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 4027

[뉴스 깊이보기]미-이란 전면전 가능성은 낮지만...곳곳 '대리 충돌' 예고

미국이 이라크에서 이란의 유력 군 장성 가셈 솔레이마니를 드론으로 공습해 표적살해한 뒤 중동 분위기가 심상찮다.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에서 4일(현지시간) 열린 솔레이마니의 장례식에는 수만 명이 운집했고, 테헤란의 입김에 반발해온 이라크의 ‘반이란 감정’은 솔레이마니 살해 이후 ‘반미 정서’에 자리를 내줬다. 레바논 베이루트에도 솔레이마니의 대형 사진들이 걸렸고, 이라크·레바논·팔레스타인의 무장조직들은 일제히 미국 규탄에 나섰다. 이란은 보복을 다짐했다. 최대 관심사는 중동의 전운이 실제 포연으로 이어질 것인지다. 현재로 봐서 중동이 이라크전과 시리아 내전에 이은 ‘세 번째 전쟁’으로 치달을 가능성은 낮다. 미국도, 이란도 그렇게까지 몰고 갈 의지와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솔레이마니는 이란 혁명수비대 안에..

[구정은의 '수상한 GPS']주권 무시한 '이스라엘식 공격', 미국의 솔레이마니 ‘표적 살해’

이란 정예부대인 혁명수비대 내에서 대외작전을 전담해온 고드스 특수부대의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이 지난 3일(현지시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미군 공습에 사망했다. 미군이 리퍼 드론을 이용해, 미사일로 솔레이마니를 살해한 것이다. 중동의 불안감은 극도로 고조됐으며, 국제법을 위반하고 이라크의 주권을 무시한 미국의 ‘표적살해’에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3일 언론 자료에서 솔레이마니 사령관이 이라크 방문 중에 중동의 미국 관련 시설을 겨냥한 공격을 모의할 것이라는 정보가 있었다면서 “미국인 수십명이 위험해질 뻔했다, 다른 나라 사람들도 살해될 수 있었다”며 제거작전의 ‘정당성’을 홍보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솔레이마니가 사망한 뒤 트위터에 성조기 이미지를 올렸다. 트럼프 대통..

[2020년의 세계]라이베리아 ‘나무 안 베기’ 도전…수명 다한 보이저 1·2호 ‘우주 영면’

‘나무를 베지 않는 나라.’ 어쩌면 2020년 지구상에 그런 나라가 생길 수 있다. 서아프리카의 빈국인 라이베리아가 그런 미션에 도전한다. 침팬지와 고릴라들을 비롯한 멸종위기 동물들의 서식지인 라이베리아의 열대우림은 내전과 에볼라 위기 등을 거치며 남벌로 황폐해지고 있다. 2014년 노르웨이가 라이베리아에 제안을 했다. 1억5000만달러를 원조할 테니 열대우림 베어내는 걸 막아달라는 것이었다. 그 시한이 2020년이다. 라이베리아는 지난 몇 년 동안 불법 벌목을 막으려 힘겨운 노력을 해왔고, 올해에는 벌목을 완전히 금지시켜야 한다. 라이베리아는 숲을 지켜낼 수 있을까. 올해 세계는 대서양에 면한 아프리카의 작은 나라를 통해 숲과, 생물다양성과, 지구의 미래를 가늠케 할 시험을 치르게 될 것으로 보인다. ..

"대통령 물러나고, 시장은 열어라" 베네수엘라에 뒷거래 제안한 트럼프 변호사 줄리아니

2019.12.31 지난해 9월, 베네수엘라의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에게 전화가 걸려왔다. 우고 차베스의 뒤를 이은 좌파 정치인 마두로는 격렬한 반정부 시위와 서방의 퇴진 압박에 시달리고 있었다. 통화 상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개인 변호사’인 루돌프 줄리아니였다. 마두로를 퇴진시키고, 자원부국인 베네수엘라에 미국 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줄리아니의 목적이었다. 줄리아니와 피트 세션스 전 하원의원이 막후에서 마두로에게 이런 거래를 제안했으며, 여기엔 두 사람의 개인적인 이해관계도 걸려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워싱턴포스트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11차례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세션스는 지난해 봄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를 방문해 마두로를 직접 만났다. 이어 9..

[구정은의 '수상한 GPS']푸틴, 트럼프에 "'테러 정보' 고마워"…내년 양국 관계는?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워싱턴이 건네준 ‘팁’ 덕분에 상트페테르스부르크의 테러 시도를 막아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크렘린은 29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하면서 테러 대응을 비롯한 관심사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크렘린은 언론보도문에서 “러시아 측이 제안해 두 정상이 통화를 했다”면서 “푸틴 대통령은 정보기관 간 채널을 통해 러시아 내의 테러를 막을 정보를 전해준 것에 감사를 표했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테러 대응에서 계속 협력하기로 합의했으며 ‘일련의 관심사들’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했다. “테러 정보 전해줘서 감사” 푸틴 대통령이 사의를 표했다는 ‘테러 정보’는 상트페테르스부르크에서 최근 적발된 테러 음모를 가리키..

"분쟁 속 아이들에게 빛을" 프란치스코 교황 '우르비 엣 오르비'

“전쟁과 분쟁으로 고통을 겪는 중동의 많은 어린이들에게 그리스도가 빛을 전해주시기를.” 프란치스코 교황은 25일 정오(현지시간) 바티칸뉴스 등을 통해 세계에 생중계된 ‘우르비 엣 오르비(Urbi et Orbi)’ 강론을 하면서 정정불안과 분쟁, 내전 등으로 고통받는 지구촌 사람들에게 평화가 오기를 기원했다. 교황은 내전 참화에 시달리는 시리아에서 적대관계가 끝나고 주민들이 위안을 얻기를 바란다고 했고, “국제사회가 그리스도의 영감을 받아 해법을 찾아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정불안과 경제적 고통을 겪는 베네수엘라, 최근 시위가 격화된 레바논 등을 언급했다. ‘우르비 엣 오르비’는 ‘수도(로마)와 지방(세계)’을 뜻하는 라틴어로, 교황이 세계의 가톨릭신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가리킨다. 교황은 매년 부활..

[사진으로 본 세계]수상스키 타고, 노숙인 돕고…산타의 24시간

“하느님은 우리가 최악의 상황에 놓였을 때조차, 언제나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24일(현지시간) 성탄전야 미사에서 내놓은 메시지입니다. 교황은 이날 바티칸 성베드로대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하면서 “이웃이 먼저 선행을 베풀기를 기다리기 전에 선행을 베풀고, 존중받기를 기다리기 전에 먼저 존중하자”고 했습니다. 교황은 25일 낮 12시(한국시간 오후 8시)에는 세계를 향한 ‘우르비 엣 오르비’ 강론을 합니다. 아기 예수가 태어난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베들레헴도 성탄절을 맞았습니다. 24일 밴드가 성가를 연주하며 ‘예수탄생교회’ 옆으로 행진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을 사이에 두고,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 두 곳으로 영토가 나뉘어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이번 성탄 시즌에도 가자..

미 대선 '갑부 후보' 블룸버그, 캠페인 전화는 교도소에서 돌렸다?

내년 미국 대선에 민주당 후보로 나서겠다고 선언한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이 당내 경선 캠페인 전화를 돌리면서 ‘교도소 노동력’을 이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권자들에게 정책을 알리고 설득하는 것조차 하청에 재하청으로 이뤄지는 미국 선거운동의 문제점이 ‘교도소 콜센터’로 확인된 것이다. 인터넷매체 인터셉트는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후보 측이 교도소 수감자들을 이용한 ‘캠페인콜(홍보전화)’을 해온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인터셉트에 따르면 블룸버그 캠프는 뉴저지에 있는 프로컴이라는 회사와 캠페인콜 계약을 맺었다. 프로컴은 다시 ‘제3의 업체’에 아웃소싱을 했다. 이 업체는 뉴저지와 오클라호마에 여러 개의 콜센터를 두고 있는데, 오클라호마의 콜센터 중 두 곳은 교도소에서 운영된다. 그 교도소 콜센터..

[구정은의 '수상한 GPS']"코끼리가 선물을 줬어요" 세계의 크리스마스 풍경

“코끼리가 선물을 줬어요.” 인구 98%가 불교도인 태국에서 15년째 계속돼온 성탄 이벤트가 있다. 23일(현지시간) 방콕포스트는 방콕 근교 유적지이자 유명 관광지인 아유타야의 한 학교에서 산타클로스 옷을 입은 코끼리가 아이들에게 선물을 나눠주는 행사가 올해에도 열렸다고 보도했다. 이날 아유타야의 지라사르트위타야 초·중등학교에는 코끼리 4마리가 찾아와 학생들에게 선물을 건넸다. 학교 근처에 있는 민간 코끼리 이벤트 회사인 ‘아유타야 코끼리궁전’의 소유주가 해마다 성탄절을 앞두고 아이들을 위해 하는 행사다. 선물을 받은 팟차라몬이라는 초등학생은 방콕포스트에 “코끼리도 귀엽고, 코끼리들의 춤도 귀여웠다”고 말했다. 하일라이트는 선물을 주고 난 뒤 코끼리가 아이들과 함께 크리스마스 트리를 세우는 것이었다. 하..

[이슈로 본 세계](2)베이루트에서 산티아고까지, 거리로 나선 시민들

지난 10월 레바논 베이루트의 시민들이 거리로 나왔다. 휘발유와 담배는 물론이고 메신저 프로그램인 ‘왓츠앱’을 쓸 때에도 세금을 물리겠다는 정부 방침이 젊은이들을 거리로 불러냈다. 레바논은 1970년대 격렬한 내전을 거치고 시리아의 점령통치를 받다가 2004년 ‘백향목 혁명’으로 힘들게 민주화를 이뤘다. 하지만 종교·종파별 정치세력 간 권력 나눠먹기와 이란의 개입이 심했다. ‘민간개발’이라는 이름으로 베이루트 곳곳에 부자들을 위한 쇼핑몰과 사설경호원을 둔 고급 주택단지들이 들어서는 동안 서민들에게 돌아간 혜택은 적었다. 레바논의 시위대가 국토를 가로지르는 170㎞의 인간띠를 만들면서 연대의 구호를 외치고 있을 때, 칠레에서는 지하철요금이 인상된 것이 거센 반정부 시위를 불렀다. 칠레는 1970년대 이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