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265

500년전 르네상스 거장 라파엘로 ‘마지막 작품’ 공개

조금씩 풀리고는 있다지만 이탈리아는 여전히 ‘봉쇄 중’이다. 코로나19 때문에 전국이 두 달 가까이 마비됐고, 이탈리아가 자랑하는 박물관들도 문을 닫았다. 바티칸광장은 텅 비었고, 프란치스코 교황도 ‘화상 강론’을 하는 형편이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미술팬들의 기대를 키우는 소식은 있다. 바티칸박물관의 문이 다시 열리면 르네상스 미술의 거장 라파엘로의 새 작품들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미켈란젤로·레오나르도 다빈치와 함께 ‘르네상스의 3대 미술가’로 꼽히는 라파엘로 산치오는 1483년 이탈리아의 우르비노에서 태어났고, 1520년 길지 않은 생을 마칠 때까지 여러 지역을 돌며 건축·미술작품을 남겼다. 에피쿠로스·피타고라스·안티스테네스 등 고대 그리스의 학자들이 모여 토론하는 모습을 그린 ‘아테네학당’, ‘..

[구정은의 ‘수상한 GPS’]머스크, 폭스뉴스, 트럼프…말라리아약은 어떻게 코로나19 치료제가 됐나

코로나19 ‘세계 최대 감염국’ 미국에서는 말라리아약 하이드록시클로로퀸(HCQ)을 둘러싼 소모전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유명 대학의 이름을 도용한 근거없는 논문, 소셜미디어의 소문을 증폭시킨 기업인, 이를 띄운 우파 언론, 비판 여론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의도가 합쳐지면서 이 약이 이슈가 돼버린 것이다. FDA를 ‘적’이라 부른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HCQ를 재차 옹호하면서, 이 약을 코로나19 치료에 쓰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는 미 보건당국의 경고마저 ‘적들의 공격’으로 몰아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공화당 상원들과 오찬하면서 “이 약에 우호적인 의사들에게 물어보라. 이 약 없이는 직장에 나갈 수 없는 노동자들이 많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뉴스 깊이보기]4%의 열쇠를 찾아라...코로나19 ‘매개동물’은?

박쥐에게서 인간으로 넘어온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어떤 ‘다리’를 건넜을까. 과학전문지 네이처는 18일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도록 변이하게 만든 매개동물을 놓고 과학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컴퓨터 모델링, 세포연구, 동물실험 등 여러 방법을 동원해 ‘수색’에 나섰지만 현재로선 오리무중이라는 것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같은 코로나 계열인 2002~2003년의 사스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지난 1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바이러스연구소가 사스 바이러스와 신종 바이러스(코로나19)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비교해 보니 96%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스 바이러스는 야생 박쥐에게서 기원했으며, 코로나19도 박쥐가 기원인 것은 확실해 보인다. 문제는 차이가 나..

[구정은의 ‘수상한 GPS’]코로나19 ‘제2 확산’? 면역 형성, 아직은 예측불가

중국의 방역 권위자가 코로나19 ‘제2의 확산’ 가능성을 경고했다. 아직 인구 대부분 집단에 면역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미국과 유럽 등 각국이 봉쇄를 완화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경고다. 중국의 전염병 전문가인 중난산(鐘南山) 공정원 원사는 17일 미국 CNN 인터뷰에서 “중국인들의 면역 형성이 아직 부족하다”며 “다시 감염의 파도가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인 대부분은 면역이 없는 탓에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수성이 높은 상태”라며 “거센 도전을 마주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이자 중국은 학교 문을 열고 공장을 다시 가동하기 시작했으나, 제2의 코로나19 물결이 밀어닥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안심해서는 안 된다고 중 원사는 경고했다. 우한은 진정, 지린성 확..

세계 코로나19 사망자 30만명…러시아·브라질 급확산, 방글라 난민촌 감염도

30만명. 올들어 넉달 여 동안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은 사람들 숫자다.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 등에 따르면 15일(한국시간) 오전 현재 세계의 코로나19 사망자가 30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감염자 수는 450만명이 넘고, 사망자는 30만3000명에 이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마스크 착용도 거부한 채 방역에 “성공했다”며 자화자찬하고 있지만 미국의 감염자는 145만명이고 사망자는 8만7000명에 육박해 감염자·사망자 수 모두 세계에서 가장 많다. 러시아 ‘사망률 의혹’ 최근 감염자가 급속히 늘고 있는 곳은 러시아와 브라질이다. 러시아에서는 하루 새 1만명 가까이 확진을 받아, 이날 현재 감염자가 25만명을 넘어 스페인(27만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다만 사망자 수는 영국(3만3000명), ..

[구정은의 ‘수상한 GPS’]미·유럽 퍼진 ‘어린이 괴질’…"코로나19와 연관성 높다"

미국과 유럽에서 아이들 수백명이 ‘소아청소년 다기관 염증증후군(MIS)’으로 불리는 신종 질병에 걸렸다. 미국에선 뉴욕 등 15개 주에서 아이들 100여명이 이 증상을 보였고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영국도 환자가 100명에 육박하며 사망자가 보고됐다. 가와사키병과 유사한 증상이라는 것만 알려졌을 뿐 질병의 원인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코로나19가 퍼진 뒤에 ‘어린이 괴질’이 급증했다는 점에서 코로나19의 관련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의학전문지 랜싯에 1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연구팀이 이 증상을 보인 어린이 환자들에 대한 조사결과를 실었다. 결론은 “가와사키병과 비슷하지만 증세가 훨씬 심하고 발병률도 훨씬 높았다”는 것, 그리고 “코로나19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가와사키병보다 증세..

[정리뉴스]베네수엘라 ‘용병 침투작전’, 미국 배후설 정말일까

미국이 베네수엘라 정부를 전복시키기 위해 용병을 보냈다고 베네수엘라가 주장하면서 공방이 벌어졌습니다. 발단은 지난 3일(현지시간) 수도 카라카스 주변에 있는 라과이라는 곳의 바닷가에서 무장괴한들을 사살했다고 베네수엘라 정부가 밝힌 겁니다. 정부는 국영방송을 통해 “쾌속정을 타고 혁명정부 지도자들을 살해하기 위해 용병들이 침입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현장에서 8명이 사살됐고, 당시 체포된 미국인 2명을 비롯해 37명이 검거됐습니다. 베네수엘라 “해안 침입 용병들 사살”…배후는 미국? 베네수엘라의 현 대통령은 우고 차베스의 후계자인 니콜라스 마두로. 2018년 대선에서 재선됐는데, 후안 과이도 국회의장이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면서 자신이 임시대통령이라 우기고 있습니다. 미국은 과이도를 공식적으로 지지했고 세계 각..

[월드피플]'쿠오모 형제' 어머니 마틸다는 미국 아동·여성보호 선구자

지난 3월 미국 뉴욕주에서 코로나19가 급속 확산되기 시작하자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우왕좌왕하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를 비판하며 적극 대응에 나서 ‘코로나 시대의 스타 정치인’으로 떠올랐다. 특히 CNN방송 앵커인 동생 크리스가 진행하는 생방송 프로그램에 출연, 누가 더 어머니의 사랑을 받는 아들인지 장난 섞인 설전을 주고받아 화제가 됐다. 10일(현지시간) 쿠오모 형제의 어머니 마틸다 쿠오모(88)가 주지사 아들의 코로나19 일일 브리핑에 등장했다. 쿠오모 주지사는 ‘어머니의 날’인 이날 “오늘은 감사와 사랑의 날”이라며 브리핑 도중 화상으로 모친 마틸다를 연결했다. 많은 사람과 접촉해야 하는 주지사로서 감염 위협 때문에 어머니와 직접 만날 수는 없지만 “보고 싶고 사랑한다”며 어머니의 날을 축하했..

인도 LG공장 주변 이틀째 주민대피…현지 당국 "기업 관리태만 탓"

2020.05.08 10:30 인도 남동부 안드라프라데시주 비사카파트남의 LG폴리머스인디아 공장에서 일어난 유독가스 누출사고로 이틀째 주민들 대피가 이어지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전날 인도 언론들은 공장에서 스티렌 가스가 누출돼 13명 이상이 숨지고 1000여명이 입원했으며 주변 3개 마을에 대피령이 내려졌다고 보도했다. 지역 소방당국은 추가 누출 우려가 있다고 보고 대피령을 확대해 공장에서 8일 반경 5km 안에 사는 주민들에게 피신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LG폴리머스는 탱크 안의 온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어, 만일에 대비해 경찰에 주민 대피를 요청했고 현재 탱크 안에 용수를 투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LG폴리머스인디아는 인도 최대 폴리스타이렌 수지 제조업체인 힌두스탄폴리머를 LG화학이 1996년 ..

코로나19 시대 미국인들의 새 인테리어, ‘책장 꾸미기’

미국에선 코로나19 때문에 학자들도 언론인들도 집 밖을 나가지 못하고 ‘자택대피령’에 발이 묶여 집안에서 모든 걸 해야 한다. 화상강의는 물론이고 기자들의 리포트나 전문가들의 방송출연도 전부 집 안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스튜디오가 아닌 자기 집을 청중이나 시청자들에게 화면으로 보여줘야 한다는 것은 얼마나 고급스런 집에 살든 간에 누구에게나 부담스런 일이다. ‘가상배경’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아무래도 어색한 티가 날 수 있다. 꼭 화면에 등장하지 않더라도 격리상태로 집에 머물면서 일상을 인스타그램에 올리려는 사람들, 혹은 이참에 집에서 책을 읽으며 하루를 보내는 사람들에게 책장 꾸미기가 관심사로 부상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최근 “책장이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면서 “자가격리에 들어간 사람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