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65

50년간의 잡동사니 발명품 Best 50

워크맨, 아이팟(iPod), 폴라로이드 카메라... 현대인의 가방 속, 호주머니 속은 각종 휴대용 전자제품들로 가득하다. 미국 컴퓨터잡지 `PC월드'는 25일자(현지시간) 인터넷 판에서 지난 50년간 세계인을 사로잡은 `주머니속 잡동사니 50가지'를 꼽았다. `잡동사니(gadget)'라고는 하지만 상당한 고가품에 해당되는 휴대용 전자제품들이다. 1위는 휴대용 테이프레코더의 대명사처럼 여겨졌던 일본 소니의 워크맨이 차지했다. 지금은 어린아이들도 주머니 속에 디지털 제품 하나씩은 갖고 다니지만, 1980년대만 해도 워크맨은 `돈 있는 집 자식들'에게만 허용되던 사치품이었고, 워크맨 도난사건이 심심찮게 화제에 올랐었다. 파란색과 은색의 외장을 갖춘 워크맨 TPS-L2 모델은 1979년 출시됐을 당시 선풍적인 ..

베들레헴의 슬픈 크리스마스

해마다 12월25일 성탄절이 되면 교황청 특사가 이스라엘에 점령된 동예루살렘을 거쳐 고대부터 존재해온 오래된 길을 따라 베들레헴을 찾는다. 그러나 올해에는 교황청 특사도 예수 탄생 성지인 베들레헴에 들어가려면 육중한 금속탐지기 엑스레이 검색대, 보안요원들의 수색을 거쳐야 한다.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CSM)와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22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의 봉쇄작전으로 평화와 축복 대신에 경계와 적대 속에 크리스마스를 맞게 된 베들레헴의 분위기를 전했다. 베들레헴은 기독교인들에게는 설명이 필요 없는 성지이고, 팔레스타인 무슬림들에게도 성탄절은 축복받은 날이다. 그러나 예루살렘에서 자동차로 10분 거리인 베들레헴은 이스라엘령이 아닌 팔레스타인 자치지역이라는 이유만으로 고립과 공포 분위기에서 성탄절을..

[2005, 토고] 토고에 가다

"우에종(반갑습니다), 꼬레!" 모래바람 부는 바닷가 공항, 서아프리카인들 특유의 마음 좋아 보이는 얼굴에 넉넉한 웃음. 12일(현지시간) 아프리카의 작은 나라 토고 수도 로메에서 마주친 이 나라의 첫인상이었다.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월드컵 조 추첨식을 보고 좋아라 하며 “내일은 드레스덴을 구경해보자” 하면서 꿈에 부풀어있었다. 날벼락 같은 지시를 받았다. “토고로 가라”. 생소한 이 나라가 한국의 월드컵 첫 상대팀이 됐다고 해서, 갑자기 토고로 가게 됐다. 라이프치히에서 부랴부랴 토고행 비행기표...를 샀다. 난생 처음 내 카드로 천만원 긁어봤다! (중간 생략) 프랑크푸르트에서 민박하고 담날 파리로 갔다가, 곧바로 토고 수도인 로메로 향했다--- 라고 하면 사실과 좀 다르다. 파리에서 로메 가는 비행기는..

치사한 이집트

이집트 법원이 지난 9월 대통령선거에서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아성에 도전했던 야당 후보에게 징역형을 선고했다. `정치 보복'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까지 석방 압력을 넣고 있어, 미-이집트 간 관계 악화 조짐이 일고 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카이로 지방법원은 지난 24일(현지시간) 9월 대선에서 무바라크 대통령과 경쟁했던 야당 알가드당 지도자 아이만 누르(41)에게 창당 서류를 위조한 혐의로 징역 5년을 선고했다. 누르는 지난해 10월 알가드당을 만들면서 추천인 명부를 위조한 서류를 낸 혐의로 기소됐다. 누르는 올초 검찰의 수사를 받다가 전격 체포됐으나, 범국민적인 민주화시위가 일어난 뒤 40여일 만에 풀려났었다. 대선에서 누르는 7% 대의 지지율을 얻는데 그쳤지만 극심한 정치적 압력 ..

빈라덴의 조카

테러조직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라덴의 조카가 모델로 데뷔했다. AP통신은 23일(현지시간) 빈라덴의 조카인 와파 두푸르(26.사진)가 미국 남성잡지 `GQ매거진'의 모델로 등장했다고 보도했다. 두푸르는 빈라덴의 이복동생 예슬람의 딸. 아버지는 사우디아라비아 출신이지만 두푸르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현재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본명은 와파 빈라덴이지만 2001년 9.11 테러가 일어난 뒤 `빈라덴'이라는 성(姓)을 버리고 어머니의 결혼 전 성인 `두푸르'로 바꿨다. 두푸르는 GQ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모두가 나를 그 사람(빈라덴)과 연결시키려고 하지만 나는 알카에다와 아무 관계도 없는 사람"이라면서 "나를 모델로만 봐달라"고 말했다. 두푸르는 "나는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적..

사이언스 선정 올해 10대 과학뉴스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가 `올해의 10대 과학뉴스'에서 황우석 서울대 교수팀의 줄기세포 연구 논문을 제외했다. 사이언스는 22일(현지시간) 인터넷판에서 진화론 연구, 우주탐사, 국제핵융합로 체제 출범 등을 올해의 과학뉴스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황교수팀의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등에 관한 연구결과는 제외됐다. 사이언스는 올해 최고의 과학뉴스로 진화론 연구의 진전을 꼽았다. 미국에서는 창조론을 변형시킨 이른바 `지적설계론'과 진화론의 교육 여부를 놓고 논쟁이 한창이었지만, 과학계에서는 진화론의 눈부신 연구성과들이 속속 등장했다. 사이언스는 특히 인류의 사촌 격인 침팬지 게놈이 확인된 것 등을 들며 "야생관찰 같은 전통적 진화론 연구방법에 게놈 데이터를 접목시킨 연구들"로 평가했다. 올해는 또한 인류의 ..

2005 키워드

2005년 세계의 키워드 중 하나, '지진' Pakistani earthquake survivors. Thousands of Pakistan's quake survivors are caught in a desperate struggle for survival in the Himalayan cold and need urgent help, an international aid group said.(AFP/File/Arif Ali) 무너져내린 바위에 막혀 길이 사라진 파키스탄 산악지대의 마키아라 계곡, 배낭을 둘러맨 원정대가 히말라야의 험준한 바위산들 사이에 점점이 흩어져 있는 산골 마을들을 찾아다닌다. 프랑스인 장 필립 부르주아와 캐나다에서 온 클로드 앙드레 나동은 메고 온 배낭을 끌러 담요를 꺼낸다. 에베..

할리웃, 발리웃, 이젠 '날리웃'

할리웃, 발리웃, 이번엔 `날리웃'. 세계 영화계에서 나이지리아 영화가 `뜨고' 있다. 미국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는 20일(현지시간) 영화계에 불고 있는 나이지리아 바람을 소개하면서 인도의 `발리웃(Bollywood)'에 이어 나이지리아의 영화산업을 지칭하는 `날리웃(Nollywood)'이 화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나이지리아 라고스에 위치한 한 영화 스튜디오. 인기 영화감독으로 부상한 아딤 윌리엄스의 새 정치영화 촬영이 한창이다. 저녁 6시가 다 되어가지만 모두들 점심을 거른 채 촬영에 몰두하고 있다. 윌리엄스 감독이 `컷'을 외치는 소리가 현장을 메운다. 2주간의 촬영, 제작비는 4만달러. 전형적인 `날리웃' 스타일의 저예산 영화다. 아직까지는 제작되는 영화의 양(量)이 질(質)을 압도하는..

과학이 많으면 사기도 많다

"과학이 많으면 사기도 많다(More Science, More Fraud)." 미국의 뉴욕타임스가 20일(현지시간) 한국의 황우석 서울대교수 스캔들을 계기로 세계 과학계에 횡행하고 있는 실수와 기만을 꼬집는 기사를 실었다. 뉴욕타임스는 `글로벌 트렌드:과학이 많으면 사기도 많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세계 과학계를 뒤흔든 한국의 스캔들은 실수나 기만을 막을 수 있는 메커니즘보다 연구들이 앞서나가면서 생겨난 결과"라면서 "세계 과학계에서 앞으로 터져나올 것들의 한 징후에 불과하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과학저널 `사이언스' 논문 게재에서부터 황교수의 연구실이 폐쇄되기까지의 과정, 2002년 미국 벨 연구소 논문조작 사건 등 근래 일어난 대표적인 과학 스캔들 등을 소개하면서 "1970년대 이후에 세계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