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99

베나지르 부토의 삶과 죽음

베나지르 부토(Benazir Bhutto. 1953-2007)는 무슬림 국가인 파키스탄 역사상 첫 여성 지도자였습니다. 부토의 아버지 줄피카르 알리 부토(Zulfikar Ali Bhutto. 1928-1979)는 1971-1973년 파키스탄의 대통령을 지냈고, 대통령에서 물러난 1973년부터 1977년까지는 총리를 역임했습니다. 부토는 인도의 간디-네루 집안이나 미국의 케네디 가(家)와 같은 정치명문가 출신 여성정치인인 셈입니다. 그러나 민족주의자로 파키스탄의 중흥을 꿈꿨던 줄피카르는 1977년 모하메드 지아 울 하크(Mohammad Zia-ul-Haq. 1924-1988) 장군의 군사쿠데타로 실각했고, 부토 가문의 비극이 시작됐습니다. 줄피카르는 군부정권에 체포됐으며 ‘정치적 암살을 명령했다’는 날조된..

사육과 육식- 내용도 번역도 엉망인 책

사육과 육식 : 사육동물과 인간의 불편한 동거리처드 W.불리엣 저 | 임옥희 역 | 알마 딱 내 취향 아닐까 생각했는데... 영 내용이 엄떠여. 상업적 대량사육시대(저자는 이걸 '후기사육시대'라고 마치 대단한 시대구분이나 되듯이 '후기' 붙여 이름지었다)가 되면서 동물의 생식과 도축 같은 원초적이고 피튀기는 장면을 사람들 눈 앞에서 사라진 뒤로, 오히려 사람들은 폭력이나 폭력적 섹스에 탐닉하게 되었다? 그런데 상식선에서의 추론 정도- 즉 저자의 '상상'에 머물 뿐, 근거 자료라고 할 만한 게 없다. 저자는 미국의 역사가이자 작가라고 한다. 문제의식은 재미있으나 그로 인해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인지, 그 사회문화적 함의가 무엇인지, 한마디로 뭐가 문제인지 보이지 않는다. 아이들이 포르노를 많이 봐서..

딸기네 책방 2012.05.13

라나지트 구하, '역사 없는 사람들'

역사 없는 사람들 : 헤겔 역사철학 비판 History at the Limit of World-History (2003)라나지트 구하 | 이광수 역 | 삼천리 | 2011년 11월 부제가 '헤겔 역사철학 비판'이다. 헤겔, 역사철학. 너무 무겁다. 무지하고 가벼운 나로서는 다가가기 참 힘들다. 표지도 무겁다. 하지만 '역사 없는 사람들'이라는 제목에 끌렸다. 역사 없는 사람들. 키스 휘틀럼이 에서 조목조목 따지고 들었던 팔레스타인 민중들을 노린 '역사 지우기', 옛 유럽 식민주의자들과 미국 백인들의 아메리카 원주민 역사 지우기 같은 것들이 떠올랐다. 200쪽 남짓한 많지 않은 분량. 요즘 '민족주의'를 화두로 삼은 책을 여러 권 이어서 읽고 있던 차였기에 망설임 없이 꺼내 들었다. 재미있었다. 호미 바바..

딸기네 책방 2012.05.12

일본에서 잘 먹고 살기

아주아주 드물게 올리는 딸기의 먹거리 포스팅.(요리를 잘 못하기 때문에 안 올리는 거라고 마구 추측하지들 마셈 ㅎㅎ) 아무래도 요즘의 식생활에 대해 보고(?)를 좀 해야할 듯 싶다. 왜냐? 그동안 받아먹은&먹고있는&먹을예정인 것들이 잔뜩 있는지라... 일전에 페북에 올렸지만... 이건 게고가 보내준 먹거리들.포장 미역은 집에 좀 있었지만 게고가 보낸 미역 보면서 '이거 맛있겠구나!' 했다. 신문지에 싸놓은 것 보고. 아마도 제대로 된 미역 아닐까 싶어서. 예측이 맞았다! 엄청 맛있었다. 그런데... 한 냄비 끓여먹었더니 없더라능. ㅠ.ㅠ 게고야 넘넘 잘 먹었어.보내준 차 중에서는 우롱차랑 녹차랑 등등 몇가지 꺼내어 잘 우려내 마시고 있다. (실은 요즘 이것저것 차를 우려내어 거의 하루에 두 주전자씩 마시..

4. 로마제국의 분열

4. 로마제국의 분열과 동유럽 우리가 보통 집시라 부르는 사람들, 영어로는 '로마' 사람이라고 부릅니다. 그런가 하면 오늘날의 루마니아는 '로마 사람들의 나라'라는 말에서 나온 이름입니다. 로마 제국은 동유럽의 과거와 현재에 엄청난 자국을 남겼습니다. 그래서 동유럽 역사 이야기는 로마 제국에서부터 출발합니다. 그 오래전부터 사람들이야 살고 있었겠지만 국가/제도가 만들어진 것이 이 때였으니까요. 역설적이지만 동유럽의 출발은 로마제국의 내리막과 겹쳐집니다. 시기적으로는 3세기 말. 이 때가 되면 로마 제국은 안으로부터 내리막을 걷기 시작합니다. 제국의 군대는 게르만족과 페르시아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용병을 고용하면서 수적으로 불어나 너무 강성해졌고, 황제들은 이를 통제하지 못해 무정부에 가까운 상황이 이어졌..

복제양 돌리 그 후

복제양 돌리 그 후 AFTER DOLLY 이언 월머트,로저 하이필드 | 이한음 역 | 사이언스북스 | 2009년 04월 복제양 돌리가 태어나던 때가 기억난다. 멋모르고 국제부에서 텔렉스 받아 외신기사 훑어보는 당번을 하고 있었다. 과학 담당기자를 해서 과학 쪽 일을 많이 아는 여자선배가 계셨다. 나는 그때 정말이지 뭘 통 몰랐다. 정확히 말하면 아무 것도 몰랐다. 과학도 몰랐고 영어도 몰랐고... 외국 통신 읽는 것도 서툴렀다. 더더군다나 '클론'이란 것은 몰랐다. 사전을 찾아보니 '쌍둥이'였다. 왜? 왜 쌍둥이가 문제가 되지? 돌리? 뭔 돌리? 양의 쌍둥이가 왜 문제야? 왜들 난리야? 그러고 나서야 알았다. 그것이 그 유명한 복제양 돌리의 탄생이었다는 것을. 한 가지 위안이 있었다면, 아마도 나 뿐 아..

다르다넬스의 승리와 무스타파 케말

오늘은 제가 엄청 좋아하는 터키 이야기... 2004년에 무려 20일 동안 터키를 여행한 적 있었답니다 ^^ 터키, 하면 떠오르는 인물, 일본에서 '토루코의 황태자'라 불렸던 꽃미남 축구선수 일한 만시즈...가 아니고, 터키의 국부(國父)인 무스타파 케말(Mustafa Kemal 1881-1938)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오스만 투르크라는 노쇠한 이슬람 제국을 현대 터키공화국으로 변신시킨 건국 영웅으로, 국민들에게서 ‘터키의 아버지’를 뜻하는 ‘아타튀르크(Atatürk)’라는 영예로운 호칭을 선사받았습니다. 그래서 케말의 공식 호칭은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입니다. 케말은 오늘날의 그리스 테살로니키(Thessaloniki) 지역인 옛 오스만 령 살로니카(Salonica)에서 태어났습니다. 오..

3. 문화권으로 본 동유럽

3. 문화권으로 본 동유럽 동유럽의 역사를 이해하려면 이 지역을 움직인 문화권들을 이해해야겠지요. 문화는 여러 사회들과 그 사회들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모든 문명 안에는 수많은 사회들이 있고, 그들 각각의 문화가 있겠지요. 문명 안에서 이 사회들을 하나로 통합해주는 요인으로는 종교적 신념 혹은 보편적인 철학(때로는 이 두 가지의 결합)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폴그레이브 동유럽사의 저자들은 지금 동유럽에서 세 가지 문명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합니다. 하나는 가톨릭/신교로 구성된 서유럽 문명, 또 하나는 정교의 영향을 받아온 동유럽 문명, 나머지 하나는 이슬람 문명입니다. 쉽게 이해하려면, 지질학에 나오는 판구조론을 떠올려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모든 문명에는 지정학적 핵심부가 있습니다. ..

세계 각국 전압과 플러그 모양

제가 지금 머물고 있는 일본에서는 110V 전압을 쓰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의 가전제품들을 가져와서 쓰지 못해 불편한 것도 많고 아깝게 돈을 들여야 할 때도 많지요. 어제 후타고타마가와의 쇼핑몰에 갔다가 프리 볼트 헤어컬링기가 있어서 하나 샀습니다. 요즘 우리 요니가 헤어스타일 등에 관심이 많거든요 ^^ 제품 상자 겉면에 '해외 사용 가능'이라고 큼지막하게 써 있더군요. 설명서에도 세계의 전압과 플러그를 적은 표가 들어있었습니다. 이런 거 하나 있으면 편하겠다 싶어서, 아예 인터넷에서 찾아봤습니다. http://www.kropla.com 에서 퍼왔고, 제가 친절하게도 한국말로 바꿨습니다. 더더욱 친절하게도(푸하하) 플러그 형태를 찾아서 아래에 붙였습니다. 외국에 가시는 분들 참고하세요 ^^(아래의 표와..

호주의 '도둑맞은 아이들'과 케빈 러드 총리의 사과

한참 동안 우파 보수당이 정권을 잡고 있던 호주... 그러다가 2007년에 젊은 정치인 케빈 러드 (Kevin Rudd. 1957-)가 노동당을 이끌고 총선에서 승리, 정권교체를 이뤘지요. 그 뒤에 여러모로 신선한 뉴스들이 많이 나왔던 걸로 기억하는데요. 그 중의 하나는 2008년 2월 13일 러드가 "집권 전에 했던 약속을 실천에 옮기겠다"고 발표했던 일입니다. ‘도둑맞은 세대(Stolen Generations)’라 불리는 호주 원주민들에 대한 사과가 그 약속이었습니다. ‘도둑맞은 세대’는 원주민 피가 흐른다는 이유만으로 가족을 잃고 강제 위탁 속에 자라난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호주 정부는 원주민들을 백인 문화 속에서 키워야 한다며 이들을 가족과 부족사회로부터 억지로 떼어내 위탁시설이나 백인 위탁가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