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얘기 저런 얘기 1147

전보여 안녕~

정보통신의 발달에 밀려, 미국에서 155년만에 전신(電信)이 사라지게 됐다. 미국 최초이자 최대 전신회사였던 웨스턴유니온사는 “지난달 27일을 끝으로 전신·전보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했다”고 1일 밝혔다. 이 회사는 인터넷 사이트에 “이제부터는 전신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라는 간단한 안내문을 띄우는 것으로 고객들에게 종말을 고했다. 빅터 차옛 대변인은 “직원들에게는 이미 지난달 중순 서비스 중단 계획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CNN, 블룸버그 등 미국 언론들은 “한 시대의 종언”이라며 전신 시대의 종말을 알렸다. 전신이 시작된 것은 1844년. ‘모스 부호’로 잘 알려진 새뮤얼 모스가 의회의 지원을 받아 전신시스템을 발명함으로써, 조랑말로 소식을 전하던 시대가 끝나고 미국에 장거리 통신 시대가 열렸다...

세계의 개들

2006년은 개의 해다. 개는 문명의 발상지인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1만4000년 전에 들개에서 길들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대형 포유동물 가운데 가장 먼저 길들여진 개는 기원전 1만1천년 무렵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됐고, 기원전 1만년부터는 유럽에도 모습을 나타났다. 인간의 가장 오랜 동반자인 개(이건 정말 포유류중심주의 발상이로군)는 인간이 있는 곳이라면, 지구상 어디에든 함께 존재한다. 멕시코의 산악지대와 그린란드의 동토, 티벳의 고지와 유럽의 초원 모든 곳에 개가 있었다. 고대 이집트의 신화에도, 오딧세우스의 귀환에도 개가 얼굴을 내비친다. 노아의 방주에서 `스너피'까지, 신화속의 개 아프간하운드 황우석교수가 만든 복제 개 '스너피'로 인해 널리 알려진 아프간하운드는 역사가 오래돼 `고대의 개'로 ..

귀여운 커플

설치류의 천적인 뱀과 햄스터가 동물원의 한 방에서 석달 가까이 사이좋게 `동거 생활'을 하고 있다. AP통신은 19일 일본 언론들을 인용, 천적관계를 넘어 우정을 쌓고 있는 일본 도쿄(東京) 시내 동물원의 뱀과 햄스터의 이색스토리를 소개했다. 우에노(上野)에 있는 작은 동물원 `무쓰고로 동물왕국'에 살고 있는 두살배기 수컷 구렁이 아오짱이 햄스터와 한 방을 쓰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10월. 원래 이 햄스터는 아오짱의 먹이가 될 운명이었다. 아오짱이 9월에 고양이와 격투를 벌여 다친 뒤로 식욕을 잃자 사육사들이 `특별식'으로 살아있는 햄스터를 마련해줬던 것. 그러나 이상하게도 아오짱은 햄스터를 잡아먹기는커녕, 마음에 들어 하면서 아무 위협을 하지 않았다. 햄스터도 구렁이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둘은 아오짱의..

에드거 앨런 포

미국의 시인이자 작가였던 에드거 앨런 포(1809∼1849)의 무덤에 30년째 꽃과 꼬냑을 놓고 가는 참배객이 있어 화제다. AP통신은 볼티모어에 있는 포 박물관 옆 포의 무덤에 19일(현지시간) 해마다 찾아오는 미지의 참배객이 또다시 찾아왔다고 보도했다. 이 참배객이 처음 모습을 보인 것은 1976년1월19일. 그후 포의 생일인 1월19일이 되면 참배객은 어김없이 나타나 장미꽃 한 다발과 꼬냑 한 병을 놓고 사라진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미스테리 애호가들로 구성된 포의 팬클럽 회원들은 그를 붙잡아 정체를 밝히겠다며 소동을 벌였다가 박물관 측에 만류를 당하기도 했다. 박물관 관리인인 제프 제롬은 "포의 팬이었던 분이 계속 참배를 오다가, 최근에는 아들이 대를 이어 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어째서 정..

나도 '왕의 남자'를 봤다!

너무 재밌었다. 울기도 울었고... 간간이 웃기고, 많이 슬프고. 알고보니 연극이 원작이라고... 영화 자체가 너무나 '연극적'이었는데, 원작이 연극이라니 수긍이 간다. 영화 굉장히 잘 만들었는데, 감독(이름을 모르겠네)이 대단히 대단히 재능있는, 영감어린 예술가라는 생각은 안 든다. 스토리가 워낙 탄탄하다. 극본의 힘이랄지, '원작의 힘'이랄지. 영화적으로 잘 만들기도 했지만 줄거리가 아주 재미있다. 인물과 인물 간의 관계, 묘한 긴장관계가 시종일관 흐트러지지 않은 것이 마음에 들었다. 특히 연산과 녹수의 관계, 연산과 공길의 관계. 신분상의 권력관계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다면적이고 기묘한, 그러나 충분히 있을 수 있는 관계를 그려낸 게 좋았다. 폭군, 광대, 동성애. 시대는 조선인데 테마는 한국적이..

타지마할 살리기

인도가 자랑하는 세계적인 문화유산 타지마할 묘궁. 그러나 그 묘궁을 만든 무굴제국 황제 샤 자한이 남긴 또다른 유적, 자마 마스지드(대사원)는 재정난과 관리 실패로 크게 훼손될 위기에 처했다. 인도 정부가 무대책으로 남겨둔 역사적인 유적을 살리기 위해 인도의 무슬림들이 이슬람사회에 손을 내밀었고, `이슬람 종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도움으로 간신히 되살아날 수 있게 됐다. 영국 BBC방송은 17일(현지시간) 사우디의 압둘라 국왕이 자마 마스지드의 수리 비용을 낼 것을 정부에 지시했다고 사우디 외무부 발표를 인용해 보도했다. 앞서 인도 대사원의 관리를 맡고 있는 아흐메드 부카리는 이 모스크가 파손돼 수리가 필요하지만 비용이 모자라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며 이슬람 사회에 도움의 손길을 호소했었다. 인디아타임..

진실스러움

미국의 한 언어연구단체가 지난해 미국을 휩쓴 `2005년의 단어'로 `진실스러움(truthiness)'라는 생소한 단어를 선정했다고 CNN 방송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방언협회가 선정한 이 단어는 사전에 나와 있는 영어단어가 아니며, 지난해 한 방송사의 코미디프로에 등장하면서 `인기'를 얻게 된 이 말은 `설혹 진실이 아닐지라도 사람들이 진실이라고 믿고 싶어하는 것, 혹은 그렇게 믿고 싶어 하는 상태'를 가리킨다. 협회 측은 허리케인 카트리나와 관련된 `카트리나 게이트'라는 신조어가 막판까지 이 단어와 경쟁을 벌였으나, 워싱턴 정가를 휩쓴 숱한 진실성 논쟁 속에 미국인들을 불신의 늪에 빠져들게 한 지난해 정치 상황과 맞물려 `트루디니스'에 높은 점수를 줬다고 설명했다.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의 마..

전설의 라이프치히.(괜히 붙인 제목임)

라이프치히를 찾아간 것은, 2006 독일 월드컵 운명의 조 추첨을 앞둔 1월7일. 그때부터 10일까지 이 유서깊은, 그러나 가난해 보이는 도시에 머물렀다. 라이프치히는 베를린을 제외한 옛 동독 지역 도시들 중 유일하게 내년 월드컵을 개최하는 도시다. 라이프치히 시민들은 ‘친구가 되는 시간(A time to make friends)’이라는 내년 월드컵 모토처럼, 조 추첨식을 보기 위해 멀리서 온 손님들을 반갑게 맞았다. 8일 오전 10시, 시 외곽에 위치한 젠트랄 슈타디온(중앙경기장)에서 시 당국이 세계 각국 언론인 200여명을 초청해 월드컵을 맞는 기쁨을 설명하는 미디어투어 행사가 열렸다. 젠트랄 슈타디온은 옛 동독에서 가장 큰 축구장이 있던 자리다. 시 정부는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아 과거 1만5000석..

일본영화라 불러야 할 '청연'

장진영을 워낙 안 좋아하는지라, 주인공이 장진영이라는 걸 알게 된 순간(영화관에 좀 늦게 도착해서 프롤로그를 놓쳤다) 실망하고야 말았다. 하지만 뒤로 갈수록 장진영도 괜찮아지고... (어제 그 연산군은 정진영인데 얘네들 왜이러지 헷갈리게) 역시 재밌었지만 '살인의 추억'이나 '말죽거리 잔혹사'처럼 '이 영화 느무느무 잘만들었다'는 느낌은 안 들었다. 외려 에피소드들마다 상투적인 느낌도 나고. 화면은 볼만했다. 그런데 이건 이름만 한국영화지, 사실은 일본영화다. 복엽기에 대한 로망 자체가 일본 것이고, 1920년대에 '전국 비행기 조종대회'를 연 나라는 조선 아니라 일본이었고, 복엽기 날아다니는 화면은 꼭 간장선생이나 미야자키 하야오(미야자키 아버지가 비행기 공장을 경영했다고 했다) 보는 것 같고... 당..

새로운 7대 불가사의

"역사·문화 유산은 우리의 미래다." 탐험가로도 유명한 스위스의 영화제작자 베른하르트 베버가 `새로운 7대 불가사의'를 만들자고 제안한 것은 지난 2001년이었다. 널리 알려진 대로, 고대인들은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알렉산드리아 등대 등 거대한 유적 7개를 `7대 불가사의'로 꼽고 경외감을 드러냈었다. 베버의 제안은 소중한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21세기 세계인의 지적, 문화적 감수성에 맞는 `현대판 세계 불가사의'를 새로 뽑자는 것. 베버는 사재를 털어 `새로운 7대 불가사의(N7W) 재단'을 창립했다. `뜬 구름 잡는 소리'로 여겨졌던 베버의 제안에 동의하는 이들의 참여가 잇따르면서, N7W는 세계적인 문화 이벤트로 확대됐다. 스위스 취리히의 하이디-베버 박물관에 본부를 둔 N7W 재단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