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265

[스크랩] 검은 피부, 하얀 가면

검은 피부, 하얀 가면 Peau noire, masques blancs 프란츠 파농 (지은이) | 이석호 (옮긴이) | 인간사랑 | 1998-03-05 진정 필요한 것은 프로이트가 말하는 꿈이라는 것을 원래의 '고유한 시간대'로 원위치시켜놓는 일이다. 고유한 시간대란 8만여명의 원주민이 인구 50명당 한 명 꼴로 살육당하던 그 시기를 의미한다. 그 꿈의 고유한 공간성을 회복하는 것도 중요하다. 고유한 공간성이란 400만 주민들이 살던 섬으로서의 공간성을 의미한다 (130쪽) 백인 세계 내의 유색인들은 자신의 신체 발달 과정에서도 장애를 겪는다. 몸의 의식이 유일한 부정의 기제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또한 제3자의 의식이기도 하다. (141쪽) 나는 세계를 합리적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그 세계는 나를 끊임없..

딸기네 책방 2004.12.01

프란츠 파농을 읽다가.

프란츠 파농의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을 읽다가. 문득 마주친 문장에서, 머리 속에 잠시 어떤 생각들이 뒤섞여버렸다. 어떤 사람들은 내가 마음에 들 때 "너의 피부색에도 불구하고"라고 말한다. 내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도 "네 피부색" 때문은 아니라고 말한다. 그 어느 쪽이든 나는 이 끔찍한 순환론을 벗어날 수가 없다. 이것이 원래의 문장이다. 파농은 흑인이었고, 저것은 그가 맞부딪쳐야 했던 현실이었다. 나는 여성이기 때문에 이런 현실에 맞부딪쳐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내가 마음에 들 때 "네가 여자임에도 불구하고"라고 말한다. 내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도 "네가 여자이기" 때문은 아니라고 말한다. 그 어느 쪽이든 나는 이 끔찍한 순환론을 벗어날 수가 없다. 이건 어떤가. 다시 파농의 글. 항상 흑인 선..

사회적 고통

사회적 고통 아서 클라인만 外 / 그린비 책 이렇게 만들면 증말 싫단 말이다... 의미있고 재미있을 수 있는 주제를 이렇게 재미없게... 이건 원저자들 탓이고. 번역도 참으로 엉터리. 도대체 알아먹을 수가 없다. '지지한다'-> 이 동사는 사람이 주어가 돼야 한다. 사물 혹은 주의주장에다가 이런 동사를 붙이면 열받지... '전유한다'-> 대체 이런 어려운 말이 뭣땜에 그렇게 자주 나오는거지? 특히 사회과학이란 장르에서 이 말 참 많이 나오는데, 역시나 열받는다. 강제한다-> 강제로 ~하게 한다, 라면 몰라도, '강제한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은 못봤다. 근데 번역책엔 이 말이 되게 많다. '무엇이 번역가들이 강제한다는 표현을 전유하게끔 강제하는 것일까'

딸기네 책방 2004.11.29

꼬마 푸세의 가출

꼬마 푸세의 가출 Le Coq de Bruyere 미셸 투르니에 (지은이) | 이규현 (옮긴이) | 현대문학 | 2002-11-27 투르니에의 에세이를 꽤나 읽었는데, 정작 소설은 보지를 못했다. 오늘날 투르니에 할아버지가 귀여운 잘난척쟁이가 될 수 있게 해준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이라든가 '마왕' 같은 책들을 좀 읽어야겠거니 생각만 했었다. 소설 읽는게 부담스럽다고 했더니 누군가가 이 단편집부터 읽어보란다. 귀여운 제목이다, '꼬마 푸세의 가출'이라니. 곱슬머리 프랑스 꼬맹이가 가출하는 모습, 그러니까 '꼬마 니콜라' 같은 모습이 제목에서부터 연상이 된다. 그래서 나는 머리속에 점찍어둔 이미지대로, 재치와 촌철살인 번득이는 가벼운 동화성 우화집을 생각하면서 책을 들었다. 요런, 날개 없는 가벼운 빨..

딸기네 책방 2004.11.29

또다시 배용준 때문에 난리

또다시 배용준 때문에 난리다, 일본은. 하긴, 지난 3월 일본에 온 이래, 지금껏 텔레비전만 틀면 한국드라마, 음식코너에선 한국요리 소개, 난리도 그런 난리가 없었으니, 새삼 '난리다'라고 하기도 어색하지만. 그런데 어제 오늘 방송 분위기는 전과는 조금 다르다. 그도 그럴것이, 그넘의 '욘사마'가 뭔지... 10명이나 다쳤다고 하니 언론들이 떠들어댈만도 하다. 이제부턴 '한국 헐뜯기'로 돌아가는 거냐고? 그렇지는 않다. 일본이란 나라, 우리나라와는 역사적 지리적으로 뗄레야 뗄 수 없고, 서로간에 구원(舊怨)도 많다면 많다. 하지만 그렇게 단순한 것도 아니고, 욘사마 하나로 모든 관계를 설명할 수도 없는 일이니까. 아무튼 어제오늘 여기 방송 분위기를 보자면- 후지TV에선 한국의 방송보도를 잠깐 보여줬다. ..

즐거운 도쿄생활, 벌써 돌아갈 때가 다가오네요

서울에 돌아갈 날이 두달여밖에 안 남았다는게 그렇게 아쉬울 수가 없다. 일본어도 간단한 수준의 회화는 할 수 있게 됐고, 친구도 생겼다. 코바야시 다카코, 즉 소라짱네 엄마랑 친해져서, 며칠전엔 이현이 데리고 그 집에 놀러갔었고 오늘은 소라짱네가 우리집에 놀러왔다. 석달만 더 있으면 우리집에 아줌마들이 바글거리게 할 수도 있겠는데 말이다. 다카코씨하고는 공통점이 많다. 우선 나이가 똑같고, 얼라들 성격(하는 짓)이 비슷하고, 미술을 하는 모친을 두었고, 대학교 때 영어 과외알바를 했었다는 무지막지한 공통점이 있다. 일본에 와서 몇달 간은 시간 죽이고 있는 내가 한심하게 생각되기도 했지만 지금은 일본어에 대한 스트레스가 좀 줄어든 덕에 책도 읽을 수 있고, 이현이도 신나서 룰루랄라이고... 다 좋은데, 시..

바람의 열두 방향

바람의 열두 방향 The Winds Twelve Quarters 어슐러 K. 르귄 (지은이) | 최용준 (옮긴이) | 시공사 | 2004-10-27 어술러 르귄. 이름은 들어봤는데, 이 작가를 만나는 것은 이 책이 처음이었다. 어릴적엔 인간이 아닌 것들이 말하고 꿈을 꾸는 이야기(이것이 내가 판타지를 정의하는 단순한 방법이다)들을 몹시 좋아했었지만, 최근엔 반지제왕 한편 빼면 판타지를 거의 접하지 못했다. 그러면서도 이 책을 선뜻 장바구니에 넣었던 것은 첫째는 제목이 멋져서, 둘째는 르귄이라는 이름 때문이었다. 르귄의 소설책을 본 것은 처음이지만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은 예전에 소리님이 여기 올려주셔서 읽어봤었다. 한동안 무력감과 자괴감에 빠져서 우울증같은 기미를 보이던 때,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

딸기네 책방 2004.11.23

일반인을 위한 파인만의 QED 강의

일반인을 위한 파인만의 QED 강의 리처드 파인만 (지은이) | 박병철 (옮긴이) | 승산 | 2001-08-09 파인만의 물리학 책들 중에 어려운 것(other six...)과 쉬운 것(six...)이 있다는 설명을 들었더랬는데, 이 책은 특히 '쉬운 것'에 속한다고 강조라도 하듯 '일반인을 위한'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있다. 제목에 떡하니 박혀있는 QED. 하기사, 제목에 '양자전기역학'이라고 표기를 해놓으면, 웬만한 '일반인'은 이 책을 멀~리 피해가기 십상일 터이니. 미국에서 출판됐을 당시 원제목은 'QED by Richard P. Feynman'인데 국내 번역본에는 '일반인을 위한'이라는 구절이 붙었다. 양자전기역학의 중간 교주 정도로 봐도 될 파인만, 무려 이 이론으로 노벨상까지 받았던 파인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