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46

[구정은의 '현실지구'] 콩고, 호주, 캐나다, 독일... '도둑 맞은 아이들'

벨기에 항소법원이 이달 초 “식민 통치 시절 어머니와 강제로 헤어진 콩고 여성 5명에게 5만 유로씩 배상금을 지급하라”고 벨기에 정부에 명령했다. 법원은 70여 년 전에 발생한 납치 사건이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 다섯 명의 여성은 누구이고 ‘납치’는 무엇이란 말인가. 70년쯤 전에 일어난 일에 대해 이제서야 판결이 나온 이유는 뭘까. 원고인 여성들은 1945~1950년 사이에 지금의 콩고민주공화국에서 태어난 사람들이다. 조셉 콘라드가 ‘암흑의 핵심’이라 불렀던 콩고 땅에서, 벨기에 식민지 당국은 ‘흑백 혼혈’ 아이들을 찾아내 어머니에게서 빼앗아 주로 가톨릭 교회가 운영하는 고아원에 집어넣었다. 어떤 엄마에게는 아이를 학교에 보냈다가 돌려준다고 거짓말 했고, 어떤 경우는 강제로 납치했다...

[구정은의 ‘수상한 GPS’] 계엄령 선포된 나라들.

2024.12.5비상계엄령 때문에 한국이 엄청 큰 소동.먼저 계엄령은 대체 뭔지 간략 정리~계엄령. martial law. 민간 통치를 군사 통치, 즉 계엄사령부에 의한 통치로 대체하고 통상의 법적 절차를 중단하는 것. 헌법에 보장된 기본적인 자유조차 정지된다. 대부분의 경우 계엄령은 전쟁이나 내란 때 선포. 자연재해와 같은 비상사태 시 부분적으로 선포될 수도 있다. 하지만 대체로 역사적 전례를 보면 군사 쿠데타 때 계엄령이 선포되는 경우가 많았다.계엄령을 선포할 수 있다는 것을 법에 명시한 나라들도 있지만, 명시적 조항이 없는 나라도 많다. 전쟁이나 내란보다는 억압적인 정권이 자국민을 압박하기 위해, 즉 국민과의 전쟁을 치르기 위해 쓴 사례들 제3세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집트나 태국..

[구정은의 ‘수상한 GPS] 호주, 청소년 소셜미디어 금지

2024.11.27호주가 청소년 소셜미디어 금지를 추진. 27일 호주 하원은 16세 미만의 어린이가 소셜 미디어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법안을 통과시킴. 지난 9월 소셜 미디어의 최소 연령을 정하는 법안을 도입하겠다는 방침을 정부가 처음 발표. 그리고 집권 노동당이 발의. 내용을 보면 소셜미디어 플랫폼들은 아이들이 계정 열지 못하게 막아야 하고, 그러지 못하면 최대 5천만 호주 달러(3천300만 달러)의 벌금을 물게 하는 것.법 제정되면 일단 1년간 플랫폼 기업들에 준비 기한을 준다.상원에선 논란이 벌어져서 표결 못하고 하루 연기했다가 통과됨. 호주 온라인 안전법(Online Safety Act)에 따른 소셜 미디어 서비스의 정의:1)서비스의 주요 목적이 두 명 이상의 사용자 간 온라인 사회적 상호 작용을..

[구정은의 '현실지구'] 마오리족은 왜 의사당 앞에 모였나

뉴질랜드 수도 웰링턴 의사당 앞에 19일 수만 명이 모여 시위를 했다. 아흐레 동안 마오리족 출신 시민들이 뉴질랜드 북섬 수백㎞를 걷는 평화행진(히코이)을 하고 이날 의사당 앞에서 항의 집회를 한 것이다. 발단은 뉴질랜드의 건국조약이라고도 불리는 ‘와이탕이 조약’을 우파 정당들이 무력화하려고 한 것이었다. 마오리 말로는 ‘테 트리티 오 와이탕이’인데 그냥 줄여서 ‘테 트리티(조약)’라고들 부른다. 1840년 영국이 보낸 초대 영사 윌리엄 홉슨이 왕실을 대신해 마오리 부족 지도자들과 합의해 체결한 이 조약은 전문과 3개 조항으로 구성돼 있다. 마오리족의 땅과 소유물, 그리고 영국 신민으로서의 권리를 인정해주는 대신 주권을 영국 왕실에 이양한다는 내용이다. 당시 뉴질랜드회사라는 영국 식민지 회사가 마오리족..

게리 거스틀, <뉴딜과 신자유주의>

뉴딜과 신자유주의- 새로운 정치 질서는 어떻게 탄생하는가The Rise And Fall of The Neoliberal Order게리 거스틀. 홍기빈 옮김. arte   재미있었다. 트럼프 시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책이랄까.한국어판 부제가 '새로운 정치 질서는 어떻게 탄생하는가'인데, 그보다는 '뉴딜 질서'는 어떻게 망했나+'신자유주의 질서'조차도 이젠 망했다, 이런 쪽이었어야 하지 않을까 ㅎㅎ나는 1970년 대와 1980년대에 형성되고,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지배력을 얻었던 정치 질서의 몰락을 (아니면 적어도 균열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정치 구성체를 신자유주의 질서라고 부르겠다. 그 이데올로기를 설계한 것은 로널드 레이건이었으며, 핵심적인 촉매자의 역할을 한 것은 빌 클린턴이었다."정치 ..

딸기네 책방 2024.11.25

지그문트 바우만, <쓰레기가 되는 삶들>

쓰레기가 되는 삶들 지그문트 바우만. 정일준 옮김. 새물결. 11/10 바우만의 책은 늘 좋다. 특히 이 책은, 내 마음을 읽는 것 같았다. 쓰레기는 워낙 관심 많은 주제라 (내 첫 책 의 테마이기도 하고) 이 책은 제목을 보는 순간 바로 사지 않을 수 없었다. 칼비노의 책을 모티브 삼아 에세이를 쓰기로 해놓고 계속 게으름피우고 있는데, 바우만의 이 책을 펼치자마자 칼비노가 나온다. 반갑지 않을 수가 없다. 당위들'이 부족한 적은 결코 없었다. 현대사는 '좋은 사회‘라는 모델을 다량으로 생산해내는 공장이었다. 다양한 이 들 ’당위들'이 모두 동의하는 것이 하나 있었는데, 모든 사람에게 일자리와 생산적 역할이 주어지는지가 ‘좋은 사회' 의 판별 기준이 된다는 것이 그것이었다. X세대의 생애 동안에 벌써 인..

딸기네 책방 2024.11.10

[구정은의 ‘수상한 GPS] 동맹보다 돈, 트럼프 외교안보

두서 없는 생각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보복 인사’가 될 거라는 미국 언론 보도들이 많이 보인다. 1기 인사들 중에 트럼프에 등 돌린 사람들이 많았던 게 사실이다. 참모총장, 국방장관, 국가안보보좌관 등등 트럼프 1기 인사들이 줄줄이 트럼프의 ‘인격과 능력에 대한 비난’을 남기고 트럼프를 버렸다. 심지어 비서실장 했던 사람이 최근 트럼프를 “파시스트의 정의에 부합하는 사람”이라고 했다. 그럼에도 트럼프는 이겼다. 그것도 큰 표차로. 해리스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물론 일단은 민주당의 패배다. 하지만 큰 틀에서 보면 민주-공화 모두 무너졌다. 민주당은 세대교체에 실패해 8년 전 클린턴이 나왔고 4년 전과 이번에 바이든이 나왔다. 새로운 지도자가 돼야될 사람들은 여성, 마이너리티다. 마이너리티여서 문제라..

[2024 르완다] 학살 딛고 일어선 ‘천 개의 언덕의 나라‘

비닐봉투가 없는 나라.  플라스틱 쓰레기는 어느 나라에서나 골칫거리다. 그 중에서도 비닐을 비롯한 포장재가 세계 플라스틱 사용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특히 저개발국을 돌아다니다 보면 온갖 쓰레기, 비닐과 캔 따위가 골목을 채우고 있다. 실개천에도, 바닷가에도, 수풀 사이에도. 글로벌화가 낳은 상품의 범람과, 쓰레기를 분리하고 수거하고 처리할 행정력이 부족한 저개발국의 현실이 결합된 것이 길가의 쓰레기들이다. 길에 쓰레기가 없는 나라가 있다면? 비닐봉투가 없는 나라가 있다면? 그게 르완다다. 물론 비닐로 포장된 상품이야 있지만 어떤 가게에서든 물건을 담는 용도로 비닐봉투를 쓸 수는 없다.   국제뉴스를 좀 본 사람들에게 ‘제노사이드’ ‘학살’ ‘내전’으로 각인돼 있는 르완다를 설명하면서 비닐봉지 얘기부..

[구정은의 ‘현실지구‘] 시리아 난민들은 ‘활기찬 나비‘가 될 수 있을까

MADE51이라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들어가면 예쁜 공예품들이 올라와 있다. 곧 다가올 연말을 앞두고 내놓은 ‘홀리데이 컬렉션’ 가운데 ‘시리아 트리오’라는 상품을 골랐다. 5만4000원짜리 장식물 세트에는 세 가지 물건이 들어 있다. ‘활기찬 나비’라는 이름의 자수 제품, 실을 엮어 만든 ‘용감한 따오기’와 ‘기발한 고양이’. ‘하모니 트리오’는 금속으로 된 별에 매듭을 단 ‘별똥별’이라는 작품과 직물 공예품인 ‘노래하는 예쁜 새’, ‘빛나는 고리들’이라는 고리 모양의 장신구로 구성돼 있다. 크리스마스나 연말연시 장식용, 혹은 선물용으로 딱 좋을 것 같은 이 물건들 말고도 쇼핑몰에선 온갖 종류의 수공예품을 판다. MADE51이 여느 쇼핑몰과 다른 점이 있다면 유엔 웹사이트와 연결돼 있다는 점이다. ..

크리스 밀러, <칩워>

칩워 크리스 밀러. 노정태 옮김. 부키. 11/1 재미있었다. 전형적인 칩의 사례를 들어보자. 일본이 소유하고 있으며 영국에 본사를 둔 암ARM이라는 회사에서 캘리포니아와 이스라엘에 근무하는 엔지니어들이, 미국에서 만든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반도체 설계도를 디자인한다. 설계도는 대만의 설비로 보내지는데, 그곳에서는 일본에서 온 극히 순수한 실리콘 웨이퍼와 특수한 가스를 사용한다. 원자 몇 개 정도의 두께로 새기고, 배치하고, 측정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정밀한 공작 기계가 반도체 설계도를 웨이퍼에 그려 넣는다. 이런 장비를 제작하는 선도적인 기업은 다섯 곳으로 하나는 네덜란드, 하나는 일본, 나머지 셋은 캘리포니아에 있다. 칩은 패키징과 테스트를 거치는데 테스트는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