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수상한 GPS

[구정은의 ‘수상한 GPS‘] 공습 받은 카타르, 중동의 기류는?

딸기21 2025. 9. 20. 15:42
728x90

2025년 9월 9~10일 밤 사이, 이스라엘이 카타르 수도 도하를 공습했다. 최소 6명이 숨졌으며 사망자 중에는 카타르 장교도 있었다. 팔레스타인 무장조직 하마스 고위 인사들을 겨냥한 표적 타격, 즉 암살 공격이었다.

 

카타르는 “주권 침해·공격행위”로 규정하고 강력 항의했다.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총리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직접 지목해 "야만적 행위"라고 비난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무하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이스라엘의 범죄적 행위를 억제하기 위한 아랍, 이슬람, 그리고 국제 사회의 대응"을 촉구했다. 아랍에미리트(UAE) 지도자 무하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은 카타르로 날아가 타밈 국왕을 포옹했다. 불과 몇년 전만 해도 사우디, UAE와 카타르는 사이가 나빠 단교까지 했는데 이제는 날아가 달래주고 끌어안는 사이가 됐다. 

 

A damaged building, following an Israeli attack on Hamas leaders, according to an Israeli official, in Doha, Qatar, September 9, 2025. REUTERS

 

카타르는 대책을 논의하자며 15일 아랍-이슬람국가 정상회의를 열었다. 바레인과 UAE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1기 정부 시절 이스라엘과 수교하는 '아브라함 협정'에 서명한 지 5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카타르의 타밈 국왕은 이 회의에서 이스라엘이 억류된 인질에 대한 관심은 제쳐놓고 "가자지구가 더 이상 살 수 없는 곳이 되도록" 만드는 데에 치중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정상회담을 시작했다. "인질 석방을 원한다면 왜 모든 협상가들을 암살하는가?" 휴전 협상의 핵심 중재자 역할을 해온 카타르 지도자로서는 이례적으로 격한 발언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습이 알려진 직후 기자들에게 “매우 불만스럽다”며 짜증 섞인 반응을 보였다. 네타냐후와 트럼프가 언쟁을 했다는 보도도 있었다. 이슬람권 정상들이 도하에 모인 날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이스라엘에 가서 네타냐후와 만나 ‘미국의 우려’를 표명했다. 하지만 미국이 이스라엘을 통제하기 위해 뭔가를 진지하게 하려 한다거나,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은 없는 것 같다. 루비오 장관은 이스라엘의 공습에 대해서는 제대로 언급도 하지 않은 채 휴전 협상만 강조했다. 

 

카타르는 미국이 중동 최대 공군기지를 두고 있는 나라다. 영화 <트랜스포머> 1편에 미군기들이 외계 로봇의 침략을 받는 장면이 나오는데, 설정 상 거기가 카타르의 알우데이드 기지다. 수도 도하에서 30km, 사막 가운데에 위치한 이 기지는 1991년 미국과 아랍국들이 이라크를 상대로 벌인 걸프전을 계기로 생겨났다. 인구가 적고 군사력이 거의 없는 카타르는 미국의 보호 아래로 들어가는 것을 탈냉전 이후 안보전략의 핵심으로 삼았다. 1996년 10억달러를 들여 알우데이드 공군기지를 완성했고, 미국과 1999년 군사협력협정을 체결했다. 카타르는 이곳 미군의 활동영역에 아무런 제한도 두지 않았다. 미국이 알우데이드의 무기와 병력을 가지고 카타르 밖에서도 군사활동을 할 수 있게 해준 것이다. 

 

Al Udeid Air Base. ❘ Tactical Report

 

미군 중부사령부는 전방지휘부를 이 기지에 두고 항공기 급유 허브, 정보·정찰·통신 거점 기능을 수행한다. 이라크·아프가니스탄 전쟁, 시리아 작전, 아프간 철군 조정, 가자 전쟁 관련 공중전력 배치 등에서 계속 이곳을 활용했다. 이스라엘의 공습 뒤 트럼프가 카타르의 전략적 중요성을 언급한 것도 이 기지 때문이다. 

 

그런 카타르를 공격한 이스라엘 측 논리는 “하마스 해외지휘부 차단”이다. 2023년 10월 가자 전쟁을 시작한 이후 이스라엘은 이란, 레바논, 시리아 등의 ‘하마스 연계망 원거리 타격’을 계속해왔다. 포장이 그럴싸할 뿐 모두 암살 작전이다. 반면 카타르는 하마스와 대화 채널을 유지하며 휴전과 인질 석방 협상을 중재하고 가자 지구로 가는 인도적 지원 자금의 플랫폼 역할을 맡아왔다. 미국이나 유럽연합도 중재 창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한다. 그런데 이스라엘은 중재자 자체를 공격했다. 

 

 

우리에겐 자원부국으로만 알려져 있는 카타르는 아라비아 반도 동쪽에 톡 튀어나온, 반도 속의 반도다. 면적 1만1600제곱킬로미터에 주민은 320만명 정도인데, 외국인이 거의 90%를 차지한다. 확인된 석유 매장량은 약 252억 배럴이다. 석유 매장량은 물론 세계 상위권에 속하지만 톱10에는 들지 않는다. 원유 생산량도 2023년 기준 세계 15위였다. 카타르에 중요한 것은 천연가스다. 확인된 천연가스 매장량은 러시아, 이란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다. 우리에게도 중요한 LNG 수출능력 역시 미국, 호주에 이어 세계 3위다. 당연히 소득은 높다. 작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7만1600달러, 구매력 기준으로는 11만6000달러였다. 

 

카타르는 영국 보호령에서 1971년 독립한 후 알 타니 왕가가 통치하고 있다. 1995년, 당시 43세였던 하마드 빈 칼리파 왕세자가 부친을 밀어내고 집권했다. 이듬해 알자지라 방송을 만들고 LNG 중심 국가 전략을 짰다. 걸프 왕국들은 후진적인 정치 구조에 화석 연료 의존도가 높은 걸로 알려져 있지만, 하마드 국왕 즉위 뒤 카타르는 미래를 향해 돌진했다. 2013년 하마드는 아들 타밈에게 전격적으로 왕위를 물려줬다. 1980년생 타밈은 즉위 뒤 실용 외교와 스포츠·교육 투자에 힘썼고, 2022년 월드컵으로 국가 브랜드를 키웠다. 카타르 월드컵 개막식 때 현 국왕과 아버지 전 국왕이 함께 등장하는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 대의민주주의 체제는 아니지만 전통적 부족집단들이 왕실을 받쳐주고 복지·고용·주거 혜택을 늘려서 지지기반은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외교적으로도 카타르는 아랍권에서 좀 튀는 행보를 보여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중재자 역할이다. 이스라엘 문제에서도 그렇지만, 걸프의 다른 아랍국들에 비해 이란과도 우호적인 관계다. 이란과 해저 가스전을 공동소유하고 있기도 하다. 미국이 아프간에서 빠져나갈 때 미국과 탈레반의 협상도 카타르에서 했다.

 

또 카타르는 전방위로 보험을 들어놓는 스타일이다. 여러 나라, 여러 세력에 자금을 지원했다. 풀뿌리 조직들에 돈을 대준 탓에 민초를 겁내는 걸프 왕국들과 한동안 사이가 나빴다. 알자지라 방송이 자기네 왕실은 쏙 빼고 걸프 왕정들을 비판하는 것도 이웃들 심기를 건드렸다. 2017년 사우디, UAE, 바레인, 이집트가 한편을 먹고 카타르와 단교하는 사태까지 갔다가 4년이 지나서야 봉합됐다. 그러나 미래 전략으로 보자면 걸프 국가들 중 카타르가 단연 두드러졌다. 핵심축은 LNG, 알자지라로 대표되는 글로벌 미디어 파워, 교육·스포츠·문화 허브, 그리고 중재외교다. 금융, 수소에너지 등 탈탄소 경제로의 전환 노력도 눈에 띈다. 경제에선 허브, 외교에선 중재를 핵으로 하는 ‘허브-브로커’ 모델이라 부르는 이들도 있다. 그런데 이스라엘 때문에 이 모델이 시험대에 올랐다. 미군의 주요 기지가 있는 곳까지 이스라엘 공격을 받았으니, 카타르뿐 아니라 미국의 신뢰도나 조정 능력에도 의문이 제기될 것이 뻔하다. 

 

Donald Trump with Benjamin Netanyahu at the White House earlier this year. Pic: Reuters

 

네타냐후는 카타르가 하마스 지도부 체류를 계속 허용한다면 다시 공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수틀리면 누구든 죽인다, 어차피 미국은 우리를 편든다’라는 것이 건국 이래 이스라엘의 생존전략이다. 가자 학살 뒤에도 당장은 고립될지 모르지만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이스라엘의 행태를 묵인하게 될 것으로 네타냐후는 판단하는 듯하다.

 

하지만 카타르까지 공격한 것에는 걸프 국가들도 놀란 모양이다. 미국과 이스라엘이 몇년 동안 추진해온 중동 구상은 가자 전쟁으로 이미 물 건너갔다. 이스라엘은 늘 이란을 걸프의 안보 불안 요인으로 몰아가며 아랍국들과 이란 사이를 벌리려 애써왔다. 그런데 이제는 이스라엘이야말로 불안의 근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레츠 등 이스라엘 언론들조차 “단기적으로는 전술 성과가 있었는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 큰 외교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걸프 국가들이 야심찬 경제·인프라 계획을 추진하려면 역내 안정이 필수적인데, 미국은 이스라엘을 제어할 능력도 의지도 없다. 

 

걸프 아랍국들과 앙숙이던 이란은 지난 6월 알우데이드 기지를 때렸다.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습하자 카타르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미국에 ‘보복’ 의지를 보여준 것이다. 그랬던 이란도 15일 정상회담에 참석했다. 마수드 페제슈키안 이란 대통령은 "침략자를 고립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자신들이 석달 전 카타르를 공격한 것은 언급하지 않은 채, 역내 어느 국가든 이스라엘의 다음 표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상회담 최종 성명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국민에 대한 행동을 지속하지 못하도록 모든 가능한 법적·효과적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는 데 그쳤다. 카타르, 사우디, UAE 등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은 정상회담과 별도로 자체 회의를 열고 "공동 방어 메커니즘과 억지 역량을 활성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으나, 회담 이튿날 사우디와 쿠웨이트는 이스라엘인들의 입국을 금지시켰다. 

 

Attendees of the emergency Arab-Islamic leaders' summit to discuss the Israeli attack on Hamas on Qatari territory, pose for a family photo, in Doha, Qatar September 15.  Qatar News Agency/Reuters

 

트럼프 정부는 1기 시절 아랍국들과 이스라엘을 화해시키고 이란을 따돌리는 구도를 만들었다. UAE 등 몇몇 나라가 ‘팔레스타인의 대의’를 버리고 이스라엘과 손을 잡았다. 사우디마저 수교를 저울질하던 상태에서 가자 전쟁이 터졌다. 이제는 집단학살을 저지르는 이스라엘과 손잡아서 얻을 잠재적 이익보다는 정치적 손실이 훨씬 커졌다. UAE조차 이스라엘의 행태에 경악하고 있다. UAE는 11월 두바이 에어쇼에 이스라엘 참가를 취소했다. 국제전략연구소(IISS) 중동 전문가 에밀 호카옘은 12일 파이낸셜타임스 기고에서 트럼프식 중동 구도는 “전략적 실패”로 돌아갔다고 진단했다. 이코노미스트는 “걸프는 트럼프에게 ‘우리냐 이스라엘이냐‘ 선택하라 말하고 있다”고 썼다. 

 

미국은 이라크가 ‘깡패 국가’라며 전쟁을 일으켰다. 지금 지구 상의 깡패 국가는 이스라엘이다. 이스라엘이 불러온 불안감 속에 이전과는 다른 걸프의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스스로를 학살자로 만들고 ‘아랍과의 화해’를 망친 이스라엘은 지금 자신들이 더 안전해졌다고 진심으로 믿고 있을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