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칼럼

키세스 시위대와 남성 청년들의 극우화

딸기21 2025. 2. 3. 18:33
728x90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어판 2025년 2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2025년 1월 서울 한남동, 탄핵 절차에 들어간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촉구하는 시위대가 구호를 외친다. 바로 근처에서 ‘대통령 사수’ ‘좌파 척결’을 요구하는 시위대의 확성기를 통해 흘러나오는 남성들의 목소리와 대비되는 ‘키세스 시위대’다. ‘이쪽’ 시위대에서 눈에 띄는 것은 형형색색 응원봉으로 한국은 물론 세계 언론에 보도된 젊은 여성들이다. 방한용 은박 비닐로 몸을 두른 모습이 키세스 초콜릿처럼 보인다 해서 그런 별명이 붙었다. 
 
걸그룹 소녀시대의 ‘다만세(다시 만난 세계)’에 맞춰 몸을 흔들며 구호를 외치는 여성들. 2024년 12월 3일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의 탄핵 표결을 이끌어낸 여의도 대규모 시위에서도 유독 2030 여성들은 눈에 띄었다. 집회에 나온 모든 이들, 특히 중장년층 남성들이 이구동성으로 한 이야기는 “여성들이 정말 많구나”라는 것이었다. 그러고 나면 “젊은 남성들은 어디 갔을까”라는 질문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체포 촉구 시위에 참여한 사람들이 방한용 은박 비닐을 두른 채 길에 앉아 있다. 2025.01.05 뉴시스

 
 
여성혐오적 극우 발언을 일삼으며 ‘남성들의 대변인’을 자처해온 어느 정치인은 “젊은 남성들은 군대에 가서 시위에 못 나온다”라고 주장했지만 이를 믿을 사람이 몇이나 될까.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25년 현재 청년(19~34세) 청년 인구는 1025만명, 전체 인구의 약 25%다. 그중 절반인 513만명 정도가 남성이다. 반면 현역병 숫자는 30만명 수준이다. 그 정치인의 주장은 숫자로 따질 가치조차 없는 선동일 뿐이다.
 
“젊은 여성들은 탄핵에 찬성하는 반면에 젊은 남성들은 극우화되어 윤석열 지킴이로 나섰다”고 하면 지나친 단순화일 수 있다. 어떤 집단의 정체성에 대한 주장에는 늘 “다 그런 것은 아니다” “그 집단의 내부는 다양하다”는 반론이 따라붙는다. 하지만 특정 정당 혹은 정치인에 대한 지지율에서 젠더 간 격차가 10%포인트만 나도 사회학적 분석 대상이다.
 
‘다 그런 것은 아니다’라고 하기엔 한국 젊은이들의 정치적 스펙트럼에서 젠더 격차는 너무나 명확하다. 나라 밖에서도 이 부분에 주목한다. BBC코리아 보도를 보면 2024년 12월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범국민 집회에서 “20대 남성의 참여율은 전체의 약 3.3%로 과거에 비해 확연히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20대 여성의 경우 전체 참가자 20만 2228명(추산)의 약 17.7%를 차지해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BBC코리아는 서울시 생활인구 데이터를 토대로 가장 많은 인파가 몰렸던 12월 7일 오후 4시의 연령대별, 성별 집회 참가 인원을 조사해서 이렇게 보도했다.
 
‘왜 한국 남성들은 보수화되었나’를 얘기하면서 흔히들 군대 문제를 거론한다. 가치관이 굳어지기 시작하는 성인으로서의 출발점을 가장 보수적이고 억압적인 군대에서 보내야 하는 현실, 취업 경쟁에서 여성들과 결전을 치러야 하는 부담감이 ‘군대에 가지 않는 여성들’에 대한 분노로 이어지고 반여성적 정치인에 대한 선호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설명만으로 해소되지 않는 의문들이 있다. 한국 남성들이 세계를 기준으로 봐도 ‘가장’ 극우화됐다고 볼 수 있을까. 사우디아라비아의 젊은 남성들보다, 아프가니스탄의 젊은 남성들보다, 혹은 독일의 젊은 남성들보다, 멕시코의 젊은 남성들보다 극우적이라고 볼 수 있을까. 저마다의 기준으로 그 사회들의 전반적인 시민의식을 평가하면서 비교를 할 수는 있겠지만 잘라 말할 근거는 없다. 
 
젊은 남성들의 보수화는 한국에만 있는 현상이 아니다. 독일에선 이미 30여년 전 냉전이 끝날 무렵부터, 아니 그보다 더 전부터 스킨헤드로 대변되는 극우 청년들이 부상했으며 한 세대 지나 지금은 ‘반이민’을 매개로 한 극우파의 정치세력화가 두드러진 정치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민주주의를 다른 세계보다 더 먼저 정착시킨 유럽에서 극우화는 요즘 여성들의 정치적 성장을 뒤로 돌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폴리티코는 2024년 유럽의회 선거에서 여성 의원 비중이 이전보다 오히려 줄었다면서 ‘여성의 후퇴’를 지적했다. 세계 수십억 명이 선거를 치러 ‘지상 최대의 선거의 해’로 꼽혔던 이 해는 국제의회연맹(IPU)에 따르면 20년 동안 여성 대표성 증가율이 가장 낮았던 해이기도 했다.
 
피터 랭새터와 칼 크누트센은 2024년 6월 국제정치학리뷰에 실린 논문에서 서유럽 14개국의 정치 지형에서 나타난 성별 격차를 분석했다. 2만3000명을 대상으로 한 이들의 조사에서 “일반적으로 여성이 더 '진보적'이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좌파적 경제관을 가지고 있고, 경제적 관심사보다 환경을 우선시하며, 이민을 더 지지하고, 성 평등에 더 중점을 두고, 전통적 도덕관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격차는 젊은 세대에게서 더 두드러졌다. (Peter Egge Langsæther, Carl Henrik Knutsen(2024), ‘Are women more progressive than men? Attitudinal gender gaps in West European democracies,’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October 6, 2024)
 
특기할 사실은, 남유럽과 가톨릭 국가들보다 북유럽과 개신교 국가들에서 정책 분야 전반에 걸쳐 성별 격차가 더 일관되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저자들은 또한 “극우 성향의 유권자 중 남성의 과도한 대표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개별 정책 분야에 대한 남녀의 태도 차이가 작더라도, 모든 분야에서 같은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면 투표에서는 큰 성별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젊은 여성과 남성들의 격차는 글로벌한 현상이다. “모든 대륙의 나라들에서 젊은 남녀 사이에 이념적 차이가 벌어졌다. 같은 도시, 직장, 교실, 심지어 같은 집에 살고 있는 수천만 명이 더 이상 눈을 마주치지 않는다.” 파이낸셜타임스의 2024년 6월 기사다. 이 신문은 “새로운 글로벌 성별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흔히 Z세대를 한 덩어리로 묶곤 하지만 실상 “Z세대는 하나의 세대가 아니라 두 개의 세대”라고 표현했다.
 
신문이 인용한 갤럽 데이터에 따르면 18~30세 여성은 세계적으로 봤을 때 같은 연령층 남성보다 ‘30%포인트 더 진보적’이다. 독일은 점점 더 보수화되는 젊은 남성과 진보적인 동시대 여성 사이에 30%포인트의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영국에서도 그 격차가 25%포인트에 달했다. 2023년 폴란드에서는 18-21세 남성의 거의 절반이 강경 우파 정당을 지지했지만 같은 연령대 여성의 그 정당 지지율은 6분의 1에 그쳤다. 신문에 인용된 학자 존 번-머독은 미국, 영국, 독일, 한국 4개국의 18~29세 데이터를 차트로 만들어 정치 이념의 차이를 분석한 뒤 “새로운 글로벌 젠더 격차의 징후”가 드러났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비슷한 시기 USA투데이의 보도를 보면 미국에서 젊은 여성의 40%가 스스로를 ‘리버럴’이라고 평가한 반면에 남성들은 25%만 스스로를 리버럴하다고 여겼다. 한국이든 미국이든 튀니지든, 젊은 층일수록 젠더 간 견해 차이가 더 큰 것으로 여러 조사에서 나타나고 있다. 
 
젊은 남성들은 원래 보수적이었을까? 여성들의 사회 활동이 제한적이고 교육 수준도 상대적으로 낮았던 오랜 역사 동안 젊은 남성들은 여러 혁명의 주역이었고 사회를 진보시키는 주력부대였다. 수십년 전에는 한국에서든 미국에서든 ‘여성들은 더 안정을 지향하며 보수적인 정치성향을 갖고 있다’는 담론이 통했다.
 
캐나다 정치학자 루스 대슨빌은 2020년 논문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의 데이터를 조사, “1990년대 중반 이후로 이념적 성별 격차는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지적했다. 여성의 경우 X세대, 밀레니얼 세대, Z세대라 해서 베이비붐 세대의 어머니, 할머니보다 전반적으로 눈에 띄게 더 진보적인 것은 아니었다. 게다가 젠더 이념 격차의 성격은 나라마다 크게 달랐다. 어떤 나라에서는 남녀 모두 왼쪽으로 이동했고 어떤 나라에서는 모두 오른쪽으로 향했다. 
 
하지만 몇 년 만에 ‘글로벌 젠더 이념 격차’가 세계의 화두로 부상했다. 파이낸셜타임스가 인용한 갤럽 조사에서 놀라운 것은 이처럼 격차가 벌어지는 데에 단 6년밖에 걸리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미투(#MeToo) 운동이 여기에 영향을 미쳤을까? 최소한 분열의 불쏘시개 역할을 했을 수 있다. 성희롱과 성범죄에 대한 보수와 진보 정치세력의 서로 다른 태도가 젊은 남성과 여성들을 보수-진보 진영으로 광범위하게 재편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하지만 견해 차이는 이제 미투를 훨씬 넘어섰고, 이민이나 인종 문제나 성소수자 문제나 환경문제 등 모든 면에서 이념적 간극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젊은 층의 젠더 간 이념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은 세계가 마찬가지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젊은 남성의 극우화는 유독 두드러진다. 정치적 스펙트럼의 젠더 간 극단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한국이 거론된다. 미국 온라인매체 복스는 젠더 격차의 세계화를 분석하면서 한국에 대해 “역사적으로 공공연한 성차별이 극심했으며 유난히 강력한 미투 운동이 벌어졌고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에 남성 징집 제도를 가진 나라”라는 점을 지적했다. 복스는 “한국이 특별한 사례인지, 아니면 민주주의 세계의 미래를 내다보는 창인지는 현재로서는 말하기 어렵다”면서 “세계에서 젠더 간 격차가 커지고 있지만 미래가 결정돼 있다고 볼 수는 없다”며 결론을 유보한다.
 
2024 4 미국 시사잡지 타임 기사는 유독 낮은 출산율, 반페미니즘 정치 전략으로 당선된 윤석열 대통령, 젊은 남성과 여성 간 엄청난 정치적 분열을 “한국을 보여주는 세 가지 사실들”로 꼽았다.  이 잡지는 “이 세 요인은 불가분의 관계라면서 “한국이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다른 나라들도 뒤따를 수 있다”고 보도했다. 타임은 미국에서도 젊은 남성들의 페미니즘에 대한 적대감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젠더에 대한 제로섬 사고의 부상”을 우려했다. 미국에서 공화당을 지지하는 남성의 40% 가까이가 “여성의 사회적 성취는 남성의 희생으로 이뤄졌다”는 생각을 갖고 있으며, 이 같은 제로섬 견해는 젠더뿐 아니라 인종 문제, 이민 문제에서도 똑같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또 하나 눈에 띄는 것은 남성들의 정치적 참여도다. 이슈별로 봤을 때 젊은 남성이 젊은 여성보다 더 참여하는 주된 이슈는 없었고, 젊은 남성들은 오른쪽으로 돌아서는 것을 넘어 정치에서 등을 돌리고 있었다. 
 
젠더 간 이념 격차가 극단적으로 커지면 사회의 양극화가 고착화될 것이고, 심지어 가족의 형성을 막는다. 타임의 표현을 빌면 “누가 적과 동침하고 싶어 하겠는가?” 남성과 여성 사이의 ‘이데올로기적 협곡’은 결국은 인구 구조를 왜곡하고 모두의 복지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한국에서 이미 시작된 현상이고, 같은 걱정을 하는 세계가 한국의 사례에 주목하는 이유다.
 
2024년 6월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아시아의 인셀(incel)’에 대한 기사를 실었다. 인셀은 ‘비자발적 독신자(involuntary celibate)’의 줄임말이다. 캐나다에서 1990년대 후반 시작된 표현으로, 위키피디아 설명에 따르면 인셀의 문화는 “극단적인 분노, 적대감, 성적 대상화, 여성 혐오, 인간 혐오, 자기 연민 및 자기 혐오, 인종차별, 여성과 성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에 대한 비난, 허무주의, 강간 문화”를 특징으로 삼는다고 한다.
 
제목은 ‘아시아의 인셀’이지만 주된 분석 대상은 한국, 덧붙여 일본의 젊은 남성들이다. 기사는 저출생-고령화를 부추기는 한 요인이 된 젊은 층의 결혼기피 현상을 다루면서 젠더 간 적대감에 주목한다. 눈부신 경제 성장을 했던 한국과 일본 두 나라 모두에서 젊은 남성들은 ‘아버지 세대보다 경제적으로 덜 낙관적인’ 시대에 살고 있고, 고용은 불안정해졌다. 결혼을 하는 사람은 점점 줄고 있다. 연애를 하지 않거나 성관계를 해본 적 없는 젊은 층이 많다. 온라인에서는 ‘여성에 대한 분노’가 넘쳐난다.
 
런던 킹스칼리지의 이수현 교수는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특히 두드러졌던 젠더 분열을 분석하면서 ‘현대적 성차별주의(Modern Sexism)’가 계층에 상관없이 한국 젊은 남성들에게 만연해 있다고 지적한다. 이 교수는 ‘반젠더 정치학, 경제적 불안정과 우익 정치’라는 논문에서 젊은 남성들의 성차별주의가 “결혼과 가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제적 불안정”에서 출발한다고 주장한다. 치열한 일자리 다툼 속에 남성들은 여성들을 동료가 아닌 경쟁자로 여기고 있으나, ‘남성 가장 모델’로 대표되는 결혼 규범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 결과 결혼과 취업 모두에서 장애물을 만나게 되는 남성들이 반여성적 우파 포퓰리즘으로 향하게 된다는 것이다. (Soohyun Christine Lee(2024), ‘Anti-Gender Politics, Economic Insecurity, and RightWing Populism: The Rise of Modern Sexism among Young Men in South Korea,’ Social Politics: International Studies in Gender, State & Society, jxae016)
 
이런 현실은 세계 어느 나라나 비슷하기 때문에 젊은 남성의 우경화 또한 글로벌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을 특히 젠더 갈등의 극단으로 몰고가는 것은 정치다. 유럽에서 정치적 우경화가 반이민 정서와 맞물려 증폭되는 반면, 이주민 비율이 여전히 낮은 한국에서는 포퓰리스트적 선동의 초점이 젠더 문제에 맞춰져왔다. 이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동북아시아에는 강력한 반이민 담론이나 운동, 이주에 초점을 맞춘 주요 정당이 존재하지 않는다. 보수적인 정치 세력이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고 진보적 의제에 대한 젊은 남성들의 지지가 분열된 한국에서는 반여성주의가 유혹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젊은 남성들의 반여성 감정이 결국은 경제적 불안감에서 비롯됐다는 사실은 이중의 의미를 지닌다. 그들이 진심으로 차별을 원하고, 복지에 반대하고, 환경을 파괴하고 싶어하고, 가부장제를 복원시키고 싶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거기에 희망을 걸 수 있을까? 극우 정치인들이 아무리 이용하려 한들, 젊은 남성들 또한 동료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쿠데타 시도와 비상계엄에 대체로 반대하며 민주적 가치를 부인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그들이 정치적 행동에 무관심할 수 있는 것은 여성과 비교해서 여전히 기득권자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약자라 주장하지만 사회를 더 진보시킬 필요를 여성들보다 덜 절박하게 느낀다. 젊은 남성들에게 한국의 밤거리는 ‘충분히’ 안전하며, 남성 급여의 60%에 불과한 한국 여성들의 평균 급여는 ‘충분히’ 많으며, 유리천장은 ‘충분히’ 깨졌고, 가사분담도 ‘충분히’ 되고 있다. 20대 한국 남성들이 유일하게 목소리를 높이는 이슈는 징병 문제이고, 2022년 대선은 이를 적절히 공략하면 권력을 거머쥘 수 있다는 교훈을 우파에게 안겨줬다. 나쁜 정치 뒤에 나쁜 언론, 나쁜 교육이 있다는 것을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2024년 말의 계엄령 이후로 한국을 지키는 것은 군대에 있는 젊은 남성들이 아니라 거리로 나서서 민주주의를 수호한 젊은 여성들이다. 반면 극우화된 젊은 남성들은 동년배 여성들과 더욱 멀어졌을뿐 아니라 대부분 세대의 남성과 여성들로부터 더 심하게 고립돼버렸다. 21세기의 지구에서 모든 이슈는 글로벌한 동시에 로컬하다. 젊은 남성의 보수화는 세계적인 현상이고 한국 역시 그 안에 놓여 있다. 하지만 한국의 젠더 간 이념 격차는 유독 크며, ‘나쁜 정치’가 이를 부추긴다. 수십 년 동안 진전시켜온 민주주의를 어느 겨울 밤 잃어버릴 뻔한 많은 한국인들에게, 미래 세대의 한 축인 남성 청년들의 정치적 견해는 우려스럽게 다가온다. 
 
기성세대의 한 명으로서 말하자면, 거리로 나선 소녀들에게 모두가 빚을 지고 있다. 2014년 박근혜 탄핵의 출발점이 돼줬던 것도 ‘다만세’를 부르던 젊은 여성들이었다. 하지만 사회는 그들을 배신했다. 더 안전하고 더 평등한 사회를 만들어주기는커녕, 더욱 심한 차별과 혐오로 대했기 때문이다. 기성 세대와 남성 권력이 아무리 배신을 할지라도 소녀들은 계속해서 세상을 바꿔나간다. 한남동의 아스팔트 위에서, 먼저 집회장을 뜨는 젊은 여성들은 은박 비닐을 남아 있는 이들에게 둘러주고 떠난다. 젊은 남성들이 나쁜 정치와 거짓 선동에 휘둘리길 거부하고 그 작은 연대의 손짓이 가진 힘과 의미를 함께 나눌 수 있기를.


January 2025, Hannam-dong, Seoul: Protesters chanting slogans demanding the arrest of President Yoon Suk Yeol, who‘s facing impeachment proceedings. The voices of the 'Kisses Protesters' contrast sharply with the male voices blaring from the loudspeakers of another group nearby demanding 'Protect the President' and 'Eradicate the Left'.
The most noticeable feature of the first protest group is the young women holding colorful light sticks, which have been repor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global media. Their appearance, wrapped in silver foil plastic for warmth, resembles Kisses chocolates, hence the nickname.

Women swaying to Girls' Generation's "iInto the New World" and chanting slogans. At the massive protest in Yeouido that led to the National Assembly's impeachment vote following Yoon Suk-yeol's declaration of emergency martial law on December 3, 2024,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particularly noticeable. One thing everyone at the rally, especially middle-aged and older men, unanimously remarked was, "There are so many women here." This inevitably led to the follow-up question: "Where are the young men?"

A certain politician, who frequently makes misogynistic far-right remarks and claims to be the 'spokesperson for men,' argued, "Young men are in the military and can't attend protests." But how many people would believe that?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data, the youth population (ages 19-34) in 2025 stands at 10.25 million, accounting for about 25% of the total population. Roughly half of them, about 5.13 million, are male. In contrast, the number of active-duty soldiers is around 300,000. That politician's claim is nothing more than demagoguery, not even worth considering in terms of numbers.

To say "young women support impeachment while young men have become far-right defenders of Yoon Suk-yeol" might be an oversimplification. Claims about a group's identity always invite counterarguments like "not all are like that" or "the group is internally diverse." Yet even a 10-point gender gap in support for a specific party or politician warrants sociological analysis.

Yet the gender gap in the political spectrum of young Koreans is too stark to dismiss with "not all are like that." This aspect draws attention abroad as well. According to BBC Korea, at the nationwide rally demanding the president's impeachment in December 2024, "the participation rate of men in their 20s was about 3.3% of the total, a significantly lower figure compared to the past." In contrast, "women in their 20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7.7% of the estimated 202,228 total participants, showing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BBC Korea reported this based on an analysis of Seoul's resident population data, examin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by age group and gender at the peak time of 4 PM on December 7th, when the largest crowd gathered.

When discussing 'Why have Korean men become more conservative?', the military issue is often brought up. The reality that young men must spend their formative years as adults—when values solidify—in the most conservative and oppressive military environment, coupled with the burden of competing fiercely with women in the job market, is said to fuel anger toward 'women who don't serve in the military' and manifest as a preference for anti-feminist politicians. However, this explanation alone doesn't resolve all the questions. Can Korean men truly be considered the 'most' far-right by global standards? Are they more far-right than young men in Saudi Arabia, Afghanistan, Germany, or Mexico? While one could compare and evaluate the overall civic consciousness of these societies based on their own criteria, there is no definitive basis for such a sweeping assertion.

The conservative shift among young men is not unique to Korea. In Germany, far-right youth groups, epitomized by skinheads, emerged around the end of the Cold War over 30 years ago—or even earlier. Now, a generation later, the political rise of far-right forces, fueled by anti-immigration sentiment, has become a prominent political phenomenon. In Europe, which established democracy earlier than other regions, this far-right shift is now acting as a factor reversing women's political gains. Politico pointed out that the proportion of female members in the 2024 European Parliament elections actually decreased compared to previous elections, highlighting a 'retreat for women'. This year, hailed as the "world's largest election year" with billions voting globally, also saw the lowest rate of increase in female representation in two decades, according to the Inter-Parliamentary Union (IPU).

In a paper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in June 2024, Peter Langsater and Carl Knutsen analyzed the gender gap in the political landscape of 14 Western European countries. Their survey of 23,000 people found that "women are generally more 'progressive' and, in most countries, hold more left-wing economic views than men, prioritize the environment over economic concerns, are more supportive of immigration, place greater emphasis on gender equality, and are less traditional in their moral views." The gender gap was more pronounced among younger generations. (Peter Egge Langsæther, Carl Henrik Knutsen (2024), ‘Are women more progressive than men? Attitudinal gender gaps in West European democracies,’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October 6, 2024)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gender gaps were more consistently observed across policy domains in Northern European and Protestant countries than in Southern European and Catholic countries. The authors also point out the need to analyze the "excessive representation of men among far-right voters," arguing that "even if gender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individual policy areas are small, if they point in the same direction across all areas, they can lead to large gender gaps in voting."

The gap between young women and men o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s a global phenomenon. "Ideological differences have emerged between young men and women in countries across every continent. Tens of millions living in the same city, workplace, classroom, or even the same house no longer see eye to eye." This is from a June 2024 Financial Times article. The newspaper stated, "A new global gender gap is emerging," noting that while Generation Z is often lumped together as one group, in reality, "Generation Z is not one generation but two."

According to Gallup data cited by the newspaper, women aged 18-30 are globally '30 percentage points more progressive' than men of the same age. Germany shows a 30-point gap between increasingly conservative young men and their progressive female contemporaries, while the UK gap reached 25 points. In Poland in 2023, nearly half of men aged 18-21 supported a hard-right party, while only one-sixth of women in the same age group supported that party. Scholar John Burn-Murdoch, cited in the newspaper, analyzed data from 18- to 29-year-olds in the US, UK, Germany, and South Korea, charting the differences in political ideology. He argues that this reveals "signs of a new global gender gap." Indeed, a USA Today report from around the same period showed that 40% of young American women identified as 'liberal,' while only 25% of men considered themselves liberal. Whether in Korea, the US, or Tunisia, multiple surveys indicate that the younger the demographic, the greater the gender gap in political views.

Were young men always conservative? Throughout history, when women's social activities were restricted and their educational levels relatively low, young men were the driving force behind numerous revolutions and the main force propelling society forward. Decades ago, the discourse that 'women are more inclined toward stability and hold conservative political views' held sway in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anadian political scientist Ruth Dasenville noted in a 2020 paper analyzing data from 36 OECD member countries that "since the mid-1990s, the ideological gender gap has largely remained stable." Women across generations—Generation X, Millennials, and Generation Z—were not noticeably more progressive overall than their Baby Boomer mothers and grandmothers. Moreover, the nature of the gender ideological gap varied significantly by country. In some nations, both men and women moved to the left; in others, both shifted to the right.

Yet within just a few years, the 'global gender ideology gap' has become a major global topic. What's striking in the Gallup survey cited by the Financial Times is that this gap widened in just six years. Did the #MeToo movement influence this? At the very least, it may have served as a spark for the division. The differing stances of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olitical forces on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crimes may have influenced the broad realignment of young men and women into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camps. But the differences in opinion now extend far beyond #MeToo, and the ideological gap is widening across all fronts—on immigration, race, LGBTQ+ issues, and the environment.

While the widening gender gap in ideology among the young is a global phenomenon, the extreme rightward shift among young Korean men is particularly pronounced. Korea is cited as a prime example of gender-based polarization across the political spectrum. The American online media outlet Vox, analyzing the globalization of gender divides, pointed out that Korea is "a country with historically extreme overt gender discrimination, an unusually powerful #MeToo movement, the world's lowest birth rate, and a male conscription system." Vox concludes cautiously, stating, "It is difficult to say at this point whether Korea is a special case or a window into the future of the democratic world," adding, "While gender gaps are widening globally, it cannot be said that the future is predetermined."
Vox concludes by reserving judgment: "It's hard to say at this point whether South Korea is a special case or a window into the future of the democratic world. While gender gaps are widening globally, we cannot assume the future is predetermined."
A April 2024 article in the American news magazine Time cited three facts about Korea: its exceptionally low birth rate, President Yoon Suk Yeol's election on an anti-feminist political strategy, and the enormous political divide between young men and women. The magazine reported that "these three factors are inextricably linked," adding that "while Korea is leading the way, other countries could follow." Time pointed out that hostility toward feminism among young men is also growing in the U.S., expressing concern over the "rise of zero-sum thinking on gender." Nearly 40% of Republican-supporting men in the U.S. believe "women's social achievements came at the expense of men," and this zero-sum view manifests equally in race and immigration issues. Another notable finding is men's political engagement. When examining specific issues, there was no single issue where young men were more engaged than young women. Young men were not just shifting to the right; they were turning their backs on politics altogether.

When the ideological gap between genders becomes extremely wide, social polarization becomes entrenched and even hinders family formation. To borrow Time magazine's phrasing, "Who wants to sleep with the enemy?" The 'ideological chasm' between men and women ultimately risks distorting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worsening everyone's welfare. This phenomenon has already begun in Korea, which is why the world, sharing similar concerns, is paying attention to Korea's case.

In June 2024, the weekly economic magazine The Economist published an article on 'Asia's incels'. Incel is short for 'involuntary celibate'. Originating in Canada in the late 1990s, Wikipedia describes incel culture as characterized by "extreme anger, hostility, sexual objectification, misogyny, misanthropy, self-pity and self-loathing, racism, blame directed at women and sexually successful people, nihilism, and rape culture."

Though titled 'Asia's Incels', the primary subjects of analysis are young men in Korea, supplemented by Japan. The article addresses the phenomenon of young people avoiding marriage—a factor contributing to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s—while highlighting hostility between genders. In both South Korea and Japan, nations that achieved dazzling economic growth, young men live in an era 'less economically optimistic than their fathers' generation,' and employment has become unstable. Fewer people are getting married. Many young people are not dating or have never had sex. Online, 'anger towards women' overflows.
Professor Lee Soo-hyun of King's College London, analyzing the gender divide particularly pronounced in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points out that 'Modern Sexism' manifests differently across social classes.
Professor Lee Soo-hyun of King's College London, analyzing the gender divide that was particularly pronounced in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points out that 'modern sexism' is pervasive among young Korean men, regardless of class. Professor Lee argues in her paper "Anti-Gender Politics, Economic Instability, and Right-Wing Politics" that young men's sexism stems from "economic instability that fails to fulfill their desire for marriage and family." Amid fierce competition for jobs, men view women as rivals rather than colleagues, yet the marriage norm represented by the 'male breadwinner model' persists. Consequently, men encountering obstacles in both marriage and employment turn toward anti-female right-wing populism. (Soohyun Christine Lee (2024), 'Anti-Gender Politics, Economic Insecurity, and Right-Wing Populism: The Rise of Modern Sexism among Young Men in South Korea,' Social Politics: International Studies in Gender, State & Society, jxae016)

This reality is similar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so the rightward shift among young men is also a global phenomenon. However, what particularly drives Korea toward the extreme of gender conflict is politics. Just as political rightward shifts in Europe lead to anti-feminist right-wing populism, the same holds true for Korea.
This reality is similar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so the rightward shift among young men is also a global phenomenon. However, what is driving South Korea toward the extreme of gender conflict is politics. While in Europe, political rightward shifts are amplified by anti-immigrant sentiment, in South Korea, where the immigrant ratio remains low, the focus of populist agitation has been on gender issues. According to Professor Lee's analysis, "There are no major parties in Northeast Asia focused on migration, nor are there strong anti-immigrant discourses or movements. In Korea, where conservative political forces are fiercely competing and young men's support for progressive agendas is divided, anti-feminism can become a tempting strategy."

The fact that young men's anti-feminist sentiments ultimately stem from economic insecurity carries a double meaning. It's not that they genuinely desire discrimination, oppose welfare, wish to destroy the environment, or seek to restore patriarchy. Can we place hope in that? No matter how much far-right politicians try to exploit them, young men, like their female peers, generally oppose coup attempts and martial law and do not deny democratic values.
Yet they can afford to be indifferent to political action because they remain privileged compared to women. They claim to be the underdogs, but they feel less urgent need than women to push society forward.
Nevertheless, they can afford to be indifferent to political action because they remain privileged compared to women. They claim to be the underdogs, yet they feel less urgent need than women to push society forward. To young men, Korea's night streets are 'sufficiently' safe, Korean women's average wages—only 60% of men's—are 'sufficiently' high, the glass ceiling is 'sufficiently' shattered, and household chores are 'sufficiently' shared. The only issue where Korean men in their 20s raise their voices is conscription, and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taught the right wing that exploiting this issue effectively could seize power. It seems unnecessary to explain that behind bad politics lies bad media and bad education.
After martial law in late 2024, it is not the young men in the military who will defend Korea, but the young women who took to the streets to protect democracy. Meanwhile, the radicalized young men have become a threat to their female peers.
After martial law in late 2024, it is not the young men in the military who are protecting Korea, but the young women who took to the streets to defend democracy. Meanwhile, the radicalized young men have not only grown further apart from their female peers but have also become more severely isolated from men and women of most generations. On 21st-century Earth, every issue is both global and local. The conservative shift among young men is a worldwide phenomenon, and Korea is no exception. However, Korea's gender-based ideological divide is particularly wide, fueled by 'bad politics'. For many Koreans who nearly lost decades of democratic progress on a single winter night, the political views of young men—one pillar of the next generation—are deeply concerning.

Speaking as a member of the older generation, we all owe a debt to the girls who took to the streets. It was the young women chanting "Just this once" who sparked the 2014 impeachment of Park Geun-hye. Yet society betrayed them. Instead of creating a safer, more equal society, it met them with even harsher discrimination and hatred. No matter how much betrayal comes from the older generation and male power, girls keep changing the world. On the asphalt of Hannam-dong, the young women who leave the rally site first wrap the remaining participants in silver foil and depart. May young men refuse to be swayed by bad politics and false propaganda, and may they share in the power and meaning of that small gesture of solidarity.

(translated by DeepL)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