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얘기 저런 얘기 1152

허블의 시대는 정말 끝나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허블 망원경’이 고장났다고 하네요. 허블천체망원경이 고장나서 지구로 이미지 전송 못하고 있고 다음달 우주왕복선 작업도 연기될 것 같다고 NASA가 발표했습니다. 앨러드 보이텔 NASA 대변인은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에 있는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데이타 전송장치인 Control Unit/Science Data Formatter 에 27일 고장이 났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고장난 것은 포매터의 ‘사이드A’인데요. 허블 조작을 맡고 있는 메릴랜드주 그린벨트 고다드우주비행센터는예비용인 사이드B를 작동시키려 애쓰는 중이랍니다. 하지만 1990년 발사 이래로 사이드A만 써왔던 터라 전망은 불투명하답니다. 허블 담당자와 우주왕복선 담당자들이 모여서 어떻게 해야할지를 회의하고 있다는군요..

새 일

* 날씨가 갑자기 선선해졌다. 어제 오늘 선선해진 가 이상한 것이 아니라, 그동안 너무 따뜻했던 것이 별스러웠던 게지. 섭씨 30도에 육박하는 추석연휴에, 10월이 코앞에 오도록 여름날처럼 볕이 따갑더니 드디어 가을로 돌아갔다. 하늘이 너무 푸르고, 바람은 시원하다. 가을은 좋은데 어느 틈에 올해도 다 지나가고 이제 두 달 밖에 안 남았다.올해, 이래저래 좀 정신이 없었다. 아직 한 해 결산할 때는 아니지만-- 회사 옮기고, 번역 시작하고그러다보니 책도 제대로 못 읽었다. 올해 매우 안 좋음 -_- 며칠전 뽀리양을 만나 간만에 지적인 자극을 받고 알라딘에서 책 주문.(흑흑 뽀리와 푸른여우님을 못 만나니 요즘 지적인 자극이 영 없어서 별로다.) * 오늘은 나눔문화 허선생님을 만나 새 일거리를 받았다.지금 ..

광장에 선 성악가

어제 저녁 세미나가 있어 프레스센터로 가는 길에 청계광장을 지나게 됐다. 광화문 네거리 지하도를 걸어올라올 때부터 어디선가 노래 소리가 들렸다. 청계광장에서 나는 것 같긴 한데, '시위대 음악'은 아닌, 클래식한 노래였다. 워낙 음악에 문외한이니 '우와, 정말 잘 한다 대체 누굴까' 몇 초 동안 궁금해하다가, 그 다음엔 순간 '아무래도 운동가요가 아닌 걸로 보아 혹시 교회 집회?' 갸웃거렸다. 광장으로 가까이 가니 '비정규직 없는 세상 만들기, 일만 행동 촛불문화제'라는 현수막이 보였다. 오호라... 아니 요즘엔 운동가요가 저렇게 고상하고 예술적인 수준으로 발전했단 말인가!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했다. 노래를 부른 사람은 서울시립 예술단체의 이라고 한다. 사회자의 멘트를 들으니 콧날이 시큰해졌다. 예..

스톤헨지는 '병자 순례지'?

영국이 자랑하는 세계적인 선사 유적지 스톤헨지. 영국 남부 윌트셔에 있는 스톤헨지는 기원전 3100~2400년 사이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거석 유적으로, 유네스코 선정 세계문화유산 중 하나다. 그러나 정작 이 유적이 정확하게 언제 만들어진 것이며 용도가 무엇이었는지는 추측만 분분하다. 영국 BBC방송은 22일 스톤헨지가 ‘신비한 돌의 치유력을 믿은 병자들의 순례지’였으며 세워진 시기는 당초 예상보다 조금 뒤인 기원전 2300년쯤으로 추정된다는 최신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영국 본머스대학 팀 다빌 교수가 이끄는 고고학 연구팀은 솔즈베리 평원에 원형으로 늘어선 유적의 청회색 사암과, 돌들 사이에 놓인 중심 부분 사르센(sarsen·잉글랜드 중남부에 많이 묻혀있는 사암 덩어리)을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법으로 ..

장자일기/ 자고의 고민

16. 섭공 자고가 사신으로 제나라에 갈 때 공자에게 말했습니다. "왕께서 제게 준 임무가 막중합니다. 제나라에서 사신은 정중하게 대접하지만 일은 빨리 처리해주지 않습니다. 보통사람에게도 재촉할 수 없는데, 제후에게 어떻게 하겠습니까? 심히 두렵습니다. 일찍이 선생께서는 제게 '작은 일이든 큰 일이든 성공을 바라지 않고 하는 일은 드물다. 성공하지 못하면 반드시 사람에게 괴로움을 당할 것이고, 성공하면 음양으로부터 괴로움을 당할 것이다. 성공하든 실패하든 괴로움에 시달리지 않을 사람은 덕을 가진 사람 뿐이라' 하셨지요. 17. 저는 요리를 간단히 해서 별 맛 없는 음식을 먹습니다. 그래서 요리할 때 부엌에서 덥다며 시원하게 해 달라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런데 오늘 아침에 왕명을 받고, 저녁에 얼음물을 들..

크롬

구글 크롬을 깔았다. 구글 툴바는 어케 까누... 하다가 검색 좀 해보니, 주소창에 툴바 기능을 합쳐놨네? 하지만 툴바에 검색창만 있었던 것도 아니고... 나는 자동 영한사전 기능을 애용하고 있었는데 그게 없으니깐 영 불편하다. 텍스트큐브에서 곧바로 버전업해놔서 에디팅 기능은 정상으로! 홈 버튼은 옵션에 있으니 체크해놨고... 북마크 편집기능이 아직 약하긴 하지만 툴바에 줄줄이 널어놓으니 편하다. 즐찾 추가하는 것은 주소창 별표 누르니까 되긴 하는데, 익스플로러보다는 약간 번거롭다. 암튼 빠르고 깔끔해서 좋다.

'좌파 교과서'

몇몇 단체들이 금성교과서 등의 내용을 놓고 빨갱이 교과서라고 시비를 건단다. 마침 내일자 국민일보를 보니, 6종 교과서를 상세히 분석해놨다. 이 신문의 분석에 모두 동의한다는 것은 아니고, 몇가지 내용이 눈에 띄었다. 구체적으로 거론하기도 귀찮다. 유치찬란해서 봐줄 수가 없다. 다 차치하고, 언제부터 '대한상의'가 역사학 연구기관이 되어 역사책에 대해 감놔라 배놔라 하게 된 건지?

빅뱅 실험

21세기 ‘앨리스의 실험’은 성공할 것인가. 스위스 제네바의 ‘거대 강(强)입자 가속기(LHC)’가 10일 가동을 시작합니다. 인공적으로 블랙홀을 만들어내기 위한 이 실험은 태초의 상황을 재현해보기 위한 것으로서, 막대한 설비비용과 실험 규모 때문에 세계의 이목을 끌어모았었지요. LHC를 보유하고 있는 유럽핵물리연구소(CERN)는 블랙홀을 만들어내 빅뱅(대폭발) 직후의 우주와 같은 상태를 만들기 위한 준비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예정대로 실험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AP통신은 영국 동화에 나오는 앨리스(ALICE- ‘거대 이온 충돌 실험’의 약자이기도 합니다)처럼 인류가 ‘이상한 나라’로 들어갈 준비를 하고 있다면서, 우주 탄생의 신비를 이 기계가 밝혀줄 수 있을지에 모든 관심이..

신나는 일요일

늦으막히 일어나 꼼꼼이에게 뭘 먹을까, 하고 물으니 "햄하고 감자하고 볶아주세요" 한다. 룰루랄라 감자와 스팸을 썰어 볶아서 열무김치와 함께 상 차리고, 꼼양이 좋아하는 골드키위(아무리 좋아해도 연 이틀은 안 먹는 꼼꼼 -_-)를 후식으로 제공. 그리고 설거지를 했다. 토요일에 옛 직장에서 친했던 몇몇 손님들 불러놓고 놀았던지라 식탁 위에 와인잔, 찻잔이 그득~ 그거 치우는 동안 꼼꼼이에게 청소를 시켰다. 용돈 준다고 하니까 열심히 했다. (1층 미니스톱에 심부름 갔다올 땐 보통 200원 주는데 어제 300원을 줬더니 "보통 때보다 많네요!" 하면서 엄청 좋아라 했다) 그리고 구몬 문제풀이 시켜놓고, 나는 꼼양을 데리고 어디를 놀러갈까 이너넷 검색. 교육문화회관 수영장에 갈 생각으로 집을 나섰다. 그런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