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 4055

오바마가 못한 핵무기 감축, 트럼프가 한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09년 집권 첫 해에 체코 프라하에서 ‘핵무기 없는 세상’이라는 비전을 선언했고, 그 해에 노벨평화상까지 받았다. 그러나 핵무기 양대 보유국인 미국과 러시아의 군축은 크림반도 문제를 둘러싼 이른바 신냉전 분위기에 휘말려버렸다. 2013년 3월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할 때 핵무기 대응까지 검토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왔으며, 오바마의 비전은 말뿐인 선언으로 끝나고 말았다. 오바마가 실패한 ‘핵 없는 세상 만들기’를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실현할 수 있을까. 트럼프가 15일(현지시간) 뉴욕 트럼프타워의 사무실에서 영국 더타임스, 독일 빌트와 공동인터뷰를 하면서 러시아와 핵무기 감축 협상을 재개할 수도 있다는 말을 했다.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풀어주는 대신, 러시아를 핵무기 감축 협상..

클린턴, 메르켈, 아웅산 수치, 박근혜...여성 정치인이 걷는 길들

“역사.” 지난 7월 미국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대선후보로 확정된 힐러리 클린턴은 트위터에 ‘역사’라는 한 마디를 올렸다. 미국 민주·공화 양당을 통틀어 역사상 첫 여성후보가 된 것에 대한, 짧지만 강력한 논평이었다.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민주당 전당대회장 연단을 메운 화면은 유리천정이 깨져나가는 장면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아마 클린턴이 대선에서 이겼다면, 뉴욕의 축하파티에서도 비슷한 장면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클린턴은 승리를 예상하면서 자축 무대로 유리로 된 건물을 택했으니까. 하지만 결과는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의 승리였다. 300만표 가까운 표를 더 얻었음에도 미국 대선의 구조적인 문제인 간접선거, 승자독식 제도 탓에 그는 패했다. 그래도 역사가 지워지지는 않는다. 클린턴이 트위터에 ‘역사’..

크리스마스에 세상 떠난 ‘라스트 크리스마스’ 가수 조지 마이클

‘라스트 크리스마스’로 유명한 영국 팝스타 조지 마이클에게, 2016년의 성탄절은 노래 제목처럼 ‘마지막 크리스마스’가 됐다. 마이클이 53세로 25일(현지시간) 영국 옥스포드셔 고링의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가디언 등 영국 언론들이 보도했다. 아직 많지 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가족들은 언론과 경찰에 프라이버시를 존중해달라며 자세한 상황을 공개하기를 거부했다. BBC는 경찰을 인용해, 이날 오후 1시 42분 앰뷸런스가 도착했으나 마이클이 곧 숨졌다면서 “사인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상 징후는 없었다”고 보도했다. 마이클의 소속사 측은 성명에서 “사랑하는 아들이자 형제이자 친구였던 조지가 크리스마스에 집에서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으며, 매우 슬프다”고만 밝혔다. 남성 듀오 ‘왬!..

[구정은의 세계]러시아, 보드카, 푸틴

독일 베를린에서 트럭 테러가 일어나고, 터키 앙카라에서는 러시아 대사가 현지 경찰관에게 ‘영화처럼’ 암살을 당했다. 그 와중에 눈길을 끄는 뉴스가 있었다. 러시아의 시베리아 바이칼호 부근 도시 이르쿠츠크에서 ‘로션을 술 대신 마신’ 주민들이 숨졌다는 것이었다. 사망자 수는 계속 늘어나, 20일(현지시간) 현재 59명으로 늘었다. 피부에 바르는 토너를 술 대용으로 마셨다는 것인데, 엽기적이다. 중국에서 가짜 술을 먹은 사람들이 시력을 잃었다더라, 가짜 계란에 가짜 고구마까지 판다더라 하는 소식은 이제 온 세계의 공공연한 상식이 됐다. 하지만 가짜 먹거리를 만드는 것과, 로션을 술 대신에 마시는 것은 다르다. 로션 용기에 에탄올이 들어있다고 써놨는데 사실은 메탄올이었다는 보도도 나왔다. 하지만 로션은 애당초..

IS 성노예 참상 알린 ‘야지디족’ 여성들, 사하로프 인권상 수상

이라크 이슬람국가(IS)의 성노예로 잡혀 있다가 탈출한 여성운동가들이 유럽에서 가장 권위있는 인권상인 사하로프 인권상을 받았다. 유럽의회는 13일(현지시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이라크 소수 야지디족 여성 나디아 무라드(23)와 라미아 아지 바샤르(18)에게 사하로프 인권상을 수여했다. 두 사람은 이라크의 소수 민족·종교집단인 야지디 여성들이다. 무라드는 2014년 6월 IS가 이라크 북부를 점령하고 칼리프국가 수립을 선언한 뒤 모술로 끌려가 석달 동안 성폭행과 고문을 당했고, IS 전투원들 사이에서 성노예로 팔려다녔다. 바샤르도 비슷한 시기에 IS에 납치돼 성폭행 등 고초를 겪었다. 이라크 북부 신자르 산악지대에 사는 야지디는 IS에게 터전을 점령당한 뒤 학살과 고문을 당했고, 여성들은 성노예로 팔렸..

아베 일본 총리, 진주만 방문한다...‘트럼프 시대에도 동맹은 계속’ 메시지?

지난 5월 27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일본 히로시마(廣島)의 평화기념공원을 찾아, 1945년 8월 미군의 원자폭탄 투하로 무너진 ‘원폭돔’ 앞에 섰다. 원폭 투하 뒤 미국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히로시마를 찾은 희생자들을 위해 헌화하면서 ‘적에서 동맹으로’ 바뀐 미·일 관계를 강조했다. 그리고 7개월 지나,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미국 하와이의 진주만을 방문한다. 오바마의 히로시마 방문에 대한 답방이자, 70여년 전 악연을 매듭짓고 ‘미래를 위한 관계’를 강조하기 위한 방문이다. 아베는 오는 26~27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함께 진주만을 방문, 옛 일본군에 의한 진주만 공격의 희생자를 추도하는 행사를 열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아베는 “두번 다시 전쟁의 참화를 반복해서는 안..

아이티 콜레라 6년만에...등떼밀려 사과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아이티에서 대지진이 일어나고 9개월 지난 2010년 10월, 수도 포르토프랭스를 비롯해 곳곳에서 콜레라가 퍼졌다. 강물이 더러워지면서 수인성 질병이 생겼고 병에 걸린 이들이 인구가 밀집한 수도로 들어가 널리 전염된 것으로 추정됐다. 환자들이 많은 중부 아르티보니테의 병원은 환자가 넘쳐나 제대로 치료조차 못 하는 상황이었다. 보건·의료 여건이 열악한 아이티에서 콜레라는 쉽게 잡히지 않았다. 전염병이 거의 진정된 것은 2014년에 이르러서였다. 지난해 3월까지 아이티인 95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도미니카공화국, 쿠바, 멕시코 등에서 온 외국인 사망자도 500명에 육박했다. 콜레라는 일찍 발견하기만 하면 소금과 설탕을 섞은 물만으로도 치료할 수 있지만 조금만 늦어도 설사, 탈수 등으로 몇 시간 만에 사..

스타벅스 CEO 하워드 슐츠 ‘깜짝 사임 발표’...대권 도전 위해?

전 세계에서 ‘스타벅스 신화’를 만들었던 미국 커피체인 스타벅스의 최고경영자(CEO) 하워드 슐츠(63)가 사임 계획을 전격 발표했다. 슐츠는 “회사를 떠나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지만, 잘 알려진 민주당 지지자인 그가 정치에 뛰어들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스타벅스는 1일(현지시간) 웹사이트에 ‘글로벌 성장의 새로운 파도를 이끌기 위한 새 리더십 구조’라는 안내문을 띄우고, 이사회가 케빈 존슨 최고운영책임자(COO)를 차기 CEO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슐츠는 내년 4월 3일 퇴임하고 올해 55세인 케빈이 자리를 물려받게 된다. 이날 스타벅스의 ‘깜짝 발표’에 시장은 예민하게 반응했다. 이 회사 주가는 10%p 가량 떨어졌다가 장 후반부에 3.6%p 회복됐다. 슐츠는 곧바로 전화 회견을 열어 “회사..

'미친 개' 매티스가 트럼프의 국방장관? 미국의 국방장관들

미국 대통령 당선자 도널드 트럼프가 국방장관으로 제임스 매티스(66)를 내정했다고 워싱턴포스트 등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직설화법 탓에 ‘미친 개’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매티스는 미군 해병대 사령관과 중부사령관을 지낸 중장 출신에 강경파 원칙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미국에서 국방부장관은 직업군인 출신이 아닌 민간인이 맡아 군에 대한 ‘문민통제’ 원칙을 지켜왔는데, 매티스가 장관이 되면 이 원칙이 70년만에 깨지게 된다. 트럼프는 1일(현지시간) 오하이오주 신시내티를 방문해 “‘매드독(mad dog)’ 매티스를 우리 국방장관으로 삼으려 한다”면서 다음주 초 내정 사실을 공식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트럼프 행정부의 장관직 15명 중 7명이 결정됐다. 매티스는 사병에서 4성장군에 오른 ..

"강철로 된 심장" 피델 카스트로가 남긴 말들

“역사가 나를 무죄로 할 것입니다.” -1953년 9월 몬카다 병영 습격 뒤 재판에서 “케네디가 백만장자가 아니었다면, 문맹에 무지했다면, 농민들의 혁명을 뒤집어 엎을 수는 없으리라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1960년 미국 대선후보 존 F 케네디를 향해 피그만에서 관타나모까지, 미국과 쿠바의 굴곡진 역사 “혁명은 장미꽃으로 장식된 침대가 아니다. 혁명은 미래와 과거 간의 목숨을 건 싸움이다.” -1961년 아바나에서 열린 혁명 2주년 기념식 연설 “나는 강철로 된 심장을 가졌다.” -1972년 심장병 진단을 받고 “백만장자들과 거지들, 차별 받는 흑인들, 성매매로 빠지는 여성들이 있는 미국 같은 나라의 지도자에게 어떤 도덕성이 있는가.” -1978년 세계공산주의청년회의 연설 “(쿠바의) 공중보건을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