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반니노 과레스키는 우리나라에서는 ‘돈 까밀로와 빼뽀네(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로 알려져 있지만, 이 작자의 진수를 보여주는 것은 재미있고 우스꽝스런 까밀로 연작보다는 바로 이 작품입니다. 제 기억의 박물관에서는 ‘보리와 임금님’ 다음으로 소중한 것이 이 이야기랍니다. 여러번 베껴쓰기도 했었어요. 친구들에게 편지 쓰면서, 열심히 또박또박 베껴서서 보내주기까지 했다니까요. 그런데 서른씩이나 먹어서 지금 읽어보면, 어쩌면 유치하게 들릴지도 모르겠네요 조반니노 과레스키, 여자라고? 아니, 여자는 필요없다. 술집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약간 흥청거리는 일이라면 난 언제나 찬성이다. 하지만 그 이상은 아니다. 나에겐 이미 내 소녀가 있다. 그녀는 파브리꼰의 길을 따라 늘어선 세 번째 전봇대에서 매일 저녁 나를 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