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65

새해 들어서도 지중해 난민행렬...바다위 떠돌던 1000여명 구출

지난해 교황 프란치스코는 ‘즉위 뒤 첫 바티칸 밖 방문지’로 이탈리아 남부의 람페두사 섬을 택했다. 북아프리카에서 지중해를 건너 유럽으로 들어가려는 난민들의 중간 기착지인 이 섬은 교황의 방문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교황은 바다를 건너려다 배가 난파돼 숨진 이들을 위해 기도했고, 지난 연말 이탈리아 정부는 여론에 밀려 람페두사 섬의 난민 처우를 개선하고 입국 조건을 완화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람페두사의 비참한 현실은 해가 바뀌어도 나아진 게 없다. 람페두사를 비롯, 지중해에서 새해 들어서만 난민 1000여명이 이탈리아와 그리스 당국에 구조됐다고 BBC방송 등이 보도했다. 이탈리아 해군이 2일 북아프리카를 떠나 시칠리아섬으로 향하던 난민들을 람페두사 섬으로 옮기고 있다. 사진 이탈리아 해군/AFP ..

캄보디아 노동자 시위 유혈 진압... 한국공장 앞 시위엔 공수부대 투입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한 공장 앞에 지난 2일 노동자와 불교 승려, 시민·인권단체 활동가들이 모여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시위를 하고 있었다. 정예부대인 911공수여단 군인들이 갑자기 시위대를 에워쌌고, 한 군인이 시위에 참가한 승려에게 물병을 던졌다. 격분한 시위대는 돌을 던지며 맞섰다. 무장 군인들은 소총과 곤봉으로 시위대를 내리치며 승려 5명을 비롯해 10명을 체포했다고 프놈펜포스트는 전했다. 시위가 벌어진 곳은 프놈펜 시내 푸르센체이에 있는 한국계 의류업체인 ‘약진’ 공장이었다. 같은 날 루세이케오 지구에 있는 한국계 의류공장 ‘대영’ 앞에서도 시위가 일어났고 역시 충돌이 빚어졌다. 인근 카나디아산업지구에서도 무장경찰 200여명이 시위대를 무차별 폭행했다. 이 지역에는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 ..

시리아 난민 귀환, 온실가스 감축 합의, 쓰나미 상처는 모두 아물다... '2014 가상뉴스'

“시리아 난민들이 귀환하기 시작했다. 중국의 협력 속에 유엔은 한 차원 강력해진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내놨다. 미국과 러시아 정상은 오랜만에 웃으며 한 테이블에 앉았다. 쓰나미가 할퀴고 간 상처는 모두 아물었고, 핵 강국들은 핵물질 감축안에 합의했다.” 다시 새로운 해가 시작됐다. 새 천년의 흥분이 세계를 휩쓴 것도 어느새 10여년이 지난 과거의 일이 돼버렸다. 2014년은 세계 사람들에게 어떤 한 해가 될까. 올해의 굵직한 뉴스들을 가상으로 정리해본다. 이 가상뉴스는 어디까지나 ‘희망사항’이다. 그 희망을 헛된 꿈이 아닌 현실로 만드는 것은 모두의 몫이다. 아프간 미군 철수, ‘대테러전 시대’ 역사 속으로 새해 벽두부터 분쟁에 휘말린 땅에서 포연을 잠재우는 소식들이 쏟아졌다. 1월22일 스위스 제네바에..

2014년 세계에서 가장 힘센 사람, 재닛 옐런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의 위험성을 먼저 경고한 예언자, 저임금이 오히려 실업을 늘릴 수 있다고 주장한 스타 경제학자, 이제는 세계 최대의 시장과 역사상 가장 새로운 통화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하는 사람.” 미국의 중앙은행격인 연방준비제도를 이끌 차기 의장 재닛 옐런(68·사진) 이야기다. 지난해 말 교황 프란치스코를 ‘올해의 인물’로 선정한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2014년을 이끌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사람’으로 옐런 의장 지명자를 꼽았다. 타임은 오는 13일자에 실린 기사에서 “적절한 인물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임무를 맞는다면 영향력이 엄청나게 커질 수밖에 없다”며 “옐런이 바로 그런 사람”이라고 설명했다. 이 잡지는 옐런이 경제학자로서 고용문제에 천착해왔다는 점, 2010년부터 연..

1년 출퇴근에 차비만 1000만원?

1년 출퇴근에 차비만 1000만원 가까이 든다면? 비싸기로 유명한 영국의 철도요금이 새해를 맞아 2일 한 차례 또 올랐다. 영국 런던과 외곽을 오가는 직장인들 중에는 연간 통근열차 표값으로만 5000파운드(약 870만원)을 써야 하는 이들도 나오게 됐다. 가디언 등 영국 언론들은 일부 통근자들의 경우 ‘1년 5000파운드 클럽’에 들어가게 됐다며, 이날 발표된 열차 연간탑승권 인상 소식에 탑승객들이 분노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런던에서 동남쪽 도버와 딜 등을 잇는 동부해안 노선은 2일부터 3.1% 오른 가격이 적용돼, 연간탑승권이 5012파운드에 팔리기 시작했다. 고속열차를 이용하면 가격은 6000파운드에 육박한다. 남서쪽 근교도시 베이싱스톡과 런던을 잇는 구간은 4076파운드로 인상됐다. 인상된 노..

나이로비 테러 ‘알샤바브’, 소말리아에서 또 테러

지난해 9월 케냐 나이로비의 쇼핑몰에서 대형 테러공격을 일으킨 소말리아 극단주의 무장조직 ‘알샤바브’가 신년 벽두부터 또 테러를 저질렀다.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의 호텔에서 1일 알샤바브가 저지른 것으로 보이는 연쇄 테러가 일어나 10명 이상이 숨졌다고 소말리아 라디오방송 RBC가 보도했다. RBC에 따르면 이날 모가디슈의 고급호텔이 자지라 호텔 앞으로 폭발물을 실은 차량이 돌진, 자폭하면서 4명이 목숨을 잃었다. 당시 호텔 앞에는 보안요원들과 무장경찰이 있었지만 돌진해오는 차량을 막을 수는 없었다. 이 공격이 있고 나서 30분쯤 지나 다시 폭탄차량이 돌진해 건물에 충돌했다. 첫번째 공격 뒤 사고현장을 조사하고 있던 경찰관 2명을 포함해 6명이 두번째 공격에 희생됐다. 경찰은 공격을 감행한 테러범이 3명..

팔레스타인 85세 노인, 이스라엘군 최루가스에 사망

팔레스타인의 85세 노인이 이스라엘군이 쏜 최루가스에 숨졌다. 로이터통신은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지구 북서부 나블루스 부근에 살던 사이드 자세르 알리라는 85세 노인이 2일 이스라엘군이 쏜 최루가스를 맡고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노인이 거주하던 나블루스 외곽 쿠프르 카둠 마을에서는 팔레스타인 집권 ‘파타’ 창설 49년을 기념해 젊은이들이 모여 축제를 하고 있었다. 이스라엘군 점령부대가 마을에 들이닥쳐 최루가스를 쐈고, 최루탄 한 발이 알리의 집안에 떨어졌다. 알리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이튿날 사망했다. 이로써 알리는 올들어 이스라엘군에 희생된 첫번째 팔레스타인인이 됐다. 이스라엘군은 이 사건에 대해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85세 노인의 죽음은 이스라엘의 점령정책이 바뀌지 않는 ..

[2013년 가을, 중국] 자금성

벌써 '지난해'가 되어버린 2013년. 11월에 중국에 다녀왔습니다. 너무나도 제 취향이었던 자금성... 사진들 올려봅니다.자금성 안 가본 사람 누가 있냐, 라고 하지 마세요. 전 처음 가봤어요. ㅋ 위용 쩌는 입구. 들어가자마자 눈 앞에 펼쳐진 모습. 태화문 이리 보고 저리 봐도 넓어...자금성이 지어진 건 15세기 초. 1406-1420년이라고 하니 600년이 됐군요.72만제곱미터 넓이에, 건물이 980여개라고... 잘 지었네.... 베이징에서 연중 며칠 보기 힘들다는 청명한 하늘. 중국의 최고 자랑거리이자 관광지 중 하나인데정작 여기 궁궐터 잡은 것은 원나라(몽골) 황제들, 여기서 오래오래 산 것은 청나라(만주족) 황제들. 사진이 안 좋은 건 내 잘못이 아니고 폰카였기 때문이야...라고 우겨봅니다...

러시아 이틀째 연쇄테러...기차역 이어 트롤리버스 폭발

소치 동계올림픽을 한달여 앞두고, 러시아에서 연쇄 폭탄테러가 일어났다. 중부 볼고그라드의 기차역에서 자폭테러로 16명 가량이 숨진 지 하루만에, 30일 볼고그라드에서 다시 테러로 보이는 폭발이 일어나 10명 이상이 숨졌다. 러시아 리아노보스티통신은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소치에서 690km 떨어진 중부 볼고그라드에서 30일 오전(현지시간) 또다시 테러가 일어나 1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이날의 타깃은 시내를 운행하는 트롤리버스(무궤도전차)였다. 목격자들은 볼고그라드 시내 드제르진스키 시장 부근을 지나던 트롤리버스에서 폭발이 일어났으며 시신들이 사방으로 흩어졌다고 전했다. 러시아 소셜미디어에는 처참한 현장 사진들이 올라오고 있다. 인구 100만명의 볼고그라드는 이슬람 분리주의 반군들이 활동하는 체첸자..

혐한시위 반대해온 일본 변호사 우쓰노미야 겐지, 도쿄도지사 출사표  

한국에서도 ‘일본계 대부업체’들 문제가 종종 제기되곤 하지만, 일본은 이미 1970년대부터 서민들을 괴롭히는 대부업체 문제로 몸살을 앓았다. 서민들과 중소기업, 자영업자들이 대부업체들에서 돈을 빌리고, 빚을 갚기 위해 다시 대출을 받아 ‘빚 돌려막기’를 하는 사례가 많았던 것이다. 이로 인해 일가족 동반자살이나 야반도주가 속출했다. 개혁에 나선 것은 일본의 시민사회단체, 그리고 법조계였다. 대부업체들의 대출이자 상한을 대폭 낮추는 운동에 나서, 정부가 허용한 대출금리 연 109.5%를 15~20%로 대폭 낮췄다. 이 과정이 쉽지는 않았다. 거의 30년 가까운 세월이 걸렸다. 이 운동을 주도한 것은 도쿄대 법대를 졸업하고 변호사가 돼 ‘대부업체 피해 전문가’로 명성은 얻은 우쓰노미야 겐지(宇都宮健兒·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