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네 책방 863

촘스키 - 머가 하룻밤의 지식여행이야.

하룻밤의 지식여행 1 촘스키 존 마허 (지은이) | 주디 그로브스(그림) | 한학성 (옮긴이) | 김영사 | 2001-02-20 촘스키의 책을 몇권 읽었더니... 내용에는 전적으로 동의하지만, 촘스키 특유의 어법에 많이 익숙해진데다가 내용도 대동소이해서 좀 시들해지던 차였다. 바로 얼마전에 '패권인가 생존인가'를 읽으면서 형편없는 번역 때문에 신경질이 많이 나기도 했고. 그러다 문득 돌이켜보니, 정작 촘스키의 언어학 이론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다는 생각이 떠올랐다. 촘스키의 '본업'을 모르고서 촘스키 책들을 읽었다고 할 수 있을까. 촘스키라는 사람의 논리구조에 대해 좀더 알아볼 필요가 있지는 않을까. 그렇다고 생판 문외한인 내가 촘스키의 언어학 저술을 읽기엔 버겁고, 언어학 개론서부터 시작하기도 답답하고..

딸기네 책방 2005.01.15

어깨 너머의 연인

어깨너머의 연인 유이카와 케이 (지은이) | 김난주 (옮긴이) | 신영미디어 | 2002-11-20 출판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는데 일본 소설만 잘 팔린다는 통계조사가 나온 모양이다. 하긴, 한국 소설 읽은지 오래된 나도 최근 몇년간 일본 소설은 읽었으니까. 무라카미 류, 무라카미 하루키, 마루야마 겐지, 요시모토 바나나, 아사다 지로 같은 소설가의 책들. 다만 국적이 일본이라는 이유로 저 소설가들을 줄줄이 묶었지만, 실상 저들의 소설은 스타일이 제각각이다. 소설들이 주는 재미도 작가에 따라 다르고, 주제나 분위기도 모두 다르다. 나름의 재미가 있고 나름의 장점이 있다. 그러니 일본 소설이 이러저러해서 재미있다고 딱 잘라 말하긴 힘들다. 소설보다 내가 더 좋아하는 것은 드라마인데, 책방에서 드라마 얘길 하려..

딸기네 책방 2005.01.15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 Feynman's Rainbow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지은이) | 정영목 (옮긴이) | 세종서적 | 2004-04-30 그럭저럭 재밌게 읽었다. 시나리오 작가라는 믈로디노프가 칼텍(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이론물리학 연구원 생활을 했던 첫 1년 동안 같은 건물 같은 층에 연구실을 두고 있던 파인만을 만나 들은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엮었다. 저자 자신의 설명을 빌면 "이 책은 세상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한 젊은 물리학자의 이야기이며, 인생의 끝에 다가선 상태에서 깊은 지혜로 그를 도와준 한 유명한 물리학자의 이야기"이다. 또한 "리처드 파인만의 말년, 역시 노벨상 수상자였던 머레이 겔만과 파인만의 경쟁, 지금은 물리학과 우주론을 개척해나가는 중요한 이론으로 자리잡은 끈 이..

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Ubiquity: The Science of History . . . or Why the World Is Simpler Than We Think 마크 뷰캐넌 (지은이) | 김희봉 (옮긴이) | 지호 | 2004-09-13 분명 저자 소개에는 물리학 박사라고 나와있는데, 그러니 물리학에 대한 책인 줄 알고 펼쳐들었는데 세르비아에서 울린 두 발의 총성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리고 앞의 4분의1 정도는 지진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지진의 원인은 무엇인가. 지진을 예측하는 것은 왜 그렇게 어려운가, 아니 불가능한가. 그러더니 역사에 대한 얘기가 나오고 경제 얘기도 나온다. 대체 이 책은 무슨 책인가. 진정 유비쿼티(책의 원제목)를 책 한권 안에서 구현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물리학 박사..

딸기네 책방 2005.01.13

[스크랩] 귄터 쿠네르트, '가정배달'

잘못 들어선 길에서 Auf Abwegen und Andere Verirrungen 귄터 쿠네르트 (지은이) | 권세훈 (옮긴이) | 문학과지성사 1. 거리 풍경에는 주목할 만한 변화가 없다. 아마도 평소보다 더 많은 짐차들이 도시를 굴러다니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기껏해야 완벽한 교통 경찰관들에게나 눈에 띄었을 뿐이다. 고요한 새벽녘과 마찬가지로 매일 저녁 어둠이 깔리고 나면 그때까지 거리를 돌아다니던 이 수많은 짐차들이 갑자기 이집 저집 앞에 멈춰서서는 상자나 궤짝 혹은 나무로 된 입방체를 내려놓은 다음 운전기사와 조수들이 그것을 들고 익숙한 솜씨로 급히 현관 안으로 사라지는 모습은 어쨌든 처음에는 주목을 끌지 못했다. 가끔 그들은 그것을 질질 끌고 가는가 하면 심지어는 한 주택 건물에 열 개 이상을..

딸기네 책방 2005.01.08

고대 이스라엘의 발명

고대 이스라엘의 발명 The Invention of Ancient Israel (1996) 키스 W.휘틀럼 (지은이) | 김문호 (옮긴이) | 이산 | 2003-08-28 최근 몇 년 동안 되는대로 집히는대로 읽어왔던 것은 중동/이슬람/이스라엘-팔레스타인에 관한 책들이었다. 왜 책을 읽는가? 잠시 우문(愚問)을 던져보면, '보기' 위해서다. 그냥 남이 보여주는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바로 보기' 위해서 책을 읽는다고, 간단하게만 대답해주자. 바로 보는 것, 제대로 보는 것은 '가려진 것'들까지도 보는 것, '권력의 담론'에 머무르지 않고 '배제된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책을 읽을 때마다 절절이 깨닫게 되는 사실이 있다. 제대로 보려면 많이, 구체적으로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이스라엘-팔레스타..

딸기네 책방 2005.01.08

'아자니아의 검은 거인' 반투 스티브 비코- 과거를 잊고 책읽을 자유를 달라

아자니아의 검은 거인, 반투 스티브 비코 (원제 The Revised Edition Biko) 도널드 우즈 (지은이) | 최호정 (옮긴이) | 그린비 | 2003-10-30 '위대한'이라는 수식어가 어울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읽을 때마다 마음 속으로 꼭 한번씩 묻게 된다. '우리에게 그런 위대한 인물이 있는가?' 여기서 '우리'는 물론 한국민, 한국인이다. 간디 평전을 읽을 때 나는 인도인이 간디를 생각하듯 그렇게 한국인들의 마음에 떠오르는 인물이 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었다. 덩샤오핑의 평전을 읽을 때에는 (정치적 공과에 대한 여러가지 평가가 있겠지만) 우리에게 그런 정치인이 있었던가를 물었고, 만델라에 대한 글을 읽을 때에는 우리에게 만델라 같은 투사가 있는지, 있었던지를 물었다. 그리고 지금..

딸기네 책방 2005.01.07

2005년의 첫 책, '잘못 들어선 길에서'

잘못 들어선 길에서 Auf Abwegen und Andere Verirrungen 귄터 쿠네르트 (지은이) | 권세훈 (옮긴이) | 문학과지성사 | 2000-11-30 "아무것도 부인하지 않으련다. 모두 시효가 지났기 때문이다. 1730년 이후 여러 명의 산지기를 먹어치웠음을 고백하는 바다. 그들이 풍기는 역겨움에다가 값싼 담배, 사슴뿔 단추, 더러운 로덴천 등의 냄새는 내 식욕에 대한 충분한 형벌이라고 해도 좋다. 그러나 나는 백년이 넘도록 산지기를 두번 다시 건드리지 않았다." 이렇게 시작되는 소설. 산지기를 먹어치운 '그 누구'를 상상하게 만들고, 압도되게 만들고, 기어이 충격을 주는 소설, 그리고 한바퀴 돌아서 어이없이 '그 누구'를 먹어치워버리는 세상에 대한 풍자. 귄터 쿠네르트, 동독 출신으로..

딸기네 책방 2005.01.05

패권인가 생존인가 - 번역 개판 촘스키 책

패권인가 생존인가 Hegemony or Survival : America's Quest for Grobal Dominance (2003) 아브람 노엄 촘스키 (지은이) | 오성환 | 황의방 (옮긴이) | 까치글방 | 2004-11-20 뭐랄까, '촘스키식 글쓰기'라고 해야할까. 어느정도 그런 식의 말투엔 익숙해진 것 같다. 촘스키의 전작들, 언어학에 대한 책들 말고 '미국'에 관한 책들을 읽어왔던 사람이라면, 이 책의 내용은 낯익다 못해 솔직히 지겨운 감마저 든다는 점. 언뜻 떠올려봐도 '불량국가'라든가, '전쟁에 반대한다' 등등의 책들과 내용은 사실 비슷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론 촘스키의 작업은 의미가 있다. 첫째는, 아직 미국이 세계 곳곳에서 저지른 일들은 (특히 국내에선)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는..

딸기네 책방 2005.01.04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말, 글, 이야기.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월터 J. 옹 (지은이) | 이기우 | 임명진 (옮긴이) | 문예출판사 | 1995-02-01 오랜만에 재미난 책을 읽은 느낌. 평소 생각해보지 못했던 주제, '당연하다'고 여기고 있던 것에 대한 지적인 도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책을 읽는 것이 아닐까. '책'을 '읽는다'- 이 책은, 바로 '책'과 '읽는다'는 것, '말'과 '이야기한다'는 것에 대한 책이다.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의 이행(모든 사회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지만)이 인간의 의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문자와 책과 인쇄가 어떻게 인간의 사고방식을 시각적인 텍스트로 '고정'시켰는지에 관한 '책'이다. 선입견을 버리고 구술문화를 바라볼 것을 강조하는 저자의 요구가 다름 아닌 '책'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다..

딸기네 책방 200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