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65

아시아나 항공기 샌프란시스코 사고... "대참사 모면"

6일 인천국제공항을 떠나 미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 착륙하던 아시아나항공 214편 보잉 777 여객기가 활주로에 충돌해 중국인 승객 2명이 숨지고 180여명이 다쳤다. 사고기 뒷부분이 부서지고 동체에서 불이 나 완전히 파손되는 대규모 사고였지만 이례적으로 사망자는 적었다. 샌프란시스코크로니클 등 현지 언론들은 대참사가 될 수 있는 상황이었는데 다행히 최소한의 인명피해에 그쳤다고 보도했다. 사고는 이날 오전 11시27분(현지시간) 여객기가 착륙하는 도중 활주로 끝부분에 꼬리 부분을 부딪치면서 일어났다. 이어 여객기가 활주로에 부딪치면서 요동을 치며 꼬리 부분이 부서져나갔고, 랜딩기어도 떨어졌다. 기체가 활주로를 벗어나 미끄러지면서 기체에 화재가 일어나고 연기가 치솟았다. 당시 여객기에는 승객 291명과 ..

"커피 달라" 거절했다가 '처형'된 시리아 소년... 알카에다 반군 잔혹행위 계속

시리아의 유서깊은 도시 알레포 시내에서 한 여성이 2일 지나가는 남성들의 얼굴을 들여다보며 누군가를 찾고 있다. 이 여성의 아들인 모함메드 카타는가난한 집안 사정 때문에 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지만, 수레를 끌고 다니며 커피를 팔아 살림에 보태는 14살 소년이었다. 카타는 지난달 샤아르 거리게 있는 자기 집 옆에서 바샤르 알 아사드 정부에 반대하며 내전을 벌이고 있는 반정부군에게 ‘처형’됐다. 누군가가 커피를 공짜로 달라고 하길래 “예언자(이슬람의 창시자 무함마드)가 와도 그렇게는 안 돼요”라면서 웃으며 거절했던 것이 화근이었다. 지나가다 이 말을 들은 반정부군 병사들이 ‘신성모독’을 저질렀다며 소년을 구타한 뒤 이슬람 성법인 샤리아를 들며 그 자리에서 살해한 것이었다. 이웃사람들의 외침을 듣고 집..

쿠데타 일으킨 엘시시, 이집트의 '킹메이커'에 만족할까

쫓겨난 무함마드 무르시 전 이집트 대통령이 압델 파타 엘시시(58)를 국방장관에 임명했을 때만 해도, 이렇다할 경력도 없고 대중적 인지도도 낮은 50대의 엘시시가 이집트를 좌지우지할 인물이 될 것으로 예상하는 사람은 없었다. 하지만 1년이 지난 지금 엘시시는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면서 이집트의 킹메이커로 부상했다. 엘시시는 무르시 정권에 ‘최후통첩’을 보낸 지 이틀만인 3일 무르시의 축출과 헌법 효력중지를 선언했다. 불과 며칠 새 벌어진 이 무혈쿠데타의 과정에서 엘시시가 보여준 모습은 주도면밀하고 카리스마 넘쳤다. 군 내에서조차 이렇다할 경력이 없고 야전사령관 출신도 아닌 엘시시는 무르시가 흔들리는 사이 치밀하게 군과 자신의 위상을 높였다. 엘시시가 미국 군사학교에서 공부할 때부터 그를 알고 있었던 미국..

이집트 ‘최후통첩’ 지나... 군부 침묵 속 일촉즉발 긴장감

이집트 정국이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로 ‘아랍의 봄’ 혁명 이후 최대 혼란에 빠진 상황에서 군부의 압박에 밀린 무르시 정부가 연립정부 구성과 개헌을 제안했다. 하지만 대통령직 사퇴 요구는 계속 일축, 극도의 긴장이 이어지고 있다. 무르시 대통령은 3일 오후(현지시간) “연립정부가 정치적 교착상태를 풀 해법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며 ‘국민적인 대화’를 제안했다. 무르시는 군부의 ‘최후통첩’ 시한이 지난 직후 이 같은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고 로이터통신, CNN방송 등이 보도했다. 무르시는 전날 발표한 정국 수습 ‘로드맵’에 들어 있던 연립정부 구성안을 다시 내놓으면서 이를 위한 ‘대화’를 할 것을 제시했다. 또 이슬람주의를 강조한데다 대통령에게 막강한 권한을 줘 ‘파라오 헌법’..

군칸지마(군함도), 체르노빌, 차티엔, 세웰... 세계의 유령도시들

영국 '인디펜던트' 신문 웹사이트에 눈길 끄는 사진들이 올라와 있네요.'세상에서 가장 황폐한 도시'. 구글 스트리트뷰에 잡힌 일본 군칸지마(군함도)의 이미지입니다. 'The most desolate city on earth': Google Street View captures eerie images of Japan’s abandoned Battleship Island 군칸지마는 나가사키 남서쪽에 있는 섬입니다. 원래 이름은 하시마(端島)입니다. 이 섬을 1890년에 미쓰비시가 매입해서 바다밑에 있는 해저탄광 채굴기지로 삼고 주변을 매립해, 암벽을 둘러쳤습니다. 그 안에 건물이 생기고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마치 외관이 군함처럼 보이게 됐기 때문에 생긴 별명입니다. 그러나 석탄은 고갈됐고, 1974년 1월 ..

로버트 카파 사진전

우리 회사에서 하는 사업이라서가 아니라, 정말로 한달 남은 이 전시회를 목 빠지게 기다리고 있다. 당연한 소리지만 꼭 보고 싶어서. 내게 카파는 고야의 이미지다. 스페인 때문에? 고야의 붓터치를 연상케 하는 사진 때문에? 이유는 잘 모르겠다. 올초에 도쿄 에비스 사진미술관에서 쪼꼬만 카파 사진집 하나 사가지고 왔는데 싼 걸로 사려니;; 너무 작아서(정말 손바닥만한 문고판) 사진이 잘 보이지가 않아요... 답답해 ㅠ.ㅠ 에비스 사진미술관 외벽을 장식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사진 그러나 카파라면 역시 이 사진 요니 손잡고 같이 가서 보리라! 카파에 대해 좀더 알고 싶다면 이 글을... 로버트 카파 "우리는 전쟁 사진을 말할 때 로버트 카파를 빼놓고는 말할 수도, 상상할 수도 없다. 카파 이전에도 많은 전쟁 ..

'조부모 효과'와 계급 이동- 프레카리아트의 세계

“아이들의 장래를 결정짓는 것은 할아버지·할머니의 재력?” 학교 성적과 사회에서의 지위, 미래의 수입 등은 부모 세대뿐 아니라 조부모 세대의 재력·지위에 따라 결정된다는 속설이 학술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영국 옥스퍼드·더럼대 연구팀이 대규모 추적조사를 통해 ‘조부모 효과’가 사실임을 밝혀냈다고 BBC방송이 1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1946년, 1958년, 1970년에 태어난 영국인 1만7000여명을 선택해 사회적 지위를 추적해 분석했다. 연구팀은 조사대상자 본인과 조부모, 부모 세대를 수입이나 직업에 따라 상·중·하위계급으로 나눈 뒤 상관관계를 알아봤다. 조부모와 부모가 모두 사회·경제적으로 상위에 속해 있는 사람들은 80%가 스스로도 상위계급으로 성장했다. 반면 조부모 세대까지 중위 이하였다가 부모 ..

'미군 2인자'가 기밀 누설자? 제임스 카트라이트 전 합참차장 조사 파문

‘리크(leak·누설)’의 끝은 어디일까. 미국 버락 오바마 정부의 도덕성과 명분에 타격을 입히는 폭로들이 잇따라 터져나오는 상황에서, 군 서열 2위였던 전직 장성이 기밀 누설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NBC방송은 27일 수사·재판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 미군 합참 차장 출신인 퇴역장성 제임스 카트라이트가 지난해 벌어진 ‘이란 사이버공격작전 누출사건’의 혐의자로 조사를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발단은 2010년 7월 일어난 이란 나탄즈 우라늄 농축시설 해킹이었다. 독일 지멘스사의 소프트웨어와 장비만 골라서 공격하는 스턱스넷이라는 바이러스가 나탄즈의 원심분리기 1000개를 일시 가동중단시켰다. 이 바이러스가 ‘저격수’처럼 유독 이란 핵시설을 공격한 것으로 드러나자 미국과 이스라엘의 합동 사..

장자일기/ 무당 계함과 열자와 그의 스승 호자

5. 정나라에 계함이라는 신통한 무당이 있었습니다. 사람이 죽고 사는 것, 살아 남고 죽게 되는 것, 화나 복을 받는 것,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 등을 다 알 수 있었습니다. 연월일까지 알아맞히는 것이 꼭 귀신같았습니다. 정나라 사람들은 그를 보면 모두 도망을 갔습니다. 열자만은 계함을 만나 보고 심취하여 돌아와서 스승 호자에게 아뢰었습니다. "제가 처음에는 선생님의 도(道)가 지극하다고 생각했습니다만, 지금 보니 그보다 더한 도가 있습니다."호자가 말했습니다. "나는 너에게 도의 껍데기만 가르치고 아직 그 알맹이는 가르치지 않았다. 그런데도 너는 내가 가르치는 도를 다 터득했다고 생각했단 말인가? 암탉이 많아도 수탉이 없으면 어떤 달걀이 나오겠느냐? 너는 그 (알맹이도 없는) 도를 가지고 세상과 겨루..

데이비드 스즈키의 마지막 강의,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세상'

아마도 우리에게는 새로운 이야기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옛이야기를 재발견하는 것이 필요할지 모르겠다. 언어학자 니콜라스 파라클라스는 우리 사회에 대해 다른 비전을 제시한다. “굶주림도, 노숙도, 실업도 없는 사회, 필요할 때면 공동체가 언제든지 그 필요를 채워 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느긋할 수 있는 사회를 상상해 보라. 결정권자들이 필요가 있을 때만 다스리고, 다스릴 때도 공동체의 의론과 합의와 승인을 얻어서만 다스리는 사회를 상상해 보라. 여자들이 생산과 생식의 수단을 조절하고 집안일은 최소한이 되고 육아는 하루 24시간 필요할 때마다 구할 수 있는 사회를 상상해 보라. 범죄가 거의 없거나 아주 없고, 공동체의 갈등은 죄의식이나 형벌 같은 개념과 무관하게 피해를 입은 사람에게 보상을 해 주는 것에 ..

딸기네 책방 2013.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