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인샤알라, 중동이슬람

파키스탄, 미 반대에도 이란과 손잡고 가스관 착공

딸기21 2013. 3. 12. 09:51
728x90

파키스탄의 젊은 공학자 말릭 아흐메드 칸은 1950년대에 도발적인 아이디어 하나를 내놨다. 파키스탄 군 기술학교 회지에 실린 ‘페르시아 파이프라인’이라는 그의 논문은 이란과 파키스탄을 잇는 에너지 연결망이라는 제안을 담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 친미 왕국이었던 이란과 파키스탄은 사이가 좋지 않았고, 두 나라 사이에는 영토분쟁 지역인 발루치스탄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란의 에너지를 파키스탄과 인도로 수송한다는 발상은 매력적이었지만 실현불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아흐메드 칸은 이미 숨졌지만 반세기가 넘어 그의 꿈은 이루어졌다. 파키스탄 일간 돈(DAWN)은 11일 이란-파키스탄 천연가스관 공사가 시작됐으며,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대통령이 이란 국경도시 차바하르를 방문해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과 착공식에 참석했다고 보도했다.

 

묻혀있던 이 가스관 계획이 수십년만에 다시 떠오른 것은 1980년대 말. 이슬람혁명 뒤 국제적으로 고립된 이란이 이 방안에 관심을 보였다. 이란은 미국의 제재를 받고 있던데다 서쪽의 이라크와 오랜 전쟁을 치른 터라 다른 활로가 없었고, 파키스탄은 에너지 부족에 시달리고 있었다. 두 나라 간 협상이 1994년 시작됐고, 이듬해 기초 협정이 체결됐다. 

아예 파키스탄을 거쳐 인도까지 에너지 수송로를 잇는 것으로 계획이 커졌다. 1999년 이란은 인도와도 가스 공급협정을 맺었다. 서쪽 수출길이 막힌 이란은, 이 가스관을 방글라데시와 중국에까지 이어간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1차로 착공된 가스관은 이란 남부의 아살루예에 있는 남(南)파르스 유전에서 파키스탄의 물탄까지 1950km에 걸쳐 만들어지며, 추후 물탄에서 인도까지 확장될 계획이다. 이란 쪽 가스관은 거의 다 지어졌고, 파키스탄 쪽 가스관은 이제부터 공사가 시작된다. 러시아 가스프롬과 이란 국영가스회사,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등이 건설에 참여한다. 75억달러(약 8조2500억원)이 소요되는 공사다. 이란은 공사 대가로 파키스탄에 5억달러의 차관을 제공키로 했다.

 

미국은 이란의 숨통을 열어줄 이 가스관에 거세게 반대해왔다. 2010년 미국은 파키스탄에 이 계획을 포기하라 종용하면서 그 대신 타지키스탄으로부터 전력을 수입할 수 있게 해주겠다고 제안했다. 원조액을 늘려주겠다는 당근도 내놨다. 


하지만 파키스탄은 이란과 손을 잡았다. 세계 2위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4위 원유 매장량을 가진 이란의 위력은 미국도 어쩌지 못했다. 파키스탄은 소규모 유전과 가스전을 갖고 있지만 개발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란과 파키스탄은 이 가스관이 오히려 역내 안정과 협력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파키스탄을 향한 미국의 제재 위협도 먹히지 않았다.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전쟁 파트너인 파키스탄을 내칠 수 없다는 딜레마를 안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거액을 원조해주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까지 가스관 연장계획에 관여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 가스관은 아시아의 에너지 역학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