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265

'생색내기' 구호품 반입

“집이 다 부서졌는데 시멘트 대신 초콜렛이 웬말이냐.” 지난달말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로 향하는 ‘자유가자운동’ 구호선단을 공격, 구호요원들을 살해한지 한달 여가 지났다. 이스라엘은 형식적으로나마 가자지구에 대한 비인도적 봉쇄조치를 완화한다고 발표했고, 1일에는 자유가자운동 선박에 실려 있던 구호품들이 유엔 요원들을 통해 가자지구에 일부 전달됐다. 하지만 여전히 봉쇄완화는 생색내기에 그치고 있어, 주민들의 고통이 이어지고 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전했다. 팔레스타인 여성과 어린이들이 1일 이스라엘의 구호선 공격 한달을 맞아 가자시티 항구에서 반이스라엘 ‘꽃 시위’를 하고 있다. |AP 유엔 팔레스타인난민기구(UNRWA)는 1일 성명을 내고 지난 4월말 이스라엘군에 습격당한 뒤 압수됐던 자유가자운동 ..

[코트디부아르]코나크로 아이들

코트디부아르 내륙, 코나크로 마을(정확히 말하면 '크로'가 '마을'이라는 뜻이래요)에서 만난 아이들입니다. 마을 어귀에서 맞아주던 소녀. 저를 맞아준 것은 물론 아니고요 ^^;; 의료봉사 다니시는 박프란치스카 수녀님을 보고 반가워서 웃는 거예요. 코나크로는 인구가 1000명이 넘는 제법 큰 마을인데, 집들이 흙집이긴 하지만 반듯반듯 이쁘고 길도 깨끗하게 잘 닦여 있었습니다. 마을 가운데에 서 있는 거대한 바오밥 나무. 깨끗하게 잘 정돈돼 있죠? 어린 여자애인데, 부룰리 궤양으로 다리의 피부가 동그랗게 없어졌어요. 울면서 치료받고, 새 붕대 감고는 금새 저러고 달려가네요. 내 옆에 딱 달라붙어 있던 꼬맹이. 한컷 더. 언니오빠 포스 장난 아니죠? 눈이 정말 크고 이쁜데... 사진이 좀 못나왔네요. 얘도 엄..

기름 먹는 '초대형 방제선' 멕시코만으로

해저 탐사로봇, 심해 잠수정, 거대한 철제 캡(뚜껑), 진흙 실린더…. 멕시코만 해저유정 기름유출 재앙을 막아 보려 온갖 첨단기술과 장비를 동원해온 미국이 ‘최후의 결전’에 나선다. 이번 ‘무기’는 세계 최대 규모의 유조선이다. AP통신은 30일 미 당국이 축구장 3.5배 길이에 10층 건물 높이의 초대형 선박을 불러다 기름 걷어들이기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고래A’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배는 길이 340m, 높이는 60m에 이른다. 배는 한국에서 제작됐고 선주는 대만의 선사 TMT다. 선적은 아프리카 라이베리아에 두고 있다. 원래는 원유와 철광석 등을 대량수송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멕시코만 사태가 난 뒤 TMT의 노부 쑤 최고경영자가 오일스키머(물 위에 뜬 기름을 분리·흡수하는 설비)로 개조하도록 지..

나치제국의 내분, '긴칼의밤'

하인리히 히믈러는 나치 제국의 지도자 중 한 사람으로, 유대인 강제수용소와 대량학살의 주범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SS라는 약칭으로 알려진 아돌프 히틀러의 친위대를 이끈 것이 히믈러다. 1900년 뮌헨 근교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히믈러는 23년 에른스트 룀이 이끄는 나치 돌격대(SA)에 가입했고, 히틀러·룀과 함께 뮌헨에서 ‘맥주홀 폭동’으로 알려진 폭동을 일으켰다. 2년 뒤에는 친위대에 가입했으며 친위대 안에서 고속승진을 거듭했다. 히믈러는 맥주홀 폭동 때 히틀러와 룀이 징역형을 선고받은 반면 자신은 그냥 풀려났던 것에 끝없는 회한을 표했을 정도로 맹목적인 히틀러 추종자였다. 히틀러도 히믈러를 점차 신임하게 됐고, 마침내 히믈러는 29년 친위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됐다. 룀의 돌격대가 대규모 무력부대였다..

[코트디부아르]아프리카의 슬럼가 풍경

벌써 다녀온 지 석달이 지났는데, 이래저래 시간도 없고... 못 올렸던 사진들 지금부터라도 좀 풀려고요. 코트디부아르 수도 아비장 부근, 예전 프랑스 식민지 시절의 수도였던 벵제르빌 마을의 풍경입니다. 대도시 바로 옆의 전형적인 슬럼지역입니다. (아비장 내에도 물론 대형 슬럼가가 있고요.)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망고나무. 그렇게 보기 좋을 수가 없어요. 맛도 있고... 시골마을 배고픈 사람들에겐 음식도 되고, 팔 거리들도 되고... 슬럼에 가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것이 아이들입니다. 첫째 아이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유아사망률이 높은 곳일수록 아기를 많이 낳는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부모들의 무의식적인 선택이기도 하고, 교육수준이 낮은 미개발된 지역일수록 농업에 의존하다보니 아이를 많이 낳는 까닭도 있겠..

'나일강의 기적' 이집트의 꿈 이뤄질까

지난 24일 홍해에 면한 이집트의 수에즈특별경제구역(SEZ)을 방문했다. 카이로에서 1시간 동안 차를 타고 달려, 아인 수크나 항구에 붙어있는 SEZ에 도착했다. 황량한 사막을 한 토막 잘라 구획지은 것 같은 너른 땅 한가운데에 새로 지은 건물과 한자가 쓰인 깃발들이 나타났다. 중국 국영 톈진경제기술개발지역공사(TEDA)가 부지를 빌려 짓고 있는 SEZ 내 ‘중국 구역’이었다. 접착식 부직포 제품들을 생산하는 중국 회사 CTMC의 현지공장에서는 히자브(머리수건)를 두른 이집트인 여성 노동자들이 부지런히 손을 놀리며 생산된 제품을 포장하고 있었다. CTMC는 이런 종류의 섬유제품 생산으로는 세계 3위 규모의 기업이다. 이웃한 요업공장은 이집트 기업인 클레오파트라그룹 산하 ‘세라미카 엘도라도’가 운영하는 곳..

독립언론 반세기 접고 '좌파 컨소시엄' 대주주로 맞은 르몽드

극심한 경영위기에 몰렸던 프랑스의 대표적인 신문 르몽드가 28일 좌파 성향 기업인들로 이뤄진 컨소시엄을 새로운 주인으로 맞게 됐습니다. 독립언론 르몽드의 신화는 반세기 만에 막을 내렸습니다. 르몽드는 28일 경영감독위원회 회의를 열어 라자르 투자은행 최고경영자 마티외 피가스, 이브생로랑 패션하우스 창업주인 피에르 베르제, 인터넷사업가 자비에 니엘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대주주로 맞기로 결정했습니다. 프랑스텔레콤의 자회사 오랑주, 프랑스의 미디어그룹인 누벨 옵세르바퇴르, 스페인 미디어그룹 프리사도 르몽드에 눈독을 들였으나 르몽드의 주주인 기자들과 임직원은 베르제-피가스-니엘 컨소시엄을 택했습니다. 3자 컨소시엄은 르몽드에 1억유로(약 15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긴급수혈되는 투자자금 대부분은 르..

피묻은 다이아몬드, 끝없는 논란

내전·아동노동 등 부당한 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이른바 ‘피묻은 다이아몬드’의 생산·거래를 금지한 킴벌리 프로세스(KP)가 위기에 봉착했다. 최근 들어 앙골라 다이아몬드 광산들의 아동 노예노동이 드러난데 이어, 짐바브웨에서도 독재정권의 불법 다이아몬드 거래 의혹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AFP통신은 27일 짐바브웨의 마랑게 광산에서 생산되는 다이아몬드들에 대해 인권단체들의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는 기사를 실었다. 짐바브웨 다이아몬드 논란이 불거지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초. 야당 탄압과 억압통치로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독재자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이 다이아몬드를 내다팔기 위해 광산지대에 군을 투입, 주민들을 노예노동으로 내몰고 있다는 것이었다. KP를 주도해온 인권단체 ‘글로벌 위트니스’와 휴먼라이츠워치 등 인권..

이라크 문화유산만 생각하면 한숨이...

지난 25일 이라크 북부 중심도시 모술에서 거대한 폭발음이 들렸다. 무장 저항세력이 시내 알 타우바 언덕위에 세워진 나비 유누스 모스크(아래 사진)를 폭탄으로 공격한 것이었다. 다행히 사상자는 없었지만 모스크를 둘러싼 성벽이 무너지고 말았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이 모스크는 지금은 이슬람 사원으로 쓰이고 있지만, 모스크 아래에는 고대 도시 니네베 시절의 초기기독교 유적이 자리잡고 있다. 성서에 나오는 요나의 무덤이 이 사원안에 있어 ‘요나 모스크’라 불리기도 한다. 이번 공격으로 무너진 성벽의 일부는 기원전 7세기 앗시리아 왕국 시절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쟁통에 방치된 이라크 유적들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잠시 시들해지자, 고대 유적·유물에 대한 파괴와 약탈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이라크 ..

아르헨 축구의 악몽, '푸에르타 도세 참사'

엘 수페르클라시코. 영어식으로 말하면 ‘수퍼 클래식 더비’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와 레알마드리드의 엘 클라시코 더비도 유명하지만,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1부 리그)의 보카 후니오르스와 리베르 플라테의 경기도 치열하기로는 그 못잖다. 마라도나가 뛰었던 팀으로 유명한 보카는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명문 중의 명문으로 리켈메, 델가도, 테베스 등이 이 팀을 거쳐갔거나 지금도 뛰고 있다. 리베르 또한 에르난 크레스포를 비롯해 아얄라, 사비올라, 캄비아소 등 쟁쟁한 선수들이 거쳐갔던 클럽이다. 두 클럽 모두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연고로 하는데, 출발부터 따지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맨체스터시티처럼 보카는 노동자들의 사랑을 받던 구단, 리베르는 부르주아들이 좋아하는 구단이었다. 지역적으로도 보카는 노동자들이 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