 2009년 사망한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이 죽어서도 2000억원 가까이 벌었다는 뉴스가 있네요. 미국 경제전문지 는 25일 ‘세상을 떠난 유명인사의 연소득’ 랭킹에서 마이클 잭슨이 올해 1억7000만달러(약 1916억원)을 벌어 1위에 올랐다고 보도했습니다. ‘황제는 역시…’ 마이클 잭슨, 사후 1억7천만달러 벌어 /경향신문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1위네요. 앨범과 기념품이 꾸준히 팔리고 있는데, 심지어 사망한 지 시간이 흐르면서 판매가 더 늘어나는 추세라고 합니다. 2위는 ‘로큰롤의 황제’ 엘비스 프레슬리입니다. 음반이 꾸준히 팔리면서 연간 5500만달러를 벌어들였습니다. 잭슨이 숨지기 전에는 프레슬리가 거의 1위였습니다. The Top-Earning Dead Celebrities /포브스 미국 .. 딸기가 보는 세상 2011.10.26
사막에 묻힌 카다피 리비아의 전 국가원수 무아마르 카다피가 사막에 묻혔습니다. 카다피와 네째 아들 무타심, 그리고 카다피 측근 한 명이 사막에 매장됐다고 알자지라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방송은 과도국가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카다피가 25일 새벽 사막에 매장됐고 이 자리에는 카다피가 속한 부족의 일원들과 이슬람 지도자가 나와 기도를 했다고 전했습니다. 원래 아랍·이슬람권에서는 사람이 숨지면 하루이틀만에 금세 매장을 하는데, 카다피는 지난 20일 사망한 지 닷새만에 묻혔습니다. 고향 시르테에서 사살된 카다피의 시신을 미스라타로 옮겨 상업용 냉동창고에 보관했다 해서 논란이 일기도 했지요. 미스라타 지역 군 대변인인 이브라힘 베이탈말은 알자지라 방송 인터뷰에서 “묘지가 파괴되는 걸 막기 위해서 무덤에 아무 표식을 하지 않고 매장.. 딸기가 보는 세상/인샤알라, 중동이슬람 2011.10.25
600km 걸어간 원주민들 아마존 개발에 항의하는 볼리비아 원주민 약 2000명이 걸어서 19일 수도 라파스에 도착했습니다. 지난 8월에 고향에서 나와 두 달 만에 라파스에 입성한 건데요. 기다리고 있던 시민들이 대대적으로 환영해줬다고 합니다. 총 600km의 기나긴 여정이었습니다. 이 거리를 모두 행군한 사람은 1500명 정도이고, 나머지는 중간에 합류했던 사람들입니다. 지금 라파스 시내에서는 시민단체 활동가들과 지지자들이 모여들어서 시위대 규모가 수만명으로 불어났다고 합니다. 거리에서 볼리비아 국기와 손수건을 흔들며 박수를 치고, 축제분위기의 행진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 사람들이 사는 곳은 아마존 분지의 원주민 보호구역입니다. 아메리카 원주민 3개 부족 총 5만명이 그 곳에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부가 부근에 있는 이시보로.. 딸기가 보는 세상/아메리카vs아메리카 2011.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