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99

득템

근래 애용중인 것들 1. 아이리스 펜스캐너. 출장준비 용 자료를 비축하면서 아주 잘 쓰고 있다. 돈 값을 하는 물건... ㅎㅎㅎㅎ 사실 내가 전자제품 같은 거 사는 일이 거의 없는데, 이건 넘 좋다. 심지어 울회사 후배에게도 마구마구 권장하여, 사게끔 만들었다능. 2. 버섯 요구르트 얼마전 B양, C군과 이태원에서 만나 삼겹살&곱창구이를 먹었다. 그때 친절한 C군이 작은 플라스틱 요구르트 병에 자기가 직접 만든 요구르트를 넣어왔다. 언젠가 들어본 적 있는, 티벳버섯으로 만든 요구르트다. 세상에나, 넘 편하다! 그동안 여러가지 방법으로 요구르트를 만들어보다가, 최근에 자리잡았던 방식은 살구언니가 알려준 '전자렌지에 살짝 돌리기'였다. 플레인 요구르트를 우유에 넣고 전자렌지에 4~5분 돌려 뜨뜻미지근하게 만..

나이지리아 이번엔 유목민들이 정주민 공격

종교간·부족간·지역간 갈등이 끊이지 않는 나이지리아에서 다시 유혈사태가 발생했다. 알자지라방송 등은 8일 나이지리아 중부 플라토주(州) 중심도시 조스에서 하우사-풀라니족 유목민들이 기독교도 주민들인 보롬 공동체를 집단 공격, 수백 명을 살해했다고 보도했다. 심장병 수술 뒤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는 우마루 무사 야라두아 대통령을 대신하고 있는 굿럭 조너선 부통령은 이날 보안병력을 투입, 공격자들을 색출·체포하라고 지시했다. 나이지리아 최대 부족으로 대부분 무슬림인 하우사-풀라니족 유목민들은 전날 요스 남쪽 교외 도고 나하와 마을에 몰려와 총기를 난사하며 이 곳에 살고 있던 보롬 공동체 주민들을 공격했다. 현지 적십자사는 “주변 다른 기독교도 공동체 두어곳도 공격 목표가 됐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

이라크의 민주주의 실험- 총선은 일단 '합격점'

미군 철수가 시작된 이래 처음 실시된 7일 이라크 총선은 유혈사태 속에서도 비교적 안정되게 치러졌다. 왕정과 민족주의 정권, 쿠데타와 군부독재, 사담 후세인의 철권통치 등 얼룩진 현대사를 가진 이라크는 ‘민주주의 국가’로 조금씩 나아가고 있다. 이번 선거에 미국 등 서방은 “이라크가 ‘중동 민주화’의 모델이 될 것”이라며 찬사를 보냈다. 독재국가나 전제 왕정이 지배적인 중동에서 이라크의 민주주의 실험이 성공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Employees of the Independent High Electoral Commission (IHEC) tally votes at a counting station in Baghdad March 7, 2010. /REUTERS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7일 투표소를..

이명박 대사관?

나이지리아 갈 일이 있어서 정보를 얻으려고 대사관 사이트에 들어갔다. 공지사항 게시판에 올라와 있는 글이다. 나이지리아와 관련 있는 항목은, 맨 마지막 '알카에다 활동 영역 확대 관련' 단 한 개 뿐이다. '정무 새소식' 게시판에 올라와 있는 글들이다. 나이지리아 관련 소식은 한 개도 없다. 다음은, 정보마당- 문화정보 게시판. 나이지리아 정보는 맨 밑의 2개 뿐이다. 나는 이명박 대통령이 동계올림픽 한국 선수단을 환영하고 격려했다는 소식을 듣기 위해 주 나이지리아 한국대사관 사이트를 뒤지고 있는 게 아니란 말이다.

젠더사이드

‘세계 여성의 날’이 제정된지 100년이 넘고 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사라져가면서 미국과 유럽에서는 “더이상 ‘여성의 날’이 존재할 이유가 있느냐”는 여론이 퍼지고 있다. 하지만 지구촌 곳곳에서 여전히 여성들은 정치적·사회적·문화적 권리는 물론이고 기본적인 생존권, 이 세상에 ‘존재할 권리’조차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영국 주간 이코노미스트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앞두고 여전히 지구상 곳곳에서 ‘사라지는’ 여성 수가 1억명이 넘는다는 기사를 실었다. 성별을 이유로 대량학살을 자행하는 이른바 ‘젠더사이드’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는 태아 성감별에 따른 여아 살해다. 이코노미스트는 여아 살해가 널리 퍼져있거나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국가들로 ‘미개발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 이행하고..

나는 어제부터 봄이다. 황사 기운에, 공기는 좋지 않았지만(실은 매우 많이 나빴지만) 제법 훈훈한 날씨여서 아지님, 꼼꼼이와 자전거 끌고 한강까지 다녀왔다. 동부이촌동 한강공원 진입로로 들어가서 마포 건전지 건물 앞쪽까지. 돌아오는 길에 수퍼마켓 들러서 장을 보고. (수퍼마켓이 있는 곳에서 살고파 ㅠ.ㅠ) 용산역 부근 커피숍에서 와플 먹고 집으로. 간만의 자전거 나들이였다. 기나긴 겨울 동안 움츠리고 있던 몸이 약간이나마 풀리는 기분. 여세를 몰아, 오늘은 아침에 걸어서 출근했다. 추웠다 ㅠ.ㅠ

좋은 친구

좋은 친구는, "부끄럽지 않게 비밀을 나눌 수 있는" 친구라고 한다. 아홉살 꼼양의 말이다. "엄마, S가 제일 친한 친구예요. 부끄럽지 않게 비밀을 나눌 수 있거든요." 아이의 통찰력은 가끔 어른을 놀라게 한다. 하지만 또 이런 말도 한다. "자다가 시궁창을 두드리는 소리." 그래서 시궁창이 아니고 봉창이라고 알려줬다. 그랬더니 영 이상한가보다(사실 나도, 시궁창은 알아도 봉창은 잘 모른다. 소수서원 들렀을 때 누가 저게 봉창이라고 해서 그런가보다 했을 뿐). 혼잣말로 꼼꼼이가 중얼거린다. "봉...창...? 에이, 그건 말도 안 되지!" (아이가 혼잣말을 하는 모습은 웃기면서도 귀엽다) "그럼 뭘 두드려? 시궁창?" "네." 그러면서 자다가 시궁창 두드리는 소리라고 계속 우긴다. "시궁창, 내가 널 ..

이 책을 생각한다.

재미있는 기사네요.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470785&cp=nv 누구냐 넌? 상품 이름은 한마디도 나오지 않는, 상품 광고에 대한 기사. 한국은 참 재미있는 나라입니다. 언제부터 어느 기업의 이름이 들어간 책은 세상 어디에서도 광고를 하지 못하게 되어버린 걸까요. 그럼에도 베스트셀러이니, 참 재미있는 사회입니다.

처음 읽는 아프리카의 역사- 책은 훌륭한데 번역이 GR

처음 읽는 아프리카의 역사. 루츠 판 다이크. 데니스 도에 타마클로에 그림. 안인희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원래 독일에서 청소년을 위한 아프리카 역사책으로 쓰인 것이라 한다. 책은 아주아주아주 훌륭하다. 아프리카라는 거대한 땅덩이의 기나긴 역사를 훑되, 기계적으로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테마들을 잡아서 흥미롭게 풀어간다. 대략적인 시대 순서로 아프리카의 역사를 전하면서 중간중간에 아프리카인들의 목소리를 넣었다. 거기에다가 멋진 그림으로 그려진 인물 그림들. 무엇보다, 아프리카를 ‘대충 한 덩어리’로 취급하지 않고 여러 곳의 사정을 ‘간략하면서도 충실하게’ 담아낸 것이 놀라울 정도다. 아프리카 여러 나라 지도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모두 스크랩해두었다. 뒷부분에는 ‘오늘날의 아프리카’가 안고 있는..

딸기네 책방 2010.03.05

처음 읽는 아프리카의 역사/ 아프리카의 지도자들

▶ 18~19세기의 샤카 줄루(남아공) 줄루족에게는 살아 있을 떼 이미 유명한 전설이 된 지도자가 있었다. 여러 갈래로 갈라진 줄루족을 통합함으로써 줄루 민족의 창시자로 여겨지게 된 샤카 줄루(Shaka Zulu. 약 1786~1828년)다. 사생아로 태어났고 별로 중요하지 않은 종족 출신이었음에도 그는 새로운 전투 방법을 도입해 젊은 시절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냈다. 1815년부터는 단순한 군사지도자가 아니라 모든 줄루족의 왕이 되었다. 그는 거대한 줄루 왕국을 건설한다는 목표를 위해 학살도 서슴지 않았다. 하지만 단 한 번도 유럽 사람들에 맞선 적도 없이, 샤카 줄루는 1828년 이복형제 딩간의 칼에 찔려 죽었다. 샤카 줄루의 조카인 줄루족의 마지막 왕 케츠와요는 유럽 세력에 맞서 드물게 군사적 승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