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57

북아일랜드, 역사적 공동 자치정부 출범

가톨릭과 신교도 간 갈등 속에 유혈분쟁이 일어났던 북아일랜드의 평화 정착과정이 드디어 결실을 맺었다. 북아일랜드 신-구교 정치지도자들이 피로 얼룩진 분쟁에 종지부를 찍고 8일 공동 자치정부를 출범시킨 것. 북아일랜드 신돚구교도 세력은 이날 민주연합당의 이안 페이슬리 당수를 수석장관, 신페인당의 마틴 맥기니스 부당수를 차석장관으로 하는 공동 자치정부를 출범시켰다. 이로써 30여년에 걸친 양측간 갈등과 유혈분쟁은 공식 종료됐다. 지난 3월 자치의회 선거에서 제1당 자리를 차지한 민주연합당은 영국으로부터의 분리에 반대해온 신교 정당이고 신페인당은 1990년대까지 분리독립운동을 벌였던 구교 정당이다. 자치내각은 수석장관과 차석장관 외에 10명의 각료들로 구성된다. 각료직은 총선 결과에 따라 온건파 신교도 정당인..

프랑스 대선 후폭풍

니콜라 사르코지는 어디로 간 것일까. 프랑스에서 격렬한 시위와 방화 등 대선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대선에서 승리한지 사흘이 지나도록 사르코지 당선자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호화 외유를 즐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가 하면, 9일 파리로 복귀해서 좌우를 망라한 내각 명단을 발표하고 획기적인 개혁조치들을 담은 `깜짝 선언'을 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사르코지 당선자가 세대간, 지역간, 계층간 갈등을 어떻게 치유하고 약속한대로 `더 큰 파이'를 국민들에게 선사할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0일 개혁안 내용 뭘까 집권 국민행동연합(UMP)의 대통령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고 차기 엘리제궁 비서실장으로 유력시되는 클로드 게앙은 8일 사르코지 당선자가 휴양지에서 집권 100일 계획을 비롯한 ..

'주체'라는 종교

북한의 `주체(Juche)사상'이 추종자 규모에 있어서 세계 10대 종교에 해당된다고 미국의 종교관련 통계사이트인 `어드히런츠닷컴(adherents.com)'이 7일 집계, 발표했다. 이 사이트는 `신도 수에 따른 세계의 주요 종교'라는 통계자료에서 세계 최대 종교는 21억명이 믿고 있는 기독교이며, 2위는 13억명의 신자를 가진 이슬람, 3위는 아무런 종교를 갖고 있지 않는 무교(無敎)로 그 숫자가 11억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 뒤를 이어 힌두교, 유교 등 중국 전통종교, 불교, 원시 토착종교, 아프리카 전통종교, 힌두교와 이슬람에서 분리된 시크교, `주체'가 4~10위권을 이뤘다. `주체'는 정령숭배(1500만명.11위)나 유대교(1400만명.12위)보다도 신도가 많은 종교로 구분됐다. 서방에 많이..

프랑스, 이제부턴 총선 정국

대선이 끝나자마자 프랑스는 총선정국으로 돌입했다. 한달여 남은 총선에서 우파 여당이 승리를 거두면 명실상부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 당선자의 천하가 되고, 반대로 사회당이 세를 결집해 우위를 얻는다면 좌우동거 정부가 들어서게 된다. 총선은 `사르코지 개혁'의 강도와 속도를 좌우할 전망이다. 좌우 세력은 또한차례 힘겨루기를 준비하고 있다. 여유만만 우파 6일 치러진 대선 결선이 집권 국민행동연합(UMP) 후보 사르코지의 승리로 끝난 가운데, UMP와 사회당 등 각 정당들은 다음달 6일과 10일 치러지는 총선을 앞두고 다시 전열을 가다듬기 시작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대선이 끝나자마자 총선정국이 시작된 셈이다. 프랑스에서 입법권은 `세나'라 불리는 상원과 하원 격인 국회(아상블리 나쇼날레)..

프랑스 대선 결과 & 전망

프랑스 국민들은 복지보다 성장을, 유럽보다는 `강한 프랑스'를 택했다. 6일 치러진 프랑스 대선 결선에서 우파 니콜라 사르코지(52)후보가 좌파 세골렌 루야알(53) 후보를 누르고 승리를 거뒀다. 잠정 집계 결과 집권 국민행동연합(UMP)의 사르코지는 53.2%를 득표, 46.8%를 얻어낸 사회당의 루아얄을 앞섰다. 투표율은 지난달 22일의 1차 투표 때의 83.7%보다 더 올라간 84.7%에 이른 것으로 나타나, 이번 선거에 쏠린 프랑스인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이날 오후 8시 투표가 끝남과 동시에 사르코지의 승리를 알리는 출구조사 결과가 발표되자 파리 시내 콩코르드 광장 등에 모여 있던 사르코지 지지자들은 크게 환호하며 축제 분위기를 연출했다. 사르코지는 이날 밤 콩코르드 광장으로 나와 지지자들과..

미국민중사 -하워드 진을 따라 긴 강을 건너다

미국민중사 A People's History of United States 하워드 진 (지은이) | 유강은 (옮긴이) | 이후 | 2006-08-31 하워드 진의 이름은 함부로 막 부르거나 쓰고 싶지가 않다. 좀더 경외심을 가지고 얘기하고 싶기 때문이다. 현재의 불의 앞에 눈 감지 않지만 역사의 발전(억압받는 자들의 승리)를 낙관하고, 막 나가는 사회를 통렬히 비판하면서도 인간에 대한 애정을 잃지 않는 역사학자. 미국민중사는 잘 알려진 책이고, 하워드 진의 ‘대표작’이다. 그래서 두껍고, 거기다 2권으로 돼 있고, 비싼 이 책을 사서 읽었다. 미국 역사에 대한 관심보다는 하워드 진에 대한 애정 때문에 이 두꺼운 책들을 읽은 셈이다. 갖고 다니기도 무거워서 저녁마다 집 식탁에 앉아 줄 쳐가며 읽었다. 어떤..

딸기네 책방 2007.05.07

영국 여왕의 옛 '식민지' 방문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영국인의 미국 상륙 40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습니다. 여왕은 또 이번 방문에서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사건 희생자 유족들을 따로 만나 애도를 전했다고 BBC방송 등이 보도했습니다. 위에서부터 - 리치먼드에 도착한 여왕, 인디언 후손들과의 만남, 버지니아 주의회 연설 / AP 여왕은 3일 남편인 필립 공(公)과 함께 영국인이 미국에 첫발을 디뎠던 항구도시 제임스타운이 위치한 버지니아주에 도착해, 엿새 동안의 미국 동부 여행을 시작했습니다. 여왕 부부는 첫 방문지인 버지니아주 주도 리치먼드의 주 의사당에서 기념 연설을 하며 "다인종국가로서 영국과 미국 사회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를 겪어왔다"고 평가했습니다. 여왕은 이어 버지니아공대 사건 희생자들과 유족들에게..

에덴의 용- 세이건 박사님의 인도를 따라

사이언스 클래식 6 에덴의 용 The Dragons of Eden: Speculations on the Evolution of Human Intelligence (1977, 2006) 칼 세이건(지은이) | 임지원(옮긴이) | 사이언스북스 | 2006-08-11 칼 세이건의 책이니, 좋다 나쁘다 말할 필요는 없으리라. 이 책은 세이건 박사님이 1977년에 내놓은 것인데, ‘인간 지성의 기원을 찾아서’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벌써 30년 전 책이건만 지금 읽어도 감동적이다. 부제가 그대로 내용을 요약하고 있는데 더 자세한 줄거리 설명을 붙일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우리의 뇌에 ‘마음의 자리’는 어디인가. 인간의 마음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인간의 마음은 진짜로 뇌의 한 구석에 자리를 잡고 있는 것일까. 인간..

글라디에이터

고대 로마의 검투사들은 영화에 묘사된 난타전과는 달리 엄격한 룰에 따라 1대1 승부를 펼쳤으며, 부상을 입을 경우 높은 수준의 치료를 받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영국 BBC방송은 에게해에 면한 터키 동부 고대 유적도시 에페스에서 발견된 한 무덤을 학자들이 조사, 매장돼 있던 유골을 분석한 결과 로마제국 검투사들의 무덤으로 확인됐다고 2일 보도했다. 고대 로마제국 유적 중에 검투사들만의 무덤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칼 그로스슈미트 교수가 이끄는 오스트리아 비엔나 의과대학 병리학자들은 5년전 고고학자들이 발굴한 에페스 검투사 무덤에서 나온 유골 67구를 정밀 분석했다. 이들 대부분은 20∼30세 나이에 죽었고, 대개 한 차례의 강한 공격에 목숨을 잃은 것으로 드러났다. 집단적인 무차별 공격이 아닌 1대1 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