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58

백만장자들 돈 씀씀이도 대륙별로 다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부자들은 미국 켄터키의 목장에서 말을 키우고, 싱가포르의 사업가들은 빈티지 보르도 와인을 마신다. 러시아 재벌들과 영국의 헤지펀드 투자가들은 미국 뉴욕 예술품 경매장에 나와 현대화가 앤디 워홀과 윌렘 데쿠닝의 작품에 경쟁적으로 높은 값을 부르며 세련미를 과시한다. 백만장자를 넘어 억만장자가 넘쳐나는 세상이 됐다. 갑부들의 돈 씀씀이도 커졌다. 눈길을 끄는 것은, 나라별, 대륙별로 억만장자들이 부(富)를 과시하는 방식도 다르다는 것.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이 최근 세계 갑부들의 사치스런 소비행태를 지역별로 분석한 기사를 실었다. 지난달말 미국 투자회사 메릴린치와 캡제미니가 내놓은 `2007 세계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100만 달러(약 9억2000만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가진 백만장자는 전세계..

사람들은 계속 죽어가는데...

아프가니스탄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소속 국제평화유지군(ISFA)으로 활동하고 있는 캐나다군 6명이 매설 폭탄 공격을 받고 한꺼번에 숨졌다. 이로써 아프간 전쟁에 투입된 캐나다군 사망자는 60명을 넘어섰다. 이라크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려있는 사이, 아프간에서는 다국적군과 탈레반,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인명피해가 계속되고 있다. Canadian soldiers from the NATO-led coalition force ride atop a tank heading out from Ma'sum Ghar base on a recovery mission after six Canadian troops were killed in southeastern Afghanistan, July 4, 2007. ..

파미르 고원 빙하도 녹는다

히말라야와 함께 유라시아의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중앙아시아 파미르고원의 빙하가 지구온난화 때문에 녹고 있다. 거대 빙하가 녹아내려 산사태와 홍수 등 대재앙이 닥칠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3일 현지 언론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옛 소련권 국가들 중 최빈국인 타지키스탄은 고원 인근지대에서 환경 재앙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데도 속수무책으로 바라보고 있는 형편이다. 건조국가에 때아닌 홍수 타지키스탄 남동부 파미르 고원의 빙하(아래 위성사진)가 이달들어 이례적으로 기온이 올라가면서 녹아내려 홍수가 발생했다. 러시아 이타르타스 통신은 파미르의 고지대를 흐르던 폰다리야 강의 둑이 터지면서 수도 두샨베와 북부 공업지역을 잇는 고속도로가 막혔고, 이 때문에 북부지역 200만명의 거주민들이 모두 외부와 단절되는..

아베의 끝없는 추락

일본 아베 총리 정권의 추락이 계속되고 있다. 국민들의 연금기록을 대거 분실한 사실이 들통난데 이어, 연금을 관리하는 정부 기관에서 무려 40년간이나 이 문제를 쉬쉬하고 있었다는 것까지 드러나 총체적 행정부실이 도마에 올랐다. ‘초대 방위상’으로 주목받았던 각료는 원폭 투하를 정당화하는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켰다가 결국 물러났다. 각료의 자살과 설화, 행정미숙 등이 겹쳐 아베 내각 지지율은 바닥으로 떨어졌다. 다음달 참의원 선거를 앞둔 자민당에는 초비상이 걸렸다. ‘사라진 연금기록’ 40년간 쉬쉬 아사히 신문은 4일 연금 관리를 맡고 있는 사회보험청이 이미 40년 전부터 기록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사회보험청은 공적 연금 기록 5000만 건을 분실한 사실이 두달전 들통..

정치는 못해도 돈은 잘 버네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제1야당 민주당의 오자와 이치로(小澤一郞) 대표가 지난해 일본 의원들 중에서 의원 급여를 뺀 부수입 최고기록 1,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미우리(讀賣) 신문은 2일 공개된 참의원돚중의원 소득보고서에 따르면 아베 총리가 지난해 인세 수입과 강연료 등을 통해 총 2616만엔(약 2억원)의 부수입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취임 2달 전이던 지난해 7월 정국구상과 국가관을 밝힌 저서 `아름다운 나라로(美しい國へ)'를 내놨다.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돼 51만부나 팔려나간 덕에 아베 총리의 부수입은 그 전 해보다 5배나 늘었다. 지금 아베 총리는 내각지지율이 20%대로 떨어질만큼 인기가 추락했지만, 불과 1년 전만 해도 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純一..

조총련, 사기극에 당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중앙본부 부동산 매각을 둘러싼 일본 검찰 수사가 공안관료 출신 변호사 등이 저지른 `사기극' 쪽으로 향해가고 있다. 35억엔(약 260억원) 규모의 부동산을 노린 사기극에 총련이 말려들어 소유권 이전까지 해주는 사태에 이르렀다는 것. 일각에선 일본이 북한과의 전면적인 갈등을 피하기 위해 조총련을 사기극 피해자로 처리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아사히(朝日)신문 등 일본 언론들은 2일 총련본부 부동산 매각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도쿄(東京)지검 특수부가 오가타 시게타케(緖方重威) 전 공안조사청 장관이 사기사건을 주도한 증거를 찾아냈다고 보도했다. 오가타는 한 부동산 중개인과 함께 가공의 투자자를 내세워 마치 자금이 있는 것처럼 총련 측을 속인 뒤 부동산을 넘겨받으려 ..

아시아 금융위기, 그후 10년

1997년7월2일, 태국 방콕 외환시장에서 바트화가 폭락하면서 `아시아 금융위기'가 촉발됐다. 그 다음달엔 인도네시아 루피아가, 곧이어 말레이시아 링기트가 잇달아 무너졌고 한국도 금융위기에 휩쓸려 결국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는 처지가 됐다. 아시아 금융위기의 시발점이 됐던 바트화 폭락 사태 10주년을 맞은 현재, 아시아 주요국들은 고난의 시기를 보낸 뒤 어렵사리 회복의 길을 걷고 있다. 금융위기 발생 10년을 맞아 아시아 곳곳에서는 금융위기와 이후 회복과정을 돌아보고 미래를 전망하는 행사들이 열리고 있으며 외신들도 아시아의 위기 극복 노력을 분석하는 기사들을 내보내고 있다. 방콕발(發) 충격, `그 후 10년' 프라차이 레오파이라타나는 태국 유수의 석유화학기업을 거느렸던 경영인이다. 한때는..

지멘스의 '구원투수'

뇌물스캔들에 연루돼 임원들이 체포되고 사무실이 줄줄이 압수수색당하는 등 망신살이 뻗쳤던 독일 기계, 설비회사 지멘스가 다음달 1일 외국인 구원투수를 영입한다. `내부승진'을 고집해온 160년 전통을 깨고 오스트리아 출신인 피터 뢰셔(49.사진)를 최고경영자(CEO)로 맞게 되는 것. 취임을 앞둔 뢰셔는 28일 "우리가 원하는 것은 혁명보다는 `진화'"라면서 독일 대표기업 지멘스의 자존심과 전통을 살린 개혁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스 클라인펠트 현 CEO의 뒤를 잇게 될 뢰셔는 2m 가까운 장신으로, 미국 제약회사 머크의 글로벌 보건부문 대표를 지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 대학을 졸업하고 홍콩 중문대학과 미국 하버드에서 경영학을 공부한 `다국적 학벌'을 갖고 있으며, 독일어 영어 일본어 등에 능..

불량국가 지원 기업?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북한 등 `테러지원국', 이른바 `불량국가'들을 지원해온 기업 명단을 웹페이지에 공개했다. 명단에는 유니레버, 노키아, 지멘스 등 주로 미국이 아닌 유럽이나 아시아에 기반을 둔 거대기업들이 여럿 들어가 있다.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돼 있는 이들 거대기업들은 SEC `블랙리스트'에 발표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어 마찰이 일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보도했다. SEC는 28일 쿠바, 이란, 북한, 수단, 시리아 등 미국이 테러지원국가로 규정한 5개국과 거래하며 `간접적으로 테러국가들을 지원해온 기업' 명단을 웹사이트에 공개했다. 명단에는 영국-네덜란드계 생활용품 제조업체 유니레버, 영국 식품회사 캐드베리, 핀란드 통신장비회사 노키아, 독일 기계설비회사 지멘스, 프랑스 석유회사 토탈..

모스크바 시장, '20년 장기집권'

러시아 모스크바 시장이 `20년 장기집권' 기록을 세우게 됐다. AP통신 등은 친크렘린 정당 의원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모스크바 시의회가 27일 유리 루쉬코프(70) 현 시장의 연임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35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시의회는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요청한 시장 지명안을 32대 3의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시켰다. 이로써 1992년 임명된 루쉬코프 시장은 2012년까지 총 20년간 모스크바 시장 자리를 지키게 됐다. 벌써 15년째 재직 중인 루쉬코프 시장은 그동안 겉으로는 "물러날 때가 됐다"고 말해왔지만 연임설이 유력했다. 루쉬코프 시장은 화학자 출신으로, 1968년 공산당에 입당해 정치를 시작했다. 1991년 선거로 뽑힌 모스크바 첫 시장 가브릴 포포프가 이듬해 석연찮은 이유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