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 4020

박근혜 대통령의 '빨간 옷'과 세계 지도자들의 패션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의 부인 서맨사(왼쪽)의 의상비용을 다룬 인디펜던트 기사.최근 폭로된 파나마 로펌 모색 폰세카 자료에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의 아버지 이름이 거론돼 영국에서 정치적 파장이 일었다. 야당들은 조세도피처에 페이퍼컴퍼니를 만드는 기득권층의 행태를 질타하며 캐머런 총리에게 화살을 돌렸고, 캐머런은 부랴부랴 조세도피를 수사하겠다고 나섰다. 그 와중에 캐머런의 부인 서맨사(44) 여사의 패션이 논란이 됐다. 연간 5만3000파운드(약 8600만원)에 달하는 서맨사의 의상 비용이 국민 세금으로 나간다는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현지 언론 인디펜던트는 지난 8일 서맨사가 의상을 조언하는 ‘특별보좌관’까지 두고 있었다며 비판하는 기사를 실었다. 정치인들에게는 패션도 ‘언어’이고 정치행위다...

파리-벨기에 테러 '핵심인물' 아브리니 체포... 공항 테러범인 듯

파리 테러 때 폭탄을 공급해주고 브뤼셀 자벤템 공항 공격에 직접 가담한 것으로 알려진 모하메드 아브리니. 사진 벨기에 경찰지난해 11월 프랑스 파리 연쇄테러와 지난달 벨기에 브뤼셀 테러의 연관고리로 보이는 핵심 용의자가 체포됐다. 브뤼셀 경찰이 지난 8일(현지시간)파리 테러 때 자폭테러범들에게 폭탄 등을 공급해준 이슬람국가(IS) 핵심 조직원 모하메드 아브리니(31)를 체포했다고 로이터통신, BBC방송 등이 9일 보도했다. 검찰은 이 인물이 지난달 22일 브뤼셀 외곽 자벤템 공항에서 폭탄테러를 한 뒤 도주했음을 자백했다고 밝혔다. 앞서 경찰은 공항 CCTV에 촬영된 테러범 3명 중 자폭한 것으로 확인된 두 사람 외에 사라진 1명, 모자를 쓴 ‘제3의 용의자’를 추적해왔다.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성명을..

파키스탄 라호르에서 자폭 테러, 300여명 사상

파키스탄 일간 돈(DAWN) 웹사이트 캡쳐파키스탄 북동부 펀자브주의 주도인 라호르에서 28일 이슬람 극단조직의 자폭테러가 일어나 300여명이 숨지거나 다쳤다. 일간 돈(DAWN) 등 현지 언론들은 이날 오후 늦게 라호르의 이크발 지역에 있는 굴샨-이-이크발 공원에서 자살폭탄테러가 발생해 최소 64명이 숨지고 250명 이상이 다쳤다고 보도했다. 경찰은 여성들과 아이들을 비롯해 휴일을 즐기러 나온 시민들이 몰려 있던 공원에서 폭발이 일어났으며, 자폭테러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테러범의 시신 일부를 회수해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폭탄에 볼베어링을 집어넣어넣은 탓에 살상력이 컸으며, 사망자들 다수는 아이들과 여성들이었다. 특히 폭발이 일어난 곳이 그네가 있는 어린이 놀이터 바로 옆이어서 아이들의 희생..

황교안 총리 '플랫폼 관용차' 논란...외국의 총리들은?

황교안 국무총리가 지난 20일 KTX에 탑승하려 서울역 플랫폼까지 관용차 에쿠스를 타고 들어갔다고 해서 논란이 일었다. 외국의 국가원수나 지도자들도 급할 때에는 물론 최대한의 편의를 봐가며 이동한다. 하지만 평소에는 소탈하게 시민들과 함께 지하철을 타고 다니는 이들도 많다. 지하철에 나란히 앉은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오른쪽)와 보리스 존슨 런던 시장(왼쪽). 사진 AFP 대표적인 ‘지하철맨’은 영국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다. 캐머런은 수시로 지하철을 타고 다니면서 시민들과 대화한다. 특히 캐머런 총리가 보리스 존슨 런던 시장과 함께 지하철을 타고 다니는 모습은 인터넷에서 큰 화제가 됐다. 캐머런은 잘 알려진 대로 부유한 집안 출신이고, 영국의 명문 사립학교를 나와 ‘부잣집 도련님’ 이미지가 강하다...

12억년 걸려 지구로 온 초신성의 폭발...'별의 죽음' 섬광 포착

NASA, ESA, Armin Rest (STScI) and Peter Garnavich (University of Notre Dame)과학자들이 사상 처음으로 별이 폭발할 때에 일어나는 ‘눈에 볼 수 있는 빛’을 포착하는 데에 성공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22일 케플러우주망원경에 포착된 충격파를 과학자들이 분석, 초신성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별의 폭발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이 폭발장면은 2011년 관측된 것이다. ‘별의 죽음’이라고 불리는 폭발이 일어나는 과정은 20분밖에 걸리지 않았으나, 폭발로 방출된 빛을 지구에서 볼 수 있기까지는 12억년이 걸렸다. 12억광년 떨어진 곳에 있었던 KSN 2011d라는 초신성이 폭발하면서 나온 섬광이 지구에 도달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별은 지름이 태양의 5..

알파고의 '뇌'...이세돌은 이런 상대와 싸웠다!

이세돌과 '싸운' 알파고. 알파고는 2014년 구글이 인수한 딥마인드가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서울에서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리인'이 바둑을 두는 사이, 지구상 어딘가에서는 알파고의 뇌가 가동되고 있다. 알파고의 뇌가 어디에 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200개의 CPU'라는 말로 설명되긴 하던데, 그렇게만 들어서는 통 감이 오지 않는다. 알파고 자체는 아니지만, AI의 뇌, 정확히 말하면 AI의 신경들이 날마다 무언가 배우고 자라는 곳을 살짝 들여다볼 수는 있다. 2012년 구글은 이례적으로 몇몇 데이터센터의 내부를 찍은 사진들을 올렸다. 영화 에서나 봤을 법한 광경은 이미 현실이 되어 그곳에 있었다. 어쩐지 너무 비현실적이어서 멋지기까지 한 구글의 뇌 속 풍경들. 미국 아이오와주 카운슬블러프스에 ..

프랑스 최고 훈장 레지옹 도뇌르 거부한 소피 마르소  

프랑스 배우 소피 마르소(49)가 프랑스 최고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수상을 거부했다. 12일(현지시간) 르피가로 등에 따르면 마르소는 최근 프랑스 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에게 이 훈장을 수여한 데에 항의하며 훈장 받기를 거절했다. 마르소는 자신의 트위터에 “지난해에만 154명을 처형한 사우디의 왕세자에게 레지옹 도뇌르가 수여됐다. 이것이 내가 레지옹 도뇌르를 거부한 이유”라고 밝혔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배우인 마르소는 여러 사회 현안에 목소리를 내고 환경운동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2014년에는 올랑드의 비밀연애 스캔들이 터졌을 때에는 대통령을 향해 “비열한 겁쟁이”라는 독설을 퍼부었다. 사우디 국영통신 SPA는 지난 6일 내무장관인 무함마드 빈 나예프 왕세자가 프랑스를 방문해 ‘테러와 극단주의에 맞..

알파고와 딥러닝, 로봇이 심부름을 하게 되는 날  

“하루하루 회사 일과 집안일에 치이는 워킹맘인 나는 집에 새로운 가사도우미를 들이기로 결정했다. 이름은 ‘디피’. 휴머노이드라 불리는 ‘인간형 로봇’이다. 비록 아직 얼굴은 몬스터같고 감정표현 따위에는 서툴며 주인인 나의 감정을 잘 이해하지도 못한다. 하지만 나를 대신해 건너편 슈퍼마켓에 가서 파프리카와 대파와 마늘을 사오고, 부엌의 식탁 의자 등받이와 마룻바닥과 이불 위에 흘려둔 구겨진 옷가지를 정리해 옷장에 넣을 줄 안다. 집에 택배로 물건이 배달돼 오면 방문자를 확인해 물건을 받아 쌓아두고, 전화가 오면 받아서 메모해 놓는다. 아침에 바삐 집에서 나가면서 내가 메모지에 써두고 간 잔심부름을 해내기도 한다.” 알파고가 이세돌 9단과의 바둑대결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인공지능(AI)이 어디까지 발전할 것인..

[구정은의 세계]트럼프는 이기고 샌더스는 못 이기는 이유

8일자 미국 뉴욕타임스에 칼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이 이런 글을 썼다. “오직 트럼프만이 트럼프에게 트럼프(승리)할 수 있다”고. 프리드먼의 말을 빌면 트럼프는 ‘걸어다니는 정치학 교과서’다. 무엇보다 그는 사람들의 머리가 아닌 내장(內臟)에 호소한다. “내장 단계(gut level)에서 한 지도자가 사람들과 연결됐을 때 사람들은 이렇게 반응한다. ‘디테일을 가지고 성가시게 굴지 마. 나는 내 본능을 믿어’라고.” 그렇기 때문에 공화당 대선후보가 되겠다고 나선 다른 후보들이 말하는 디테일들이 트럼프 지지자들에게 먹혀들지 않는다는 뜻이다. 재미 저널리스트 안희경 선생도 비슷한 분석을 했다. 그는 트럼프를 ‘전두엽을 마비시키는 지도자’라고 불렀다. “충동적 행동을 조절하고 이성적인 사고를 관장하는 전두엽을 ..

알파고와 이세돌, '기계와의 경쟁'

이세돌이 바둑기계 '알파고'와 대전을 한다. 가리 카스파로프가 컴퓨터와 체스를 둘 때만 해도, 아시아 언론들은 "체스는 몰라도 바둑은 기계가 둘 수 없다"고들 했다. 그러면서 체스와 바둑의 '수준'이 다르다며 난 데 없이 아시아 문화의 우월성(?)을 주장했다. 그 근시안적인 문화우월주의는 이제 완전히 무색해졌다. 중요한 것은 체스냐 바둑이냐는 아닐 것이다. 인간은 기계에게 따라잡힐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2014년 10월 미국 블룸버그 통신에는 독일 자동차회사 아우디가 베를린 서쪽 오셔슬레벤에서 새로 개발한 자동차의 주행 실험을 했다는 기사가 실렸다. 이 실험이 눈길을 끈 것은, RS7이라 이름 붙여진 이 새 자동차가 운전자 없이 달리는 ‘무인 차량’이었기 때문이다. 이 자동차는 시속 305킬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