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12

10. '모든 도시의 여왕', 콘스탄티노플

10. 10-12세기의 콘스탄티노플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로마 제국을 기독교에 맡긴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330년 새 수도를 지어 신에게 바쳤습니다(으윽 갑자기 서울을 봉헌한다던 어떤 사람의 얼굴의 생각나는... ;;). 고대 그리스의 식민 항구가 있던 자리에 세워진 ‘새로운 로마’는 콘스탄티누스의 도시라는 뜻에서 콘스탄티노플(동로마의 언어인 그리스어로는 콘스탄티노폴리스라 하는 게 맞지만 우리 귀에 익은 것은 영어식으로 읽은 콘스탄티노플...)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도시는 보스포루스 해협의 유럽 쪽 해안에 있었는데, 세모꼴 땅 끝에 자리 잡아 방어하기가 쉬웠습니다. 이스탄불 여행을 해본 분들이라면 다 아시겠지만, 바로 위 북쪽으로는 작은 강이 초승달 모양으로 흐르며 보스포루스와 만나는 하구가 있었습니다..

단죄 받지 않은 밀로셰비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Slobodan Milošević. 1941-2006). 죽은 지 벌써 6년이 지났군요... 시간 참 빨리 가네요. 옛 유고연방 말기에 대통령을 지낸 인물이죠.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 세르비아 공화국 출신입니다. 이 유고라는 나라에 대해서는... 나중에 동유럽 얘기하면서 다시 설명할 기회가 있겠지만, 하나의 민족국가로 묶여본 일이 없는 집단들을 억지로 묶어놓았던 나라라서 이후의 분열상이 너무나도 끔찍한 학살로 이어지게 되지요. 유고의 비극에 대해서는 조 사코의 시사만화 를 초초강추 하고요. 다시 밀로셰비치로 돌아가서- 1989년부터 1997년까지 세 차례 유고연방 내의 공화국 중 하나였던 세르비아 대통령을 지냈고, 동유럽 공산국가들이 스러져 가던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유고슬라비..

9. 비잔틴에 도전한 불가르 족의 나라, 불가리아

9. 8~10세기 불가리아의 흥기 불가르족이 서쪽으로 밀려들어와 오늘날의 동유럽에 한 자리 차지하고 비잔틴에 맞섰다는 것이 몇백년 간의 스토리였고요. 불가르족은 681년 비잔틴 제국과 조약을 맺어 발칸 산맥 북부와 다뉴브 강 남쪽의 땅에 대한 통치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불가르의 칸(지배자)들은 수도인 플리스카에 머물며 새로 얻어낸 영토에 살고 있던 슬라브계 원주민들을 통치했습니다. 새 영토는 왈라키아를 비롯한 다뉴브강 북쪽 지역에서 북서쪽 유라시아 스텝 지대까지 이어져 있었습니다. 9세기가 시작될 무렵의 불가리아 지도입니다. '불가르 칸국'이라고 돼 있네요. 서쪽에 아바르 칸국, 동쪽에 카자르 칸국 등등이 보입니다. /위키피디아 건국 영웅 아스파루흐의 후계자들인 불가리아(‘1차 불가리아 제국’이..

아웅산 수지가 꿈을 이룰 날

아웅산 수지(Aung San Suu Kyi. 1945-)는 1945년 1월 버마에서 태어났습니다. 수지는 2차 대전 당시 버마를 일본 식민지배로부터 해방시킨 독립 영웅 아웅 산(Aung San 1915-1947.) 장군의 딸이죠. 저야 뭐... 한국사람들 대개 그렇듯이 아웅 산의 이름을 버마 독립영웅이라기보다는 '아웅산 폭탄테러'로 더 먼저 들었더랬죠. 오늘은 신문 국제면에 누구보다도 자주 등장하는 사람, 그러나 모습을 보기는 너무 힘들었던 사람, 지나온 행적보다 미래가 더 궁금한 사람, 아웅산 수지 여사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영국 지배 하에서 버마 재야 내각을 이끌던 아웅 산 장군은 수지가 두 살 때 정적에 암살됐습니다. 어머니 킨치(Khin Kyi)는 남편이 숨진 뒤에도 새로 태어난 버마 정부 내에..

8. 동유럽의 중세는 어땠을까요

8. 9세기 중반의 동유럽과 '대(大) 모라비아' 비잔틴(동로마) 제국과 프랑크 왕국(신성로마제국)이 서로 세력을 넓히려 싸우면서 동유럽에서는 정치·문화적 압력이 갈수록 커져갔습니다. 그런 와중에도 9세기 중반 동유럽에서는 두 나라가 독립국가로 떠올랐습니다. 불가리아 제국(the First Bulgarian Empire)과 대(大)모라비아 제국(Great Moravian Empire)이었습니다. 그 중 동유럽 최초의 독립국가로 탄생한 것은 불가리아였습니다. 7세기 후반 나라를 세운 이래로 불가리아의 군주들은 성공적으로 영토를 불리며 비잔틴 제국의 중요한 외교 상대로 떠올랐습니다. 보리스1세(Boris I·852-889년 재위)가 다스릴 무렵이 되자 불가리아는 발칸 북부와 중부의 광대한 영역에서 지배권을 ..

7. 슬라브계와 투르크계의 침공

7. 6-8세기 슬라브계와 투르크계의 침공 두달만에... 다시 동유럽 역사로 돌아와서... ;; 오늘날 동유럽의 틀을 만든 (동)로마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대제는 서방 정책이 헛수고로 끝날 것임을 알지 못한 채 565년 사망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이룩한 대제국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걸 보여주는 징후들은 이미 황제가 숨지기 전부터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아바르족과 슬라브족 부대들이 동로마 제국의 발칸 영토로 침투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이후 150년에 걸쳐 물밀 듯 밀려올 이민족 이주의 전초전이었습니다. 중앙아시아에 거주하던 투르크계 아바르족은 550년 무렵 유럽에 들어오기 시작해, 프랑크족과 충돌할 때까지 서쪽으로 계속 이동했습니다. 이들은 다뉴브 분지의 저지대에 자리를 잡고 프랑크족의 땅과 동로마(비..

조지 부시의 걸프전 개전 선언

1990년 8월 2일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Saddam Hussein Abd al-Majid al-Tikriti. 1937-2006)이 산유국 쿠웨이트를 침공했습니다. 며칠 지나지 않아 미군이 사우디아라비아에 파견됐습니다. 쿠웨이트 유전을 이라크의 공격에서 보호하고 사우디 국경에 대규모로 집결해 있는 이라크 군대를 저지한다는 명목이었죠. 이른바 ‘사막의 방패(Desert Shield)’ 작전입니다. 8월 6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라크에 경제제재를 취했고, 이라크가 금수(禁輸) 조치(엠바고·embargo)를 위반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면 해군을 동원해 페르시아 만(통칭 영어 고유명사로 ‘걸프(Gulf)’라고 하면 미국 멕시코 만(灣)을 가리키는 용어였으나, 걸프 전(戰) 이후 페르시아 만을 지칭하는 용..

강이, 나무가, 꽃이 돼 보라

석달 전 교토에 여행을 갔다가, 교토 역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는 히가시혼간지(東本願寺)에 들른 적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오래된 큰 건물들이 일본에는 많지만, 특히나 이 히가시혼간지라는 절은 건물의 크기가 워낙 컸다. 정토진종의 절인데 안에는 사람들이 거의 없이 고즈넉했다. 그곳 갤러리에서 뜻밖의 전시를 만났다. 조용한 갤러리에서 갑자기 눈에 들어온 것은 한국인임이 확실한 어떤 문인의 이름이었고, 그 옆에는 일본어로 '재일(자이니치)코리안' 즉 식민지 시절 일본에 끌려갔거나 건너갔다가 정착하게 된 사람들을 소개하는 글이 실려 있었다. 이들은 남북한이 갈라지기 전에 일본에 간 이들이기 때문에 한국인도 북한사람도 아닌 '재일'이라고만 불린다. 일부는 조총련계, 일부는 민단계로 갈려 있지만 자..

딸기네 책방 2012.08.27

루이스 응꼬씨 '검은 새의 노래'

검은 새의 노래 Mating Birds 루이스 응꼬씨. 이석호 옮김. 창비(창작과비평사). 6/27 남아프리카공화국 소설은 존 쿳시의 말고는 본 적이 없다. 문화부 책상에 굴러다니는 것을 주워다놓고 2년 가까이 묵히고 있다가 이제야 읽었다. 확인해보니 원작이 출간된 게 1987년, 아직 백인정권의 서슬이 시퍼럴 때다. 남아공의 대표 작가 격인 쿳시가 백인인 반면, 이 소설을 지은 응꼬씨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흑인이다. 책은 한 흑인 청년의 옥중 고백 형식으로 돼 있다. 한글판 제목은 ‘검은 새의 노래’이지만 영문 제목은 ‘짝짓는 새들’이다. 화자인 청년은 흑인들 중에선 제법 교육받은 사람으로 대학물까지 먹었지만 백인 소녀를 성폭행한 죄로 사형선고를 받고 수감된 처지다. 스위스에서 온 정신분석학자는 청년..

딸기네 책방 2012.08.24

빛은 내 이름

빛은 내 이름 1, 2 veinte anos, Luz. 엘사 오소리오. 박선영 옮김. 대교북스캔 6/28 아르헨티나 ‘더러운 전쟁’ 때 벌어진 ‘도둑맞은 아이들’을 주제로 한 소설. 이사벨 아옌데의 만큼이나 흥미진진하고 재미있다. 상투적인 표현이지만 말 그대로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소설이랄까. 정적이나 반대세력을 학살하는 군부독재정권. 여기까지는 수많은 비슷한 사례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아이 도둑질’에 이르면 ‘대체 무엇 때문에?’라는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반정부 세력으로 찍힌 사람들을 붙잡아 고문해 죽이는데, 그 중 임신한 여성 수감자들에게서 아이를 빼앗아 군인 가정이나 부유층 가정으로 넘긴 것은 대체 어떻게 봐야 한다는 말인가. 더군다나 아이를 낳은 여성들은 가차 없이 죽였다니..

딸기네 책방 201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