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49

2005 소설읽기 3/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El Cartero de Neruda (1985)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은이) | 우석균 (옮긴이) | 민음사 | 2004-07-05 소설이건 영화건 만화건, 정말 재미있는 것은- 한참 웃다가 눈시울 시큰하게 만드는 그런 것이 아닐까. 이 책이 딱 그런 책이다. 너무 마음에 들어버려서 다 읽고난 이 책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민스럽다. 금박으로 포장해서 나무 상자에 넣어둘까? 한장 한장 찢어내서 벽지로 발라버릴까? 꽃띠로 리본을 매어 액자에 넣어 걸어놓을까? 차라리 몽땅 베껴써볼까? 독자를 웃게 만들려면 작자가 웬만큼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너저분하지 않게, 살짝살짝 감각적이면서 솔직한 언어로 찌꺼기 없는 웃음을 선물해주는 책. "몇달 전부터 그 마리오란 놈팡이가..

딸기네 책방 2005.01.21

도쿄와, 코알라 마을과, 이제 작별-

저녁때 아사코씨가 일부러 집에 들러서 선물을 전해주고 갔다. 코알라마을 건물을 내어준 다카야마씨의 책 한권, 그리고 내게 주는 머리핀과 이현이에게 주는 스티커들. 선물값도 적잖이 나갔을 것 같은데, 아사코씨에게는 처음 이 곳에 와서부터 지금까지 도움을 받은 것 투성이여서 미안하고 고맙기가 이루 말할 수 없다. 일본인이라고 하면 쌀쌀맞고 타산적인 이미지가 강했는데 내가 이 곳에서 만난 사람들은 전혀 그렇지 않아서 이상할 정도. 사실 서울에, 내 이웃에 외국사람이 이사온다면 나는 이 정도로 해줄 수 있는가? 전혀 아니다. 이 사람들같이 친절하게 남을 도와주고, 마음을 열고 대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일본 사람들 '더치 페이'한다고 하지만 토요일 환송회에서는 다들 3000엔(약 3만원)씩 회비 내서 우리..

2005 소설읽기 2/ 인간실격

인간 실격 人間失格다자이 오사무 (지은이) | 김춘미 (옮긴이) | 민음사 | 2004-05-15 소설을 한번에 읽는 법이 없는 내가 앉은자리에서 책을 모조리 읽어내려갔다. 그러니 적어도 재미없는 책은 아니었다. 읽고 나니 허무해졌다. 제목이 하도 심오해서 심오한 책일 줄 알았더니.. 허무한 책이었다. 인간됨의 '조건'은 존재하는가. 누가 그 조건을 만들고, 누가 합격과 실격을 심사하는가. 고독이 술을 부르고 술이 인연을 만들고 인연이 병을 낳고 병이 불면의 밤을 가져오고 불면은 수면제를 부르고 수면제가 다시 병을 낳고 죽음을 낳는 시대. 일본의 한 시대, 이렇게 허무한 소설이 젊은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니 그 얼마나 허무한 세대였을까. 그들이 만난 세상은 얼마나 허무한 것이었길래 '인간실격'에 공명했을..

딸기네 책방 2005.01.19

2005 소설읽기 1/ 거미여인의 키스

거미여인의 키스 El Beso de La Mujer Aran"a마누엘 푸익 (지은이) | 송병선 (옮긴이) | 민음사 | 2000-06-12 그래, 난 처음부터 이 책이 재미있을 줄 알았다니까. 기대 만땅이었다. 책을 읽기 전, 책에 대해 아는 것은 거의 없었다. 작가 이름이 마누엘 푸익이라는 것, 남미 쪽 사람이라는 것, 영화로도 나왔다는 것. 그것 뿐이었다. 책의 리뷰들도 제목만 보고 일부러 읽지 않았다. 책의 줄거리를 전혀 몰랐으니, 그저 나의 궁금증은 '대체 거미여인은 누구이며 누구한테 키스를 하는가'라는 거였다. 책 속에 참 여러가지가 나온다. 여자, 남자, 좀비, 표범, 야만, 억압, 공포, 사랑, 슬픔, 동성애, 게릴라, 라틴아메리카. 잘도 조합해놨다. 거미여인이 누구인지, 누구에게 키스를 ..

딸기네 책방 2005.01.19

노동의 세기-실패한 프로젝트?- 무지개 렌즈로 '노동'을 보자

노동의 세기-실패한 프로젝트? 쉴라 로우보섬 | 에릭 홉스봄 | 지그문트 바우만 | 차문석 | 칼-하인츠 그래페 | 클라우스 텐펠데 | W.P.비써 (지은이) | 임지현 (엮은이) | 강정석 | 이영석 | 이진모 | 최승완 (옮긴이) | 삼인 | 2000-11-27 출간된 지 몇년 지난 책이다. 다소 '선정적인' 제목에, 에릭 홉스봄의 이름을 표지에 박아놨다. 책은 1999년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어느 학술대회 발표문들을 모은 것인데, 홉스봄이 총론격인 글을 썼다. 홉스봄의 글을 많이는 안 읽어봤지만 논지가 명확하면서도 뭐랄까, 낙관적이랄까, 그런 점이 참 마음에 든다. 여기서 '낙관적'이라는 것의 의미는- 홉스봄이 지나온 '노동의 세기(20세기)'를 의미없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노동운동 자체를 '실패..

딸기네 책방 2005.01.19

바그다드와 카이로

솔직히 이집트가 싫지는 않았다. 이집트가 어떤 나라인데 그 곳을 싫어하리. 유적이 너무 좋고, 그 압도적인 유적들 사이에서 느껴지는 시간의 무게도 너무 좋고, 나일강도 좋고, 제대로 구경 못하고 돌아온 사막도 너무 좋고, 그곳의 날씨도 너무 좋다. (사실 카이로 쪽은 그렇게 덥지는 않았다. 40도까지는 안 올라가는데, 건조하니까 참고 견딜만 했다. 나는 더위에 굉장히 강한...이라기보다는 더위를 정말 좋아하기 때문에, 이런 기후 꽤 맘에 들었다. 나중에 룩소르/아스완 갔을 때에는 좀 힘들긴 했다. 45도는 아무래도 무리...) 이집트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인종은 경찰이다. 경찰이 진짜진짜 많다. 문화재가 많기 때문에, 문화재 담당 경찰(피라밋 앞 흰 옷입은 인간들)이 따로 있기도 하고, 워낙에 경찰..

촘스키 - 머가 하룻밤의 지식여행이야.

하룻밤의 지식여행 1 촘스키 존 마허 (지은이) | 주디 그로브스(그림) | 한학성 (옮긴이) | 김영사 | 2001-02-20 촘스키의 책을 몇권 읽었더니... 내용에는 전적으로 동의하지만, 촘스키 특유의 어법에 많이 익숙해진데다가 내용도 대동소이해서 좀 시들해지던 차였다. 바로 얼마전에 '패권인가 생존인가'를 읽으면서 형편없는 번역 때문에 신경질이 많이 나기도 했고. 그러다 문득 돌이켜보니, 정작 촘스키의 언어학 이론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다는 생각이 떠올랐다. 촘스키의 '본업'을 모르고서 촘스키 책들을 읽었다고 할 수 있을까. 촘스키라는 사람의 논리구조에 대해 좀더 알아볼 필요가 있지는 않을까. 그렇다고 생판 문외한인 내가 촘스키의 언어학 저술을 읽기엔 버겁고, 언어학 개론서부터 시작하기도 답답하고..

딸기네 책방 2005.01.15

어깨 너머의 연인

어깨너머의 연인 유이카와 케이 (지은이) | 김난주 (옮긴이) | 신영미디어 | 2002-11-20 출판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는데 일본 소설만 잘 팔린다는 통계조사가 나온 모양이다. 하긴, 한국 소설 읽은지 오래된 나도 최근 몇년간 일본 소설은 읽었으니까. 무라카미 류, 무라카미 하루키, 마루야마 겐지, 요시모토 바나나, 아사다 지로 같은 소설가의 책들. 다만 국적이 일본이라는 이유로 저 소설가들을 줄줄이 묶었지만, 실상 저들의 소설은 스타일이 제각각이다. 소설들이 주는 재미도 작가에 따라 다르고, 주제나 분위기도 모두 다르다. 나름의 재미가 있고 나름의 장점이 있다. 그러니 일본 소설이 이러저러해서 재미있다고 딱 잘라 말하긴 힘들다. 소설보다 내가 더 좋아하는 것은 드라마인데, 책방에서 드라마 얘길 하려..

딸기네 책방 2005.01.15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

파인만에게 길을 묻다 Feynman's Rainbow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지은이) | 정영목 (옮긴이) | 세종서적 | 2004-04-30 그럭저럭 재밌게 읽었다. 시나리오 작가라는 믈로디노프가 칼텍(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이론물리학 연구원 생활을 했던 첫 1년 동안 같은 건물 같은 층에 연구실을 두고 있던 파인만을 만나 들은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엮었다. 저자 자신의 설명을 빌면 "이 책은 세상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한 젊은 물리학자의 이야기이며, 인생의 끝에 다가선 상태에서 깊은 지혜로 그를 도와준 한 유명한 물리학자의 이야기"이다. 또한 "리처드 파인만의 말년, 역시 노벨상 수상자였던 머레이 겔만과 파인만의 경쟁, 지금은 물리학과 우주론을 개척해나가는 중요한 이론으로 자리잡은 끈 이..

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세상은 생각보다 단순하다 Ubiquity: The Science of History . . . or Why the World Is Simpler Than We Think 마크 뷰캐넌 (지은이) | 김희봉 (옮긴이) | 지호 | 2004-09-13 분명 저자 소개에는 물리학 박사라고 나와있는데, 그러니 물리학에 대한 책인 줄 알고 펼쳐들었는데 세르비아에서 울린 두 발의 총성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리고 앞의 4분의1 정도는 지진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지진의 원인은 무엇인가. 지진을 예측하는 것은 왜 그렇게 어려운가, 아니 불가능한가. 그러더니 역사에 대한 얘기가 나오고 경제 얘기도 나온다. 대체 이 책은 무슨 책인가. 진정 유비쿼티(책의 원제목)를 책 한권 안에서 구현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물리학 박사..

딸기네 책방 200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