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 4019

나이로비 테러 ‘알샤바브’, 소말리아에서 또 테러

지난해 9월 케냐 나이로비의 쇼핑몰에서 대형 테러공격을 일으킨 소말리아 극단주의 무장조직 ‘알샤바브’가 신년 벽두부터 또 테러를 저질렀다.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의 호텔에서 1일 알샤바브가 저지른 것으로 보이는 연쇄 테러가 일어나 10명 이상이 숨졌다고 소말리아 라디오방송 RBC가 보도했다. RBC에 따르면 이날 모가디슈의 고급호텔이 자지라 호텔 앞으로 폭발물을 실은 차량이 돌진, 자폭하면서 4명이 목숨을 잃었다. 당시 호텔 앞에는 보안요원들과 무장경찰이 있었지만 돌진해오는 차량을 막을 수는 없었다. 이 공격이 있고 나서 30분쯤 지나 다시 폭탄차량이 돌진해 건물에 충돌했다. 첫번째 공격 뒤 사고현장을 조사하고 있던 경찰관 2명을 포함해 6명이 두번째 공격에 희생됐다. 경찰은 공격을 감행한 테러범이 3명..

팔레스타인 85세 노인, 이스라엘군 최루가스에 사망

팔레스타인의 85세 노인이 이스라엘군이 쏜 최루가스에 숨졌다. 로이터통신은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지구 북서부 나블루스 부근에 살던 사이드 자세르 알리라는 85세 노인이 2일 이스라엘군이 쏜 최루가스를 맡고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노인이 거주하던 나블루스 외곽 쿠프르 카둠 마을에서는 팔레스타인 집권 ‘파타’ 창설 49년을 기념해 젊은이들이 모여 축제를 하고 있었다. 이스라엘군 점령부대가 마을에 들이닥쳐 최루가스를 쐈고, 최루탄 한 발이 알리의 집안에 떨어졌다. 알리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이튿날 사망했다. 이로써 알리는 올들어 이스라엘군에 희생된 첫번째 팔레스타인인이 됐다. 이스라엘군은 이 사건에 대해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85세 노인의 죽음은 이스라엘의 점령정책이 바뀌지 않는 ..

러시아 이틀째 연쇄테러...기차역 이어 트롤리버스 폭발

소치 동계올림픽을 한달여 앞두고, 러시아에서 연쇄 폭탄테러가 일어났다. 중부 볼고그라드의 기차역에서 자폭테러로 16명 가량이 숨진 지 하루만에, 30일 볼고그라드에서 다시 테러로 보이는 폭발이 일어나 10명 이상이 숨졌다. 러시아 리아노보스티통신은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소치에서 690km 떨어진 중부 볼고그라드에서 30일 오전(현지시간) 또다시 테러가 일어나 1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이날의 타깃은 시내를 운행하는 트롤리버스(무궤도전차)였다. 목격자들은 볼고그라드 시내 드제르진스키 시장 부근을 지나던 트롤리버스에서 폭발이 일어났으며 시신들이 사방으로 흩어졌다고 전했다. 러시아 소셜미디어에는 처참한 현장 사진들이 올라오고 있다. 인구 100만명의 볼고그라드는 이슬람 분리주의 반군들이 활동하는 체첸자..

혐한시위 반대해온 일본 변호사 우쓰노미야 겐지, 도쿄도지사 출사표  

한국에서도 ‘일본계 대부업체’들 문제가 종종 제기되곤 하지만, 일본은 이미 1970년대부터 서민들을 괴롭히는 대부업체 문제로 몸살을 앓았다. 서민들과 중소기업, 자영업자들이 대부업체들에서 돈을 빌리고, 빚을 갚기 위해 다시 대출을 받아 ‘빚 돌려막기’를 하는 사례가 많았던 것이다. 이로 인해 일가족 동반자살이나 야반도주가 속출했다. 개혁에 나선 것은 일본의 시민사회단체, 그리고 법조계였다. 대부업체들의 대출이자 상한을 대폭 낮추는 운동에 나서, 정부가 허용한 대출금리 연 109.5%를 15~20%로 대폭 낮췄다. 이 과정이 쉽지는 않았다. 거의 30년 가까운 세월이 걸렸다. 이 운동을 주도한 것은 도쿄대 법대를 졸업하고 변호사가 돼 ‘대부업체 피해 전문가’로 명성은 얻은 우쓰노미야 겐지(宇都宮健兒·67·..

소치올림픽 앞두고... 러시아 잇단 테러  

내년 2월 소치 동계올림픽 개막을 한달 남짓 앞두고, 러시아에서 테러공격이 잇달이 일어나고 있다. 29일 소치에서 690km 떨어진 러시아 중부 볼고그라드의 기차역에서 여성 테러범이 자폭테러를 일으켜 최소 18명이 사망하고 40여명이 다쳤다. 러시아투데이 등은 이날 낮 12시 45분쯤 폭발이 일어났으며, 불길이 치솟고 빌딩 곳곳이 무너졌다고 보도했다. 목격자들은 현장 주변에 콘크리트 잔해와 함께 시신들이 흩어져 있었다고 전했다. 테러를 누가, 왜 저질렀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당국은 볼고그라드가 있는 북캅카스 지역에서 러시아 정부에 맞서 테러공격을 벌여온 체첸 세력의 소행으로 보고 있다. 인구 100만명의 볼고그라드는 이슬람 반군의 테러공격이 계속되는 체첸자치공화국, 다게스탄공화국과 멀지 않은 곳이다. ..

시리아 ‘통폭탄’에 민간인들 또 희생

시리아 최대 도시인 알레포 중심가 타리크 알바브 거리에 28일 오전 ‘통폭탄(barrel bomb)’들이 쏟아져내렸다. 정부군 헬기가 폭발물이 가득 들어있는 통들을 실어다 민간인 거주지역인 이 곳에 떨어뜨린 것이다. 통폭탄들이 떨어진 곳은 청과물 시장이었고, 장보러 온 손님으로 북적이고 있었다. 알자지라방송은 상가 건물들이 부서지고 1채는 완전히 무너졌으며, 수백명이 다치고 최소 25명이 숨졌다고 전했다. 구호활동가들의 조직인 시리아혁명총위원회(SRCG)는 이날의 공격을 “민간인들을 노린 학살”이라고 표현했다. 영국에서 시리아 민간인피해를 집계하고 있는 시리아인권관측소는 어린이 2명, 10대 1명, 여성 1명, 언론단체 활동가 1명 등이 숨진 사람에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3년 가까이 내전을 치르고 있는..

오키나와, 미군기지 들어설 헤노코 해안 매립 허용키로

일본 오키나와현이 미군 후텐마 공군기지를 현 내에서 이전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이전 예정지인 헤노코 해안 매립작업을 승인하기로 했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들은 나카이마 히로카즈(仲井眞弘多) 오키나와 지사가 후텐마 기지 이전 부지인 나고시 헤노코 연안 매립신청을 승인하기로 결정했으며, 금명간 기자회견을 갖고 공식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27일 보도했다. 일본은 1996년 오키나와 남부 후텐마에 있는 미 해병대 비행장을 2014년까지 이전하기로 미국과 합의했고, 2006년에는 이전지역을 북쪽의 헤노코 연안으로 정했다. 하지만 ‘현외 이전’을 요구하는 오키나와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의 반발이 거세 이전 작업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정부는 지난 3월 헤노코 일대 매립신청을 오키나와 현에 냈으며, 이후 현 측이 ..

아베 일본총리, 야스쿠니 신사 '기습 참배'... 한·중 격앙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6일 오전 전격적으로 야스쿠니(靖國)신사를 참배했네요.참.... 쓰잘데 없는 짓으로 또 한중일 사이에 격랑이 몰아치겠군요. NHK방송과 교도통신 등은 아베 총리가 취임 1년이 된 26일 오전 2차 세계대전 A급 전범들이 합사된 도쿄 시내 구단시타의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일본 현직 총리가 야스쿠니를 참배한 것은 지난 2006년 8월 15일 ‘종전기념일’에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가 참배한 이후 7년 4개월 만에 처음이랍니다. 아베는 이날 오전 양복에 회색 넥타이를 매고 보좌진과 함께 야스쿠니를 방문했습니다. 그는 이날의 참배가 “다시는 사람들이 전쟁을 겪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호소하기 위해”라고 주장했으며, “중국과 한국에 상처를 주려는 의도는 없다..

나이지리아에서도, 피지에서도... "한국 철도민영화 반대" "노동자 파업 지지"

한국 철도노조 파업은 한국만의 뉴스가 아니로군요. 민영화(정부는 아니라고 주장하지요. 어느 외신의 표현을 빌면 suspected privatization~)에 대한 찬반은 차치하더라도, 노조의 파업을 이런 식으로 불법화하고, 지도부 잡겠다고 언론사에 들이닥쳐 문을 부수고, 종교시설에 변장한 경찰들(촌스럽습니다) 들여보내는 게 가히 아름다운 모습은 아닌 것 같습니다. 나이지리아 언론 데일리뉴스워치 기사입니다. 피지에서도... 불가리아에서도... 그 유명한 미국의 팀스터스도... 영국에서도... 국제앰네스티도 "체포작전 중단하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오는 27일 정오(현지시간)에 노동단체들이 한국의 철도노조 파괴와 대량해고에 항의하는 집회를 연다고 합니다.

한빛부대 파병 중인 유엔 남수단 평화유지임무란

아프리카 중동부 남수단에서 활동하는 한국 평화유지군 ‘한빛부대’ 주둔지 부근에 포탄이 떨어진 것으로 전해지면서, 남수단에서의 유엔 평화유지임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남수단은 독립한지 2년여 된 신생국이며, 유엔남수단임무(UNMISS) 역시 유엔의 평화유지 활동 중 가장 최근에 구성된 것이다. UNMISS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1996호에 의해 2011년 7월 8일 만들어졌다. 국민 투표 결과에 따라 남수단이 독립국가를 선포하기 하루 전날이었다. 독립 2년 신생국 남수단 지원 위한 평화유지임무 유엔 결의안을 보면 UNMISS의 임무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평화정착과 국가건설·경제개발을 지원하는 것, 남수단 정부의 분쟁예방 활동과 민간인보호 노력을 지원하는 것, 남수단 정부가 치안능력을 강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