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네 책방 877

[서울신문] 사람을 위한 팬데믹 연구… ‘위드 코로나’ 지름길

[장동석의 뉴스 품은 책] 죽은 역학자들/롭 월러스 지음/구정은·이지선 옮김/너머북스/308쪽/2만 1000원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률이 80%에 근접했고 2차 접종률도 60%를 넘어서면서 다음달 초쯤엔 일상으로의 복귀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는 얼마 전 백신 접종률 60%를 넘어서면서 감염자 집계 중단과 위중증 환자와 치명률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체계로 전환했다. 백신 접종률이 70%를 넘은 덴마크, 노르웨이 등 유럽 국가들도 속속 ‘위드 코로나’에 동참할 모양새다. 진화생물학자이자 역학자인 롭 월러스의 ‘죽은 역학자들’은 코로나19로 대표되는 역병에 대한 우리 인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하자고 촉구하는 책이다. 그는 단순한 방역이나 백신만으로는 앞으로 계속 밀어닥칠 전염병에 맞설 수 없다고 주..

<죽은 역학자들> 경향신문 서평

실험실에서 바이러스만 들여다보지 말고 뉴욕·런던·홍콩을 들춰라 김지혜 기자 2021.09.24 21:30 죽은 역학자들 롭 월러스 지음 | 구정은·이지선 옮김 너머북스 | 308쪽 | 2만1000원 지난해 3월, 진화생물학자 롭 월러스는 코로나19를 앓고 있었다. 그는 2016년 전작 을 통해 바이러스성 전염병의 기원을 일찍이 짚어낸 역학자지만, 자신의 폐 속으로 침투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앞에선 무력할 수밖에 없었다. 전작에서 월러스가 짚어낸 팬데믹의 기원은 바로 ‘초국적 거대 농축산업과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그는 지난해 코로나19라는 팬데믹의 현실을 몸소 겪어내며 전작의 주장을 날카롭게 벼려냈다. 월러스는 여전히 거대 농축산업을 이르는 애그리비지니스(Agribusiness)를 문제의 근원으로 지적한..

안희경, <오늘부터의 세계>

제러미 리프킨, 화석연료 없는 문명이 가능한가 기후변화로 감염병과 홍수, 가뭄, 산불, 태풍 같은 재난이 오면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혼자 해결할 수 없습니다. 전체 공동체가 협력하는 수평적으로 분산된 새로운 통치가 요구됩니다. 저는 피어 어셈블리peer assembly(참여자가 동일한 자격을 갖는 동배 의회)를 꼽습니다. 피어 어셈블리가 표준화되고 있어요. 지역에 있는 사회기관과 단체들이 정부와 손잡고 모이고 있지요. 특히 유럽 그린 뉴딜의 중심에 피어 어셈블리가 있습니다. 이는 우리 모두의 의회입니다. 미국의 배심원 제도처럼 모든 성인이 일정 기간 잠깐씩 시간을 내어 봉사하는 방식입니다. 피어 어셈블리는 정부가 관리하지만 정부의 확장이기도 하므로 전체 커뮤니티가 자신의 미래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35..

딸기네 책방 2021.10.23

롭 월러스, '죽은 역학자들'

코로나19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알려줬다. 치명률 2% 안팎의 전염병이 지구 전체를 마비시킬 수 있다는 깨달음, 세계화가 이미 온 세상을 촘촘하게 엮어 놓았으며 그 그물망에서 벗어날 수 있는 나라나 지역은 없다는 사실, 사람과 가축들이 숲을 파고들 때 숲 속의 바이러스들은 어쩔 수 없이 ‘인간들이 사는 세상’으로 넘어올 수밖에 없다는 것, 가장 약한 사람들이 전염병의 습격으로 가장 큰 피해를 받을 수 밖에 없는 현실. 이 모든 것들을 바이러스가 보여줬다. 어느 인터뷰에서 미국 학자 겸 운동가 제러미 리프킨은 코로나19를 가리켜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파괴된 모든 생물이 대대적인 이주를 하고 있다는 증거’라 불렀다. 롭 월러스가 이 책에서 내내 강조하고 있는 것이 바로 그러한 바이러스의 ‘이주’ 현상이다. ..

[스크랩] 이븐 바투타가 전하는 '5대 강'

나일 강, 유프라테스 강, 싸이훈 강, 지훈 강은 모두 천국에 있는 강이라고 한다. (중략) 나일 강은 세계 5대 강의 하나이다. 이 5대 강이란 나일 강과 유프라테스 강, 티그리스 강, 싸이훈 강, 지훈 강이다. 이 5대 강과 유사한 또다른 5대 강이 있다. 우선 반즈 아브 강이라는 씬드 강과 칸크 강이라는 인도 강인데, 후자는 성하(聖河)로서 인도인들이 참배하며 사체를 화장해서는 그 잿가루를 이 강에 뿌린다. 이 강은 낙원에서 발원한다고 한다. 세번째도 역시 인도의 준 강이고, 네번째는 까프자끄 사막을 흐르는 이틸 강인데 그 강안에 싸라 시가 있다. 마지막으로 하톼 지방에 있는 싸루 강이다. 이 강의 강안에 바로 한발리끄 시가 있으며 거기로부터 한싸 시를 지나 자이툰 시로 흘러들어가는데 이곳은 모두가..

딸기네 책방 2021.08.08

중동·이슬람에 대한 책들

중동·이슬람에 대한 책들을 소개해달라는 분들이 많아서 올려놓습니다. 제가 이쪽 동네 책들을 읽은 것이 오래됐기 때문에 요즘 나온 것들은 업데이트가 덜 되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만,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두서없이 정리해봤습니다. 중동사 일반과 중동 옛날 역사, 이슬람권 일반 [역사서설 - 아랍, 이슬람, 문명] 이븐 할둔 (시간과 돈을 들여 반드시 읽어보시길) [이븐 바투타 여행기 1, 2] 이븐 바투타 (14세기 여행자의 눈으로 본 이슬람 세계) [이븐 할둔] 이브 라코스트(역사서설 팬 or 이븐 할둔 팬이라면 추천) [이슬람의 세계사 1, 2] 아이라 라피두스 (이슬람 세계에 대한 교과서. 방대한 양... ) [중동의 역사] 버나드 루이스 (현대 중동사연구는 루이스에서 시작...옛날 책이..

능력, 능력주의, 정의, 평등, 공정에 대한 책들

몇 달 전에 '능력'과 '능력주의'에 대한 짧은 원고 하나를 출판사에 넘겼습니다. 그 책을 쓰면서 그동안 읽었던 능력, 능력주의, 정의, 평등, 공정, 등등에 대한 책들을 쭉 다시 훑어봤습니다. 자기계발 분야의 구루라고 할 수 있는 야마구치 슈, 구스노키 켄의 (김윤경 옮김. 리더스북). 생각보다 재미있었습니다. 그래, 일을 잘 하는 게 중요해. 능력이 중요하지.... 오래 일하던 분야에서 직장을 그만두고 놀고 있는 저의 요즘 고민이기도 하거든요. 일단 좀 능력을 키워야겠구나, 그래야 이전과 다른 무언가를 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이 책을 읽다 보니, '회사 다닐 때 읽었으면 좋았을 걸' 하는 생각도. 하지만 자기계발서 추천하려고 이 목록을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니고요. ㅎㅎㅎ 요즘 이쪽..

크리스텐센, '번영의 역설'

번영의 역설 - 왜 가난은 사라지지 않는가 The Prosperity Paradox: How Innovation Can Lift Nations out of Poverty (2019년)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에포사 오조모, 캐런 딜론. 이경식 옮김. 부키 경영학자 겸 컨설턴트인 크리스텐슨과 제자, 편집자가 함께 쓴 책. 원조와 개발의 큰 몫을 시장이 가져가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구호가 아니라 '번영'의 싹이 틀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주제다.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이 동네에서 '지배적인' 이야기도 아니다. 단순한 시장예찬, 시장만능론이 아니다. 생각보다 훨씬 재미있었다. '혁신'을 주문처럼 외우면서 '번영하는 나라들은 혁신 덕에 잘 살게 됐다'고들 하지만 저자들은 '혁신'을 ..

딸기네 책방 2021.07.13

에이미 추아, '정치적 부족주의'

에이미 추아의 책은 에 이어 두 번째. 첫 책도 두께에 비해서는 밀도가 떨어졌고, 이번 책도 마찬가지다. 인종/민족/부족/젠더 등등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분열되는 양상을 모두 '정치적 부족주의'라는 말로 표현했는데, 무슨 말인지는 알겠지만 '분석보다 프레임'이라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처음 읽을 때에는 꽤 흥미로웠는데 스크랩을 하려고 보니 빼곡히 베껴적어둘 내용은 아니라는 생각이 더욱 강해졌고. 하지만 그런 분열은 세계적인 현상이고, 중요한 포인트들은 한국사회에도 통하는 것이어서 재미있었다.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집단 정체성은 ‘국가’가 아니라 인종, 지역, 종교, 분파, 부족에 기반을 둔 것들이다. 미국의 안보에 매우 큰 이해관계가 걸려 있는 곳들에서도 그렇다. 그런데 미국은 이런 유의 집단..

딸기네 책방 2021.07.12

[추천사] <10년 후 세계사 두 번째 미래> 직접 만드는 게 답

10년 후 미래를 바꾼다는 것 ‘질병X disease X’에 대비하라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경고는 2018년에 나왔다. 지카, 에볼라, 사스에 준비 없이 당한 인류가 미래의 유행병에 맞서려면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했다. 하지만 ‘질병X’,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우리는 또 속수무책이었다. 어제의 교훈은 오늘을 바꾸지 못했다. 그렇다면 내일은? 코로나27, 코로나39에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을까? 급변하는 미래를 예측하려 애쓰는 대신 우리의 의지로 10년 후를 만들 수 있을까? 2015년에 출간된 《10년 후 세계사》는 ‘미래의 역사가 우리에게 달려 있다’고 했다. 당시 그 책을 읽고 “시대를 관통하는 글로벌 이슈를 횡으로 종으로 그려냈다”는 감상을 남기기도 했다. 우리가 만들 미래 점점 나빠지는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