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 4032

[구정은의 세상] 한상균만 잊는다면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문재인 정부의 특별사면 대상에서 제외됐다. 민주노총이 새 지도부를 뽑은 그날 정부는 한상균을 그대로 가둬두는 길을 택했다. 새 출발을 하는 민주노총과 문재인 정부의 관계는 꼬일 대로 꼬였다. 민주노총이 그동안 세상의 흐름을 좇기를 거부하는 이익집단처럼 보일 때가 없지는 않았다. 역대 어떤 정부보다도 ‘노동친화적인’ 정부가 들어섰는데도 정규직 대기업 노동자들의 이익을 고집하는 것처럼 행동하곤 했다. 모처럼 시동을 걸려고 하는 노사정위원회 복귀를 거부했고, 대통령이 초청해서 저녁을 먹자는데도 “이벤트성 만찬에 들러리 서기 싫다”며 거절했다. 그걸 놓고 말이 많았다. 청와대에선 섭섭했을 법도 하다. 대통령은 청와대에 두어 차례 개별 노조들과 노동자들을 불러서 직접 이야기를 나눴다...

한국의 헌법과 필리핀의 헌법

2018년 1월 1일자 경향신문 1면에는 한국과 독일의 헌법 1조 1항이 담겼고. 2면에는 세계 여러 나라의 헌법 1조를 적었다. ' 유럽국가들이 대부분이고, 무엇보다 현대 헌법의 정수라고도 할 수 있는 르완다 헌법이 빠진 것이 좀 아쉽지만. ^^ 여러 나라의 역사가 반영된 것들이라 재미있었다. 그 중에 눈에 띈 것- 필리핀의 헌법 1조. 한국 헌법과 거의 같다. 사실은 똑같다. 우리도 '인민(people)'이라고 했어야 하는데 북한이 쓰는 말이라고 해서 '국민'이 돼버린 것이니. 필리핀은 군사독재정권과의 싸움에서 한국보다 시기적으로 조금 앞섰고, 필리핀 피플파워 혁명은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필리핀 헌법은 1987년에 발효됐다. 군사독재의 경험, 그에 맞선 인민들의 싸움, 이런 것이 헌법에 그대로 반..

세계의 아름다운 학교들

교육부가 최근 1년 새 새로 지어진 학교들 중에서 시설이 아주 좋은 곳들을 뽑아 27일 발표했습니다. "교육과정 적합성, 공간 친환경 계획, 안정성, 공공성 등을 두루 갖춘 2017년 대한민국 우수시설학교"라고 합니다. [기타뉴스]학교가 이렇게 좋아? 안마당에 열린도서관, 홈베이스 갖춘 학교들 서울 풍문고등학교의 중정. '국민학교'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저로서는 ^^;; 놀라지 않을 수 없네요. 요즘 학교들... 그럼 시야를 넓혀서, 세계에는 어떤 멋진 학교들이 있는지 구경해볼까요. 영국 BBC방송과 비즈니스인사이더 등이 뽑은 '세계의 아름다운 학교들'에 소개된 곳들입니다. (Credit: Ronnie McMillan / Alamy Stock Photo) 영국 버킹엄셔에 1923년 세워진. Stowe s..

비트코인, 블록체인은 무엇인가

이 세상 천지엔 알아야 할 게 왜 이렇게 많으며, 새로운 것들은 왜 이렇게 많이 나오는 것이며, 왜 이렇게 점점 어려워져가는 것이며, 왜 나의 이해력은 갈수록 떨어져가는 것이며.... ...라고 한들, 이미 천지를 시끄럽게 한 비트코인이니 블록체인이니 하는 걸 아예 눈 가리고 못 본 척 할수는 없을 것같다. 그래서 서핑질. 영문 위키의 설명 안 그래도 까막눈인데 영어가 왠 말이냐. 거기 나온 그림 까만 것은 처음 뼈다귀, 그리고 거기 덧붙여지는 고리들. 이대로라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하지만 레고;;는 쫌 쉽고 눈에 들어온다. 알고 보면 레고보다 쉽다! ‘블록체인’ (과기부 웹진) 모두가 거래내역을 나눠갖고 있기 때문에(이런 걸 분산원장이라고 한답니다) 모두를 해킹하기 전엔 깰 수 없는 초강력 시스템,..

최승호 MBC 사장 “1년 안에 신뢰 회복 자신있다”

“희생된 아이들 수백명의 사진을 보면서 정말 참기 어려울 정도로 미안한 마음이 많이 들었다. 과거 MBC가 지은 죄를 씻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최승호 신임 MBC 사장은 임원진을 구성한 뒤 첫 공식 일정으로 13일 안산을 찾아 세월호 희생자 유족들 앞에서 분향했다. 해고된 후 독립언론 ‘뉴스타파’에서 일하면서 세월호 유족들을 여러번 만났지만, MBC 대표로 방문한 만큼 “사죄하는 자리가 될 수밖에 없었다”면서 “유족들한테 깊이 사죄했고, 진상규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씀드리고 왔다”고 했다. 13일 오후 서울 상암동 MBC 본사에서 경향신문과 만난 최 사장은 “내부 조직정비와 적폐 청산, 뉴스와 시사프로그램을 되살리는 일을 비롯해 과제들이 쌓여 있지만 1년 안에 잃었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구정은의 세상]작년 이맘때

생각해 보면 1년도 지나지 않았다. 어느 집 딸의 대학 불법입학으로부터 시작해 정권에 줄 댄 기업들, 그들에게 돈 받은 권력층, 청와대의 태반주사, 모두가 자기 것이 아니라 주장하는 태블릿PC, ‘사라진 7시간’의 실체가 어렴풋하게나마 드러나기까지 얼마나 많은 이들이 거리로 나섰던가. 모두가 공유했던 절박함과 동지애. 차마 탄핵이라는 말을 입에 담지 못하던 야당과 헌법재판소를 움직이고 결국 정권을 바꿀 때까지, 점점 더 많아지던 사람들. 페이스북을 쓰다 보면 잊고 있던 기억과 매일 마주치게 된다. ‘추억 공유하기’라는 이름으로 몇 해 전 그날 올린 글들을 다시 보여주는 이 소셜미디어의 기능은 때로는 재미있고 때로는 불편하다. 요즘엔 기분이 좀 이상하다. 지난해 12월의 사진이라며 띄워주는 거리 풍경, 스..

[기타뉴스]소젖으로 난방을 한다고?

발단은 이 기사였습니다. 네덜란드의 도시재생에 대해 둘러보고 돌아온 김보미 기자가 이런 기사를 썼습니다. ▶[김보미의 도시&이슈]‘두 바퀴 천국’ 네덜란드의 실험…자전거 전용도로에서 재생에너지 만든다 기사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네덜란드의 자전거 도로에 관한 겁니다. 네덜란드는 튤립의 나라, 풍차의 나라이면서 친환경 자전거 교통이 발달한 나라이고, 또한 낙농대국이기도 하지요. 기사에이런 구절이 나옵니다. “소비자들도 ‘착한 에너지’를 원하고 있다. 전력을 선택해서 구입할 수 있는 네덜란드에서 풍력·태양광 소비는 지난해 전년 대비 20%가 늘었다. 신차 중 전기차 비중도 2015년 기준 9.74%로 노르웨이에 이어 세계 2위다. 이 추세에 맞추기 위해 낙농업이 발달한 네덜란드는 자전거와 함께 젖소도 재생에..

[구정은의 세상] 동상이 문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남쪽의 케이프타운대학교(UCT)에서 재작년 세실 로즈의 동상이 철거됐습니다. 학생들이 오랜 세월 요구해온 겁니다. Rhodes statue in Cape Town university removed -BBC 세실 로즈(1853~1902년). 영국 출신의 식민주의자이지요. 금 파고 다이아 파내어 자기 이름을 딴 제국을 만든. (여담이지만 이태 전 밀렵꾼들에게 죽음을 당한 사자 세실도 이 작자의 이름을 딴 겁니다. 이 작자의 이름을 따서 출발한 로디지아는 지금의 짐바브웨라는 나라이고요.) 세실 존 로즈 동상을 철거하라고 요구하는 케이프타운대학교 학생들. 사우스아프리카투데이 그래서 이 동상을 철거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았고, 학생들의 시위가 거셌습니다. 결국 UCT의 동상은 사라졌지만, 영국 옥스..

누베 비아헤라, 어떤 개의 죽음

불쌍한 것.... 누베 비아헤라, ‘떠다니는 구름’이라는 뜻이랍니다. 개의 이름입니다. 어쩐 작자가 주인이었는지... 콜롬비아의 부카라망가에 있는 팔로네그로 공항 터미널을 떠돌고 있었답니다. 아마도 주인이 공항에 버리고 간 모양입니다. 동일본 대지진 이듬해였나, 일본 TV에서 당시 후쿠시마에 버려졌다가 구출된 개에 대한 다큐를 본 적 있습니다. 지진이 뭔지도 모르는 개가, 식구들 다 떠나버리고 그 땅에 홀로 남겨져서 굶주린 채 헤매다가 어찌나 상처를 받았는지... 동물보호단체에서 개를 구해서 보살펴주는데, 시간이 꽤 지났음에도 겁에 질려 구석에 웅크리고는 눈만 그렁그렁한 채 사람들을 꺼리더라고요. 그 눈망울 보면서 울었어요. (이번 포항 지진 뒤에도 애완견들은 대피소에 들어갈 수 없어 고민이라던데...)..

[이 주의 프리뷰]'외유'는 끝났다...MBC '운명의 일주일'

지난 9일 태국 방콕에서 ‘한·태국 국제방송 세미나’가 열렸습니다. MBC 최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가 주관한 행사입니다. 세미나를 해도, 왜 하필이면 군부 쿠데타 이후 언론탄압 국가로 세계의 비판을 받는 태국에서 했는지. 이 세미나에 참석한다며 방문진의 야권 이사 3명이 태국에 갔습니다. 그래서 지난 8일과 10일 이사회가 모두 무산됐습니다. 이들과 고영주 이사가 빠져도 이사회 9명 중 여권 이사 5명이 모여 김장겸 MBC 사장 해임안을 의결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단독 처리’ 모양새는 좋지 않아 안건 처리를 미뤘습니다. ‘외유’는 끝났습니다. 방문진은 13일 오후 2시 임시이사회를 열고 김 사장 해임안을 의결합니다. 이번주에는 김 사장 해임과 뒤이은 절차들이 뜨거운 이슈로 굴러갈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