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65

여름의 기억.

그렇게도 더웠던 여름.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가장 더웠다는 2018년의 여름.어느새 그 여름의 기억조차 가물가물해지면서, 가을. 더운 여름날의 사진 한 장. 7월 4일 아침 출근길 풍경.기온은 높았지만 너무 맑고 화창해서 오히려 기묘했던 하늘. 또 한 컷, '고흐의 그림 같다'며 좋아했던 여름 하늘. 여름 내내 열일 했던 북태평양고기압. 여름이 무르익기 전, 서울역 앞으로 걸어가면서.확인해보니 6월 30일. 눈에 띄진 않지만 잘 들여다보면 이쁜 꽃. 가을 초입, 여전히 맑았던 하늘.어느 저녁 회사 앞을 지나가는데 구름이 높게 깔렸다.하늘이 두쪽이라도 난 듯 파랗고 흰 빛이 갈라져 있던. 9월 1일의 오후, 학원 수업을 마친 딸과 함께 동작대교를 걸어서 건넜다. 강 남쪽 편 둔치의 풀밭이 이뻤다. 저 ..

서벌, 다리가 긴 멋진 고양이

퓨마가 탈출했다가 사살되고 동물원 폐지론에 힘이 실리고 있는 와중에... 퓨마에 대해 찾다가 발견한 멋진 고양이. 빅캣(사자 호랑이 퓨마 치타 재규어 등등) 정도는 아니고 중급 정도 되는 고양이과 동물이다. 이름은 서벌(Serval). 위키피디아에 나온 사진들을 보니 이 녀석 아주 매력적이다. 애기 땐 영락없는 고양이. 하지만 자라면 고양이랑 비슷한데 몸통은 작은 치타같다. 팔다리(?)가 아주 길다. 요렇게 흰 놈도 있다는데... 야생상태에서 흰 서벌이 발견된 적은 없다고. 알비노인 듯. 서벌의 뒷모습. 보호색이다! 귀 뒷모습 아주 특이함. 고향은 아프리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많이 산다. 북아프리카나 사헬에는 거의 없다는 것으로 보아 건조한 곳에서 살지는 않는데, 열대우림에도 안 산다고 하니.....

캐런 메싱 '보이지 않는 고통'

우리가 구성했던 최초의 협력체는 인간공학자, 사회학자, 법학자, 그리고 여섯 곳의 노동조합 대표로 구성됐다. 우리는 그 협력체를 '보이지 않는 상처'라고 불렀다. 여성이 일터에서 겪게 되는 직업보건상의 위험성이 남성이 일터에서 겪는 것에 비해 덜 중요하게 여겨지거나, 더 모호하게 파악된다는 사실과 연관지어 붙인 별칭이었다. 나는 사업주와 과학자, 행정가들이 노동자를 존중하지 않고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는 상태로 여러 노동조건과 노동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지켜봤다. 나는 과학 기득권층의 제약에서 벗어나 노동자의 고통에 대한 회의적 태도가 노동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직업보건 연구의 학문 영역을 어떤 식으로 형성하는지 지켜보았다.우리가 이렇게 양질의 협력관계를 발전시켜나갈 수 있었던 토..

딸기네 책방 2018.09.16

[구정은의 세상] 난민이 싫으면 석유를 끊어라

예멘인들의 엑소더스가 시작된 건 2015년 초의 일이다. 사우디아라비아가 공습을 시작한 뒤 인구 2800만명 중 2200만명이 외부 도움에 끼니를 의존해야만 하는 상황이 됐고, 19만명이 나라를 떠나 밖으로 나갔다. 사실 그전까지 예멘은 난민을 내보내는 나라가 아니라 밖에서 온 난민을 끌어안고 사는 나라였다. 소말리아에서 도망쳐 예멘으로 간 사람이 28만명이니, 지금도 예멘에서 나온 난민보다 예멘이 받아들인 난민 숫자가 훨씬 더 많은 셈이다. ‘예멘 난민 사태’는 사우디가 일으킨 일이다. 2011년 ‘예멘판 아랍의 봄’으로 장기집권 독재자를 몰아낸 뒤 집권한 압두라부 하디라는 인물이 당초 정치세력들 간 권력을 나눠갖기로 한 약속을 어겼다가 자기 정당에서까지 축출되고 결국 쫓겨날 판이 됐는데, 사우디가 하..

[기협 칼럼]가난은 날씨가 되어 온다

태풍이 지나가고 비가 오니 무더위가 그래도 좀 수그러들었다. ‘기상 관측 이래 최고기온’을 경신하던 8월 초의 그날, 스포츠 중계하듯 기상청의 공식 측정치가 나오기를 기다리며 ‘대기’하고 있었던 여름. 서울역 근처 쪽방촌을 취재하고 온 기자의 기사엔 찜통 더위 속에 방안에 누워 선풍기 한 대 틀어 놓고 하루를 보내는 어떤 이의 코멘트가 들어 있었다. “그래야 하루가 가니까 억지로 잠을 청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거죠.” 잠을 자야만 시간이 가니까 잔다는 그 말이 오래도록 마음에 남는다. 그 더운날 오체투지를 하던 쌍용자동차 사람들, 그 옆에서 태극기를 들고 ‘박정희 대통령 말씀’을 외치던 사람들, 이 여름 한국의 풍경이었다. 태풍이 온다고 며칠 전부터 예보가 흘러나오고, 더위를 식혀줄까 가뭄을 해갈해줄까 은..

사스키아 사센, '세계경제와 도시'

세계경제와 도시 Cities in a World Economy사스키아 사센, 남기범 등 4명 옮김. 푸른길 내용이 좋은데 번역이 정말 나빠서 읽으면서 화가 많이 났던 책. 여러 사람이 번역했는데, 특정 챕터들이 특히 엉망이었다. 내용은 재미있다. 눈길을 끄는 건, 책에는 나오지 않지만 사스키아 사센이라는 사람. 오래 전부터 읽고 싶었고 두 권을 찾아 읽었다. 는 비교적 최근 것이고, '사스키아 사센의 세계경제와 도시'라며 저자 이름을 타이틀에까지 집어넣어 번역돼 나온 이 책은 2012년 것이다. 사센에게 명성을 안겨 준 도시 책(The Global City)은 못 읽고 이 책을 골랐는데 명성이 괜한 게 아니지 싶다. 재미난 것은 사센이라는 사람.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1947년 태어났는데, 부모가 이듬해 ..

딸기네 책방 2018.08.28

페리 앤더슨, '대전환의 세기, 유럽의 길을 묻다'

페리 앤더슨의 새 책이 나왔다고 해서 얼른 집어왔는데 2009년에 출간된 것이고, 저자가 1990년대 후반부터 쓴 글들을 모은 것이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 쓴 글 몇 편도 간간이 보완하듯 실려 있기는 하지만 국내 출간된 2018년에서 길게는 20년 시차가 있는 셈이다. 원제는 The New Old World인데 (안효상 옮김. 길)라는 알맹이 없는 타이틀을 멋대로 달아놓으니 한국어판 제목이 영 입에 붙지를 않고 매번 기억에서 지워진다. 대학 시절 이후로 페리 앤더슨의 책을 본 적이...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고. 타리크 알리와 함께 유럽 68세대의 대표 격인 지식인이니, 읽을 가치는 충분히 있다. 대학 시절 받았던 느낌은 담담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 책은 아주 신랄해서 내 기억..

딸기네 책방 2018.08.22

존 리더, 아프리카 대륙의 일대기

근래 읽은 책들 중 최고이고, 아프리카에 대한 책들 중에서도 손꼽을만한 책이다. 아프리카에 대한 책들 자체가 손꼽을만한 숫자이긴 하지만. 존 리더의 (남경태 옮김. 휴머니스트). 읽은 지는 한 달 정도 됐는데 스크랩을 못 했다. 워낙 방대한 양이기에 그랬던 걸로 해두자. 실은 방금 전 크롬이 말썽을 부리는 바람에 2시간 동안 정리한 것도 날려먹었어 ㅠㅠ 앞부분 절반은 지구 대륙의 형성에서부터 시작해 인류의 탄생과 진화, 문명의 탄생까지 기나긴 역사를 다룬다. 인류가 아프리카에서부터 시작해 거기서 오랜 세월 살았으니, 이 대륙의 역사의 상당부분이 인류의 역사인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유럽인들이 오고 그들에 조응한 노예왕국들이 생겨나고 식민지 쟁탈전이 벌어지고 독립 이후 우리가 알고 있는 아프리카 ..

딸기네 책방 2018.08.21

티머시 미첼, '탄소민주주의'

탄소민주주의 CARBON DEMOCRACY티머시 미첼.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옮김. 생각비행 재미있었다. 며칠 만에 금방 읽었다. 지금 세계가 누리는 민주주의 체제가 석유라는 에너지원 덕에 굴러가고 있음을 지적한 것, 석탄과 석유 생산과정에서 노동자의 힘이 어떻게 조직화됐고 또한 어떻게 해체됐나... 다만 이러저러한 일이 일어났는데 그게 석유 지정학에서는 어떤 측면이 있었다, 이런 정도로 얘기해도 되는 걸 모두 '석유 때문이야'로 규정해버리니 앞부분 읽으면서 살짝 억지스럽다는 느낌도 들었다. 석유나 중동에 대해 처음 읽는 이들에게는 유익하고 흥미로울 것 같다. 석유정치와 석유경제를 초창기부터 큰 틀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점, 패권국가들이나 독재자들이나 거대기업들의 다툼 속에 가려졌던 중동 노동자들의 투쟁을 ..

딸기네 책방 2018.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