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57

프랑스 대선 막바지...

누가 니콜라 사르코지와 맞붙을 것인가. 대선을 닷새 남겨둔 프랑스 정국은 여전히 안개 속이다. 정국을 압도하는 핵심적인 이슈도, 치열한 사상적 고민도 없이 치러지고 있는 이번 대선전은 오는 22일 1차 투표를 지나 다음달 6일 결선 투표까지 끝나봐야 판가름날 전망이다. 사상 처음으로 TV연설을 비롯한 `미국식 선거운동'을 도입했다는 이번 선거에서 각 후보들은 뜨거운 이미지 전쟁을 벌였으나 유권자들의 반응은 여전히 냉랭하다. 사르코지 상대는 누구? 이민자 통제와 시장중심 경제개혁을 내세운 전직 내무장관 사르코지는 집권 국민행동연합(UMP)의 지원을 등에 업고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다. 사르코지는 올들어 실시된 100여차례의 각종 지지율 조사에서 거의 대부분 1위를 차지했다. 사르코지의 결선 진출은 확정적..

러시아 시위, 두 갈래 시각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주말인 14일과 15일 이틀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 반대하며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시위가 열렸다. 경찰은 300명 가까운 시위대를 연행하고 집회를 강제해산시켰다. 서방 언론들은 `푸틴의 레임덕을 보여주는 사건'`민주화 요구가 터져나오기 시작한 것'이라며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반면 러시아에서는 여전히 푸틴 대통령이 막강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서방측 시선을 오히려 `반러시아적인 시각'으로 보는 분위기가 강하다. 러시아의 민주주의와 푸틴 체제를 보는 시각은 극명히 엇갈리고 있다. `모스크바의 봄'? 미국과 유럽 언론들은 모스크바 시위를 크게 전하면서 경찰이 곤봉을 휘두르며 시위대를 구타, 체포했다고 전했다. 모스크바 경찰은 2000여명이 집결해 이틀간 벌어진 시위에서 첫날 170여명, ..

휴대전화 때문에 벌들이 사라진다?

미국과 유럽 곳곳에서 `꿀벌들의 실종'이 벌어진 것은 휴대전화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인디펜던트지는 15일 요켄 쿤 박사가 이끄는 독일 란다우대학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인용,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파 때문에 꿀벌들이 신경계통 이상을 일으켜 길을 잃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앞서 미국에서는 올들어 26개 주에서 양봉 농가들이 키우는 꿀벌의 60% 이상이 사라진 것으로 드러났으며 비슷한 현상이 영국, 독일, 스위스, 스페인, 포르투갈 등 유럽 곳곳에서도 보고됐었다. 양봉 농가들과 과학자들은 꿀을 채집하기 위해 벌집을 나선 벌떼가 몽땅 사라지는 이 현상을 `벌떼폐사장애(CCD)'라 명명하고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애써왔다. 벌떼가 사라지면 벌들에게 꽃가루받이를 의존하는 식물들도 대거 사라질 수 있다..

눈먼 시계공 -당연히 재미있다. 도킨스니까.

눈먼 시계공 The Blind Watchmaker (1986) | 사이언스 클래식 3리처드 도킨스 (지은이) | 이용철 (옮긴이) | 사이언스북스 | 2004-08-09 당연히 재미있다. 도킨스니까. 유머러스하면서 정곡을 콕콕 찌른다. 이 책은, 진화론을 비판하는 작자들이 하는 말이 왜 개소리인지를 까발리는 책이다(도킨스의 책에 대한 느낌은, 언제나 그렇듯이 ‘점잖은 말’로는 잘 표현이 되지 않는다. 도킨스는 대단히 인텔리전트하면서도 점잖지 않은 사람이니까). 자연선택은 점진적, 누적적인 과정이다. 어느날 갑자기 인간이 튀어나올수 있냐고, 박테리아가 어떻게 인간이 되냐고 묻는 ‘무식한 창조론자들’에게 도킨스는 점진성과 누적성을 무기로 반격을 가한다. 오랜 시간 점진적으로, 그리고 먼젓번 진화의 누적된 성..

진화하는 세계화- 동네마다 다른 '세계화', 구체적으로 보는 방법

Many Globalization (2002) 진화하는 세계화 타모츠 아오키 | 앤 번스타인 | 아르투로 폰테인 탈라베라 | 신-후앙 마이클 시아오| 제임스 데이비슨 헌터 | 한스프리트 켈너 | E. 푸앗 케이만 | 야노시 마차시 코바치 | 에르군 외츠부둔 | 한스-게오르그 쇠프너 | 툴라시 스리니바스 | 윤시앙 얀 | 조슈아 예이츠 (지은이) | 새뮤얼 헌팅턴 | 피터 L. 버거 (엮은이) | 김한영 (옮긴이) | 아이필드 | 2005-12-10 편저자 이름은 유명한데 제목은 어째 번역해 내는 출판사에서 꿔다붙인 것 같고 출판사도 통 모르는 곳이고 해서, 알라딘에서 이 책 보관함에 넣어놓고 몇 번을 클릭했다 놓았다 반복했다. 인터넷에서 잘 모른채 책 샀다가는 실패하는 수가 있기 때문에, 인터넷 서점 애..

딸기네 책방 2007.04.11

230억원짜리 '우주의 만찬'

미국인 우주관광객 찰스 시모니가 소유즈 우주선 해치를 열고 ISS로 이동하려 하고 있다. 옛소련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이 인류 최초로 지구 궤도를 도는데 성공했던 것은 46년 전인 1961년 4월 12일. 러시아는 이 날을 `우주비행사의 날'로 정해 지금도 기념하고 있다. 올해 우주비행사의 날에는 지구 궤도를 도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아주 특별한 만찬이 벌어질 전망이다. 우주여행에 나선 미국의 한 갑부가 ISS를 방문해 미국인, 러시아인 우주비행사와 함께 화려한 만찬을 즐기기로 한 것. AP통신은 미국인 우주관광객 찰스 시모니(58)가 9일(러시아 시각) 동행한 우주비행사 2명과 함께 ISS에 무사히 도착해 짐을 풀었다고 전했다. 지난 7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에 있는 러시아 코스모드롬(우주기지..

빗나간 예언들

불과 20여년 전에 미국인들은 화성침공을 방불케하는 `일본인들의 경제적 침공'을 운운하며 두려움에 떨었다. 1985년 일본 엔화 환율을 강제로 조정한 `플라자합의'는 이런 공포감의 소산이었다. 그러나 이후 일본 경제는 장기불황에 빠져들었다. 1999년 지구가 멸망할 것이라던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까지 가지 않더라도, 가까운 역사만 둘러봐도 이렇게 `잘못된 예언'들은 많다.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는 9일 인터넷판에서 세계의 변화를 틀리게 예측한 대표적인 잘못된 예언 5가지를 뽑았다. (사실 포린폴리시는 '제목 장사', 시쳇말로 낚시질하는 잡지인데 울나라 언론들은 넘 좋아한다;;) ▲ 원자력 세상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폭탄이 떨어지면서 인류는 핵에너지의 막강한 위력에 눈떴다. 핵분열의 파괴적, 장기적인 ..

'가스 카르텔'... 쉽지 않을걸.

카타르 도하에서 9일과 10일 천연가스 수출국들의 모임인 가스수출국포럼(GECF) 총회가 열린다. 지난달 러시아가 가스 생산국들의 협력관계를 강화하겠다며 팔을 걷어부친 이래 수입국들은 생산국들이 `가스 카르텔'을 형성하려 하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 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AFP통신 등 외신들은 러시아, 이란, 알제리, 베네수엘라, 인도네시아 석유, 에너지장관들이 GECF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8일 도하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주최국인 카타르를 포함해 이번 회의에 참석하는 6개국은 전세계 가스 매장량의 72%를 보유하고 있으며 생산량 기준으로는 42%를 차지하고 있다. 6개국 장관들은 이번 회의를 통해 가스 수출국들의 이해관계를 조율하기 위한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단 이번 회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취임 100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취임한지 10일로 100일이 된다. 지난 석달여 동안 반 총장은 아프리카와 중동 등 분쟁지역을 발로 뛰며 사흘이 머다하고 각국 정상들과 만남을 가지면서 세계 최고 외교관다운 중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취임 초기 이라크 사담후세인 대통령 처형에 대한 `말 실수' 등으로 다소 냉소적인 시선을 받기도 했던 반 총장이 지금은 분쟁 중재와 유엔 개혁 등에서 회원국들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수완을 인정받고 있다고 외신들이 9일 전했다. 반기문과 압둘라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반기문과 수단의 오마르 알 바시르 대통령 반기문과 레바논 야당지도자 사아드 알 하리라 반기문과 호스니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 반기문과 아므르 무사 아랍연맹 사무총장 반 총장은 9일 오전 10시 미국 뉴욕의 유엔 본부에서 분쟁지역 ..

미국이 바뀐 걸까

미국이 이른바 `불량국가'들에 대한 입장을 바꾼 것인가. 워싱턴의 유명 정치인들과 고위 외교관들이 잇달아 미국에 적대적이었던 나라들을 방문했거나 찾을 계획이어서 눈길을 끌고 있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시리아를 방문, `히잡(머리쓰개) 외교'를 선보인데 이어 8일에는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주지사와 빅터 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북한을 찾는다. 오는 11일부터는 존 네그로폰테 부장관이 미국 최고위급 외교인사로서는 반세기만에 리비아를 찾을 예정이다. 네그로폰테 부장관은 또 미국이 테러지원국가로 최근 몰아붙이고 있는 북아프리카 수단도 방문한다. 리비아 방문에 쏠린 시선 네그로폰테 부장관이 11일부터 19일까지 수단 다르푸르 분쟁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북아프리카 리비아와 수단, 모리타니,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