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네 책방 877

사라진, 버려진, 남겨진

돈 훌리안은 소치밀코의 가장 외딴 섬에서 혼자 살고 있었다. 나뭇가지로 지은 그의 초가집은 인형과 개들이 지켰다. 쓰레기장에서 주운 망가진 인형들은 나무에 매달려 있었다. 인형들은 악령들로부터 그를 보호했다. 깡마른 개 네 마리는 사악한 사람들로부터도 지켜 주었다. 그러나 인형도 개들도 인어는 쫓아버릴 줄 몰랐다.깊은 바닷속에서 인어들이 그를 불렀다. 돈 훌리안은 그만의 주문을 알고 있었다. 인어들이 그를 데리러 와서 그의 이름을 몇 번이고 반복해서 노래할 때마다 그는 맞받아 노래하며 인어들을 내쳤다.“내 말이 그 말이야, 내 말이 그 말이야, 악마라 날 데려갔으면, 하느님이 날 데려갔으면, 하지만 넌 안 돼, 하지만 넌 안 돼.”또 이렇게 노래하기도 했다. “여기서 꺼져, 여기서 꺼져, 너의 치명적인 ..

올해 꼭 적어두고 싶은 책, 히가시 다이사쿠 <적과의 대화>

올해 읽은 책들 중에, 대중적으로 화제가 되지는 않았더라도 정말이지 너무 재미있어서 꼭 기록해두고 싶은 것이 두 권 있다. 그 중의 하나가 히가시 다이사쿠라는 저널리스트 출신 일본 학자가 정리한 (서각수 옮김. 원더박스)라는 책이다. 부제는 '1997년 하노이, 미국과 베트남의 3박 4일.' 책 표지는 팜플렛처럼 단순하다. 초록색 바탕에 테이블이 그려져 있고, 한글 제목과 영어 원제(MISSED OPPORTUNITIES?)가 적혀 있다. 저자인 히가시 다이사쿠는 한자 이름이 東大作이다. 이름이 '대작'이라니. 책은 '대작'이 아닌 얇은 분량의 기록 겸 취재기이지만 어느 대작 못지 않게 흥미롭고 여러 문제들을 던진다. 저자는 NHK에서 일하며 시사다큐 프로그램들을 만들다가 캐나다로 유학해 국제정치학을 공부..

딸기네 책방 2018.12.03

캐런 앨리엇 하우스, '사우디아라비아'

중동에 대한 책들은 꽤 많이 나와 있지만 사우디아라비아를 주로 다룬 책은 거의 읽어보지 못했다. 2년 전쯤 메디치출판사에서 나온 캐런 앨리엇 하우스의 (방진영 옮김)라는 책을 '선물'받았다. 이 '선물'이 몹시 고마웠던 이유가 있다. 당시 국제부에 있었기 때문에 업무에 도움이 될 책이었을뿐 아니라, 편집자가 포스트잇에 곱게 적은 메모가 속지에 붙어 있었기 때문이다. "편집국에서 약 3년을 '학생'으로 일하다 편집자로 일하게 됐어요." 책을 만들고 보내준 편집자는 우리 회사에서 '알바'로 일하던 이였다. 그러니 반갑지 않을 수가 없었다. 메모에는 '천천히 읽어주세요'라고 써 있었고, 그래서 ^^;; 천천히 읽었다. 이제서야 읽었으니. 그 사이에 사우디 내부 상황이나 사우디를 둘러싼 상황은 많이 바뀌었다. ..

딸기네 책방 2018.10.17

라틴아메리카에 관한 책들

중동과 아프리카에 이어, 이번엔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책들 중에 제가 재미있게 읽은 것 몇 권을 추천해봅니다. 사실 중남미에 관한 책을 적잖게 읽기는 했는데 너무 오래전에 나와 절판된 것들이 많고... 최근 책들은 많이 들춰보지는 못했어요. 이 지역 전문가들이 보시면 비웃으실지도. ㅠㅠ 제일 먼저 추천하고 싶은 것은 박정훈의 (개마고원)입니다. 국내 저자가 쓴 책들 중에 손꼽고 싶은 책. 대륙 전체의 역사는 아니고, 최근 일들을 중심으로 나라마다 테마를 잡아 사정을 들여다볼 수 있게 정리했어요. 대체 중남미에선 요즘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궁금한 분들에게는 강추. 남미 대륙 전체의 역사를 다룬 개론서로 국내에 출간된 것들 중에는 까치에서 나온 카를로스 푸엔테스의 는 표지를 보아하니 오래 전에 읽은 책인..

가브리엘 포페스쿠 '국가 경계 질서'

고등학생이었던 나에게, 경계의 모습은 비현실적으로 다가왔다. 경계 경관 하면 일반적으로 떠오르는 어떤 물리적 분리의 표식도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적어도 내 시야가 닿는 곳에는 그 어떤 국경 펜스나 감시탑 같은 것도 존재하지 않았다. 나는 결국 강을 건너지 못했다. 솔직히 말하면 소련도 공산주의 국가였기 때문에 그곳으로 넘어갈 이유가 없었다. 중요한 것은, 내가 강을 건너지 못했던 이유가 그것이 경계라는 것을 알고, 넘어가면 앞으로 삶이 원치 않는 방향으로 이어질 것임이 분명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하천 중간에는 어떤 장벽도 존재하지 않았지만 경계가 나의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었다. (6-7쪽) 8월에 읽은 책인데 책상 위에 쌓아두고 있다가 이제서야 정리한다. 가브리엘 포페스쿠의 (이영민 외 옮김..

딸기네 책방 2018.09.28

캐런 메싱 '보이지 않는 고통'

우리가 구성했던 최초의 협력체는 인간공학자, 사회학자, 법학자, 그리고 여섯 곳의 노동조합 대표로 구성됐다. 우리는 그 협력체를 '보이지 않는 상처'라고 불렀다. 여성이 일터에서 겪게 되는 직업보건상의 위험성이 남성이 일터에서 겪는 것에 비해 덜 중요하게 여겨지거나, 더 모호하게 파악된다는 사실과 연관지어 붙인 별칭이었다. 나는 사업주와 과학자, 행정가들이 노동자를 존중하지 않고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는 상태로 여러 노동조건과 노동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지켜봤다. 나는 과학 기득권층의 제약에서 벗어나 노동자의 고통에 대한 회의적 태도가 노동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직업보건 연구의 학문 영역을 어떤 식으로 형성하는지 지켜보았다.우리가 이렇게 양질의 협력관계를 발전시켜나갈 수 있었던 토..

딸기네 책방 2018.09.16

사스키아 사센, '세계경제와 도시'

세계경제와 도시 Cities in a World Economy사스키아 사센, 남기범 등 4명 옮김. 푸른길 내용이 좋은데 번역이 정말 나빠서 읽으면서 화가 많이 났던 책. 여러 사람이 번역했는데, 특정 챕터들이 특히 엉망이었다. 내용은 재미있다. 눈길을 끄는 건, 책에는 나오지 않지만 사스키아 사센이라는 사람. 오래 전부터 읽고 싶었고 두 권을 찾아 읽었다. 는 비교적 최근 것이고, '사스키아 사센의 세계경제와 도시'라며 저자 이름을 타이틀에까지 집어넣어 번역돼 나온 이 책은 2012년 것이다. 사센에게 명성을 안겨 준 도시 책(The Global City)은 못 읽고 이 책을 골랐는데 명성이 괜한 게 아니지 싶다. 재미난 것은 사센이라는 사람.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1947년 태어났는데, 부모가 이듬해 ..

딸기네 책방 2018.08.28

페리 앤더슨, '대전환의 세기, 유럽의 길을 묻다'

페리 앤더슨의 새 책이 나왔다고 해서 얼른 집어왔는데 2009년에 출간된 것이고, 저자가 1990년대 후반부터 쓴 글들을 모은 것이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 쓴 글 몇 편도 간간이 보완하듯 실려 있기는 하지만 국내 출간된 2018년에서 길게는 20년 시차가 있는 셈이다. 원제는 The New Old World인데 (안효상 옮김. 길)라는 알맹이 없는 타이틀을 멋대로 달아놓으니 한국어판 제목이 영 입에 붙지를 않고 매번 기억에서 지워진다. 대학 시절 이후로 페리 앤더슨의 책을 본 적이...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고. 타리크 알리와 함께 유럽 68세대의 대표 격인 지식인이니, 읽을 가치는 충분히 있다. 대학 시절 받았던 느낌은 담담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 책은 아주 신랄해서 내 기억..

딸기네 책방 2018.08.22

존 리더, 아프리카 대륙의 일대기

근래 읽은 책들 중 최고이고, 아프리카에 대한 책들 중에서도 손꼽을만한 책이다. 아프리카에 대한 책들 자체가 손꼽을만한 숫자이긴 하지만. 존 리더의 (남경태 옮김. 휴머니스트). 읽은 지는 한 달 정도 됐는데 스크랩을 못 했다. 워낙 방대한 양이기에 그랬던 걸로 해두자. 실은 방금 전 크롬이 말썽을 부리는 바람에 2시간 동안 정리한 것도 날려먹었어 ㅠㅠ 앞부분 절반은 지구 대륙의 형성에서부터 시작해 인류의 탄생과 진화, 문명의 탄생까지 기나긴 역사를 다룬다. 인류가 아프리카에서부터 시작해 거기서 오랜 세월 살았으니, 이 대륙의 역사의 상당부분이 인류의 역사인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유럽인들이 오고 그들에 조응한 노예왕국들이 생겨나고 식민지 쟁탈전이 벌어지고 독립 이후 우리가 알고 있는 아프리카 ..

딸기네 책방 2018.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