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네 책방 863

[스크랩] 네루와 보르헤스, 어떤 사람들이 자신을 말하는 방식.

자와할랄 네루는 위대한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를 직접 접했던 미국의 인도학자 스탠리 월포트의 평에 따르면 '네루는 카리스마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잘 생기고, 달변이었다. 또한 이상적이고 낭만적이었으며, 역동적이었지만, 언제나 무척 사적인 사람이었다. 그에게는 수없이 많은 추종자와 숭배자들이 있었지만 친구는 거의 없었으며, 생애의 말년에 이르러서는 진실로 믿을만한 상대라곤 자신의 딸인 인디라밖에 없었다'. 어렸을 때, 세계사편력을 쉽게 번역해놓은 '아버지가 들려주는 세계사 이야기'라는 책을 읽었다. 세계사편력보다 우리나라에서는 더 먼저 번역출간된 책이다. 대학에 들어가서 다시 세계사편력을 펼쳤는데, 기억과는 달리 별로 재미가 없었다. 옥중의 아버지가 딸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로 본다면 어린 시절 읽었..

딸기네 책방 2002.12.06

[스크랩] 조반니노 과레스키, <약속을 지킨 소녀>

조반니노 과레스키는 우리나라에서는 ‘돈 까밀로와 빼뽀네(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로 알려져 있지만, 이 작자의 진수를 보여주는 것은 재미있고 우스꽝스런 까밀로 연작보다는 바로 이 작품입니다. 제 기억의 박물관에서는 ‘보리와 임금님’ 다음으로 소중한 것이 이 이야기랍니다. 여러번 베껴쓰기도 했었어요. 친구들에게 편지 쓰면서, 열심히 또박또박 베껴서서 보내주기까지 했다니까요. 그런데 서른씩이나 먹어서 지금 읽어보면, 어쩌면 유치하게 들릴지도 모르겠네요 조반니노 과레스키, 여자라고? 아니, 여자는 필요없다. 술집에서 노래를 부르거나 약간 흥청거리는 일이라면 난 언제나 찬성이다. 하지만 그 이상은 아니다. 나에겐 이미 내 소녀가 있다. 그녀는 파브리꼰의 길을 따라 늘어선 세 번째 전봇대에서 매일 저녁 나를 기다..

딸기네 책방 2002.12.05

쿼크로 이루어진 세상

쿼크로 이루어진 세상 한스 그라스만 (지은이), 염영록 (옮긴이) | 생각의나무 "이리넬은 앙칼지지도 않고 경망스럽지도 않은 그런 평범한 소녀였다. 그렇게 평범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의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녀는 자신의 어린 시절과 젊은 시절을 소모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제 그녀는 자신이 잃어버린 세월을 되돌리고 있는 중이었다. 이리넬은 도망자였다." . 청소년을 위한 물리학 개론서 형식으로 돼 있는데, 특이하게도 1장은 이라는 소설같은 에피소드를 소개하고 있다. 서문 격인 이 글이 너무나 아름다웠고, 마음이 아팠다. 세상에는 언제나 독재자(혹은 사람의 감정을 매몰시키고 사람의 생각을 현실에서 멀어지게 만드는 모든 것)가 있기 마련이고, 그렇기 때문에 독재자에게 도망치려는 사람들 또한 ..

[스크랩] 체 게바라, 몇편의 시들

(에 실려 있는 몇편의 시들이다. 이산하 시인이 묶은 것과는 조금 순서를 바꿨다. 시의 행들도 내 마음가는대로 읽기 위해 시인이 편집해놓은 것하고 다르게 붙이고 떼고 했다.) 나의 삶 내 나이 열다섯 살 때, 나는 무엇을 위해 죽어야 하는가를 놓고 깊이 고민했다 그리고 그 죽음조차도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하나의 이상을 찾게 된다면 나는 비로소 기꺼이 목숨을 바칠 것을 결심했다 먼저 나는 가장 품위있게 죽을 수 있는 방법부터 생각했다 그렇지 않으면 내 모든 것을 잃어버릴 것 같았기 때문이다 문득, 잭 런던이 쓴 옛날이야기가 떠올랐다 죽음에 임박한 주인공이 마음 속으로 차가운 알래스카의 황야같은 곳에서 혼자 나무에 기댄 채 외로이 죽어가기로 결심한다는 이야기였다 그것이 내가 생각한 유일한 죽음의 모습이었..

딸기네 책방 2002.12.01

매트 리들리, '붉은 여왕'

붉은 여왕 The Red Queen 매트 리들리 (지은이), 김윤택 (옮긴이) | 김영사 과 를 통해 국내에서도 탁월한 과학저술가로 인기를 끌고 있는 매트 리들리가 性선택 이론을 근간으로 인간의 성격과 행태를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다. 학습이냐, 본능이냐. 저자의 주장은 두 가지가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노엄 촘스키, 리처드 도킨스, 매트 리들리의 공통점은? 유전자 과신론자가 아니라, 유전자의 진실을 보려고 노력했다는 것. 여성과 남성이 다르다는 건, 그들을 해야 된다는 얘기랑은 다르다. 를 부정하면서 모든 것을 과 의 탓으로 돌리기보다는 리들리의 주장대로 하고 맞닥뜨리는 쪽이 낫지 않을까. 난 리들리의 책들을 참 좋아한다. 특유의 재치있고 명쾌한 설명. 낙관적이면서도 겸손할 수 있다는 것은,..

크리스토퍼 히친스, '키신저 재판'

키신저 재판 The Trial of Henry Kissinger 크리스토퍼 히친스 (지은이) | 안철흥 (옮긴이) | 아침이슬 | 2001-12-08 역시나 책꽂이에 얹어두고 있다가 다시 꺼내 읽었는데 뜻밖에 술술 넘어갔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대표적인 진보적 지식인 중 하나라는 히친스는 여러 사료와 증언들을 종합해서 키신저라는 인간이 저지른 비열하고 잔혹한 행태들을 까발리고, 그의 무책임하고 저급한 변명과 거짓말을 맞받아친다. 굳이 비교하자면 하워드 진 보다는 표현이 좀 격렬하고, 노엄 촘스키보다는 덜 신랄하다. 문체만 놓고 보면 그렇다는 이야기이고, 내용에서는 충실도나 역사의식으로 보나 두 사람에게 결코 뒤지지 않는다. 촘스키의 와 묶어서 읽었더라면 좋았을 걸 그랬다. 는 의 다른 이름일 뿐이니까. 지..

딸기네 책방 2002.11.19

새로운 전쟁

새로운 전쟁 사이먼 리브 (지은이) | 한영탁 | 황의방 (옮긴이) | 중심 | 2001-11-10 지겨운 감이 없잖아 있어 제껴놓고 있던 책 2권을 내쳐 읽었다. 사이먼 리브의 과 크리스토퍼 히친스의 . 둘 다 지난해 9.11 테러 뒤부터 줄곧 책꽂이 한켠을 장식하던 것들인데 드디어 해치웠다. 은 북리뷰팀에서 가져다준 것을 책꽂이에 꽂아만 놓고 있다가, 갑자기 손이 그리로 가는 바람에 읽기 시작했는데 의외로 재미가 있었다. 원제(The New Jackals)에서 알 수 있듯, 20세기 최고.최악의 테러리스트로 꼽혔던 자칼의 뒤를 잇는 이슬람 테러리스트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전반부는 93년 미국 뉴욕 세계무역센터 폭파사건의 주범인 람지 유세프, 후반부는 지난해 9.11 테러의 마스터마인드 오사마 빈..

딸기네 책방 2002.11.19

신의 방정식

신의 방정식 God's Equation ; Einstein, Relativity and the Expanding Universe 아미르 D. 악젤 (지은이), 김희봉 (옮긴이) | 지호 아마 신(神)은 하늘나라에 간 알버트 아인슈타인을 만났을텐데, 아인슈타인에게 뭐라고 했을까. 얼마전부터 이 홈페이지를 통해 교류를 하게 된 김희봉님의 번역서다. 과학서적 번역가로서는 아주 괜찮은 분이라고 생각해서 보증수표 받은 기분으로 읽기 시작했는데 믿음이 유효했다. 아인슈타인의 마당방정식(기존 용어로 얘기하면 場이론)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그리면서 아인슈타인의 일생과 사람됨을 같이 보여주는데, 위인전 중에서 재미있는 위인전처럼 재미있다. 마당방정식을 만들어가는 아인슈타인의 연구는 유클리드기하학(공간)에서 非유클리드..

바라바시, '링크'

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Linked: The New Science of Networks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지은이), 강병남, 김기훈 (옮긴이) | 동아시아 헝가리 출신의 과학자 A,L. 바라바시의 를 읽었다. 재미있다가 재미없다가 또 재미있다가 다시 재미없어졌다가 했는데, 과학저술로서 아주 탁월한 편은 아니지만 결론적으로는 . 책은 복잡한 네트워크들이 어떻게 형성되고, 그것들은 어떤 구조를 갖는지, 그 네트워크들이 갖는 취약점과 강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네트워크의 연구가 갖는 중요성이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개념들을 아주 쉽고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는데다 우리가 실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웹과 같은 친밀한 네트워크와 종래의 각종 수학퍼즐들을 소재로 풀이하고..

[스크랩] 파블로 네루다, '시'를 만나게 된 이야기

고등학교 때 우리 집에 시집이 한 권 있었다. 일월서각에서 나온 책이었는데 제목에 '제3세계'라는 말이 들어가 있었던 것 같다. 그 시집은 지금까지도 '왜 못 챙겨놨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 책 중의 하나다. 그 책에 나왔던 글들, 아주 신랄하면서도 처절한 것들이 많았는데 그런 글들을 모아놓은 책을 그 뒤에는 보지 못했다. 파블로 네루다니, 옥타비오 빠스니 하는 이름들을 알게 된 것도 그 책을 통해서였다. 중남미 뿐 아니라 아프리카와 아시아 시인들의 작품도 꽤 많이 들어있었는데 모두 내게는 문화충격으로 다가오기에 충분했다. 아프리카의 가난을 촌철살인의 문구로 찔러대는 글들이 어렴풋이 기억난다. 아시아라 하면 타고르밖에 몰랐던(그것도, '동방의 등불') 나는,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미국이나 유럽 아닌 곳에..

딸기네 책방 2002.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