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회와 종교김성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18 종교학 책이다보니 근본주의의 발흥에 대해 정치경제사회적 맥락을 빼고 설명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지만, 한국 개신교 근본주의나 생명공학 시대의 종교 부분 등은 재미있었다. [서언] 연구의 배경과 출발점1) 1970년대 서구 중심으로 일어난 사회생활의 세계화는 종교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침2) 2001년 9/11 테러 뒤 사회이론과 국제정치 분야에서 세계화와 종교가 논제로 부상-세계화 과정에 대한 ‘지역적’ 반응으로서 종교적 근본주의의 부흥-지구 담론 속에서 앞으로 더 부상할 것으로 보이는 종교적 환경주의 세계화가 종교에 미친 영향(Beckford, 2003)첫째, 종교는 매우 선택적인 사례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세계화에 대한 단순한 이론화에 도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