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279

오바마, 매케인에 ‘간발 차 우위’ ... 정치경험 부족 여전히 ‘족쇄’

미국 대선(11월4일)이 약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민주당 전당대회(8월25~28일)도 딱 한 달 남았다. 본격적 대선 분위기가 무르익는 셈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최초의 흑인 대통령'을 노리는 민주당의 버락 오바마 후보가 지지율 우위를 보이고 있으나, 공화당의 존 매케인 후보도 저력을 과시하며 따라붙는 양상이다. 베를린에 간 오바마... 완전 난리 났네. /AFP 이달 들어 실시한 주요 여론조사에서 오바마는 2~9%포인트 차이로 꾸준히 매케인에 앞섰으나 지지율 격차는 크지 않다. 리얼클리어폴리틱스닷컴이 24일 조사 결과들을 종합, 집계한 바에 따르면 두 사람의 지지율 차이는 평균 4.8%포인트에 불과하다. 지지율 우위 속에서 오바마에 유리하지 않은 징후 또한 눈에 띈다. NBC방송·월스트리트저널..

아프리카 또다시 기근 먹구름

곡물가 급등에 가뭄 같은 자연재해까지 겹치면서 기근의 먹구름이 다시 아프리카를 덮기 시작했다. 사하라의 남진(南進)으로 사막화된 중서부 건조지대에서 동아프리카까지, 곳곳에서 2000만명 이상이 식량위기로 고통을 겪고 있다. 상황이 가장 심각한 곳은 동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뿔' 지역. 세계식량계획(WFP)은 22일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케냐, 우간다, 지부티 등 이 일대 5개국에서 1400만명이 기근 위기를 맞고 있다고 밝혔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1980년대 최악의 기근을 겪은 에티오피아에서는 460만명이 구호 식량에 의존하고 있고, 그 외에도 570만명이 추가 원조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WFP는 에티오피아 인구의 12%가 원조로 목숨을 부지하는 형편이라고 전했다. 기근의 가장 ..

13년만에 붙잡힌 보스니아 학살자

보스니아 내전 '인종청소'의 주범인 옛 세르비아 정치지도자 라도반 카라지치(63/사진)가 21일(현지시간) 13년간의 도피 끝에 결국 체포됐습니다. 보리스 타디치 세르비아 대통령이 이날 긴급 성명을 내고 카라지치가 이날 밤 베오그라드에서 보안요원들에 의해 체포됐다고 발표했는데요. AP통신 등은 카라지치가 현재 세르비아 내 전범재판소로 옮겨져 유전자 감식을 비롯한 신원확인 절차를 밟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카라지치는 베오그라드에 있는 세르비아 재판소에서 조사를 받은 뒤 조만간 헤이그 국제유고전범재판소(ICTY)로 이송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카라지치 체포에 총력을 기울이도록 세르비아 정부를 압박해왔던 유럽연합(EU)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는 즉시 환영했구요. 을 내는 것이 아마도 업무의 상당 부분을 차지..

장자일기/ 참된 준비- 마음 굶김(心齋)

11. 안회가 말했습니다. "저로서는 이제 더 생각해 낼 도리가 없습니다. 부디 방법을 가르쳐 주십시오." 공자가 말했습니다. "재(齋)하라. 너에게 말한다만, [마음을 그냥] 가지면서 한다면 쉽게 될 수 있겠느냐? 쉽게 된다고 하는 자는 저 맑은 하늘이 마땅하다 여기지 않을 것이다." "저는 가난하여 여러 달 동안 술을 못 마시고 양념한 음식도 못 먹었습니다. 이 경우 '재'라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그런 것은 제사 때의 재(祭祀之齋)지 마음의 재(心齋)가 아니다." 전편에서 공자는 안회가 하겠다는 것, 안회가 못된 임금에 맞서 뭔가 해보겠다고 하는 것은 모조리 안된다며 뜯어말리고 깔아뭉갠다. 그럼 대체 어쩌란 말인가. 이도저도 하지 말고 자신을 닦으라는데, 나는 바르지 못한 일을 하고 또 시키는..

짐바브웨

대선 부정선거 파동으로 유혈사태가 빚어졌던 짐바브웨 정국이 혼돈을 벗어날 실마리를 찾은 것으로 보인다. 28년 동안 철권 통치를 펼쳐온 로버트 무가베(84) 대통령과 야당 지도자 모건 츠방기라이(56)가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협정에 곧 서명할 예정이라고 BBC방송 등이 21일 보도했다. 하일레 멘케리오스 유엔 특사는 두 사람이 이날 중으로 만나 협정에 사인할 것이라면서, 남아프리카의 타보 음베키 대통령이 '증인'으로 참석하기 위해 이미 짐바브웨 수도 하라레에 와있다고 밝혔다. 최대 야당 민주변화운동(MDC) 당수인 츠방기라이는 지난 3월 대선에서 무가베에 앞섰으나, 과반 득표에는 실패했다. 야당 측은 투표결과가 조작됐다며 반발, 결선투표 참가를 거부했다. 이에 따라 6월 대선 결선에는 무가베가 단독 출마..

'시험관 아기' 30년, 생명의 미래는 어디로 갈까

세계 최초의 '시험관 아기'로 태어난 영국 여성 루이스 브라운이 오는 25일 30세 생일을 맞는다. 인류가 출산의 신비를 자연의 영역에서 의학의 영역으로 끌어내려 인공수정(IVF)의 역사를 연지 30년이 되는 셈이다. 브라운 이래로 인공수정은 수많은 불임부부들의 희망이 돼왔지만, 냉동 배아·대리모 논란에 줄기세포 파동 등 숱한 윤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뉴욕타임스, BBC방송 등은 21일 브라운의 생일을 앞두고 IVF의 역사와 전망을 조명했다. 지난 주말 영국 캠브리지셔의 번홀 불임클리닉에서는 브라운의 생일을 앞당겨 축하하는 파티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브라운과 30여명의 IVF 출산 가족들, 그리고 브라운이 세상에 태어날 수 있도록 시술을 했던 패트릭 스텝토 박사와 로버트 에드워즈 박사 등이 참석했다...

美 힘 실린 '이라크 철군론'

이라크 주둔군 철수 일정을 밝힐 수 없다던 미국의 입장이 달라졌다. 민주당 대선 후보로 나선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의 철군 주장에 대해 이라크 측이 이례적으로 지지 의사를 밝히고 나서면서,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극력 거부해온 '철군일정 제시' 문제가 다시 물 위로 떠오른 것. 대선을 앞두고 벌어진 치열한 공방 속에 철군론 쪽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오바마의 이라크 방문을 앞두고 때마침 영국의 고든 브라운 총리도 이라크를 전격 방문, 영국군 철수 입장을 재확인했다. 중동·유럽 순방에 나선 오바마는 이라크 방문에 앞서 19일 아프가니스탄을 찾아 '이라크 주둔군 축소-아프간 증파' 주장을 되풀이했다. 오바마는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16개월 안에 이라크에서 철군할 것이라 주장해왔고, 미국을 떠나기 전 뉴욕타..

엘니뇨와 제국주의로 본 빈곤의 역사

엘니뇨와 제국주의로 본 빈곤의 역사. Late Victorian Holocausts. 마이크 데이비스. 정병선 옮김. 이후 제목은 거창하게 붙였는데, 실제로는 원제 그대로 ‘빅토리아 후기 즉 19세기 말 엘니뇨로 인해 벌어진 범지구적 차원의 기근’을 집중 조명한 책. 따라서 ‘빈곤의 역사’라고까지 할 것은 없고, ‘빅토리아 후기 기근으로 본 환경재앙’ 정도로 읽어주면 될 것 같다. 재미있었다. 중국, 인도, 브라질을 중심으로 엘니뇨와 대규모 환경파괴, 식민통치의 범죄적 양상과 그로 인한 19세기 말 초유의 대기근을 살피고 있는데, 저자 스스로 말했듯 ‘기근의 정치생태학’이라고 보면 된다. 요는, 가혹한 식민통치(중국의 경우 완전한 식민지는 아니었지만 서구의 압박 속에 제국이 제 기능을 잃었다는 점에서 맥..

딸기네 책방 2008.07.20

백수 돌입 기념 발리여행 2탄

발리는 여름휴양지 혹은 신혼여행지로 유명하지만 바닷가보다는 '산 속 마을'이 발리 문화의 핵심이라고 합니다. '인도네시아'라는 실체 없는 국가명보다는 '발리' 고유의 역사와 전통이 섬을 여전히 지배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서양인들을 중심으로 한 관광객들에게 가장 각광받는, 우붓(Ubud)이라는 마을이 있어요. 발리 특유의 예술적인 분위기에 모던함이 합쳐져서 독특하고 세련되고 매력적인 분위기를 한껏 풍기는 곳이더군요.태국 푸켓에 놀러갔을 때에도 느낀 것이지만, 이 동네에는 관광지에 그림가게들이 많아요. 특히 우붓에는 골목골목에 이런 화랑들이 자리를 잡고 있어요. 적당히 키치 풍이면서 적당히 세련된, 별 것 아닌 듯 보이면서도 매력적인 작품들. 화랑들 뿐 아니라, 옷 가게나 식당, 커피숍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