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나기브 마흐푸즈 Naguib Mahfouz (1911.12.11 - 2006.8.30)
이집트 소설가, 198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
나깁 마흐푸즈는 이집트 수도 카이로 가말리야에서 태어났다. 나깁이라는 이름(아랍어에서는 ‘나지브’라고 해야 하지만 이집트식으로 j를 g로 써 ‘나깁’ 혹은 ‘나기브’라고 읽는다)은 출산을 도왔던 의사 나깁 바퍄 마흐푸즈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라고 한다.
마흐푸즈는 부동산부에서 공무원 생활을 한 뒤 예술 관련부처 검열관으로 자리를 옮겼다(훗날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종교적 ‘검열’ 때문에 오랜 세월 고통받았던 마흐푸즈가 원래 검열관 출신이라는 것은 그야말로 아이러니다). 뒤에 영화제작 지원 업무도 맡아 했었고(이집트는 중동 전체에 영화를 만들어파는 영화수출국이다) 공직생활 마지막은 문화부 자문위원으로 마감했다.
마흐푸즈는 소설 34편을 냈고 단편 350편 이상을 발표했다. 또 작가생활 70년 동안 영화 대본 수십편과 희곡 다섯 편을 남겼다. 그의 작품 중 상당수가 아랍어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마흐푸즈는 항상 거칠다 싶을 정도로 솔직하고 명료하게 생각을 표현하는 작가였다. 사회주의 공산주의 동성애 같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글을 썼지만 언제나 그의 작품을 관통하고 있는 주제는 ‘신’이라고 볼 수 있다. 이집트는 물론이고 다른 아랍국들에서도 신, 알라에 대해 감히 논하는 것은 금기시됐으나 마흐푸즈는 예외였다. 그에게 노벨문학상을 안겨준 ‘게벨라위의 아이들 Children of Gebelawi)’이나 훗날 영화로 만들어졌던 ‘미다크 골목(Midaq Alley·셀마 헤이엑이 주연한 멕시코산 영화 제목은 El callejon de los milagros)’ 같은 것들이 그런 예들이다.
1959년작 ‘게벨라위의 아이들’은 그야말로 마흐푸즈 문학세계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이집트에서 종교세력으로부터 신성모독이라는 비난을 받고 사실상 출판·판매가 금지됐던 이 작품은 ‘아브라함 종교’라고 불리는 세 유일신교 즉 유대교와 기독교 그리고 이슬람의 세계관을 다루고 있다.
1989년 이란 최고종교지도자가 살만 루시디를 살해하라는 파트와(이슬람 법정의 판결과 같은 효력을 갖는 신학자의 포고령)를 내린 뒤 이집트 맹인 신학자 오마르 압둘 라흐만은 한 기자에게 “마흐푸즈가 ‘게벨라위의 아이들’로 진작 벌을 받았더라면 루시디가 감히 그따위 책을 낼 엄두를 못 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집트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행사해왔던 오마르는 훗날 이 발언이 문제가 되자 “파트와를 내린 것”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1994년 이슬람 근본주의자 그룹이 오마르의 발언을 이집트 이슬람 지도부의 ‘공식 파트와’라고 해석하고 마흐푸즈를 공격하는 일이 발생했다. 당시 82살이었던 마흐푸즈는 자택 앞에서 칼에 찔렸고, 목숨은 건졌지만 오른손 신경이 끊어져 불구가 됐다.
마흐푸즈는 이 일이 있은 뒤 사망할 때까지 경호원들의 보호 속에 살아야 했다. ‘게벨라위의 아이들’은 2006년 초에야 비로소 공식 출간될 수 있었다. 잡지에 연재됐던 것 외에 이 소설이 단행본으로 출간된 것은 이집트에서는 처음이었다고 한다.
마흐푸즈의 또다른 대표작 '나일 강변 한담 Chitchat on the Nile'(1966)도 수난을 당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이 소설은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 시절 영화로도 만들어졌는데, 가말 압둘 나세르 정권 시절 이집트 사회의 데카당스한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덕택에 사다트 정권으로부터 바로 금지처분을 당했고 1990년대 말이 될 때까지 이 작품은 이집트에서 출판될 수 없었다. 영화도 상영금지된 것은 물론이다.
마흐푸즈를 또다른 정치적 논란에 휘말리게 만든 것은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평화협정이었다. 사다트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 별장 캠프 데이비드에서 이스라엘측과 악수를 나누고 노벨평화상을 받은 것. 사다트 대통령은 결국 이슬람 과격파 조직 ‘무슬림 형제단’ 멤버에게 암살당함으로써 ‘목숨으로 값을 치른’ 셈이 됐는데, 마흐푸즈는 이 평화협정을 드러내놓고 지지했었다.
마흐푸즈는 2006년8월30일 카이로 시내 병원에 입원해 있다가 심장마비로 숨을 거뒀다. 워낙 고령이었던 데다가, 심장 질환과 신장병을 앓고 있던 차였다.
마흐푸즈의 장례식은 다음날 국장으로 치러졌다. 카이로 교외 나스르시티에 있는 알 라슈단 모스크에서 열린 장례식은 군 의장대가 도열한 가운데 엄숙하게 이뤄졌지다. 하지만 생전의 마흐푸즈 자신은 ‘카이로 빈민을 비롯해 이집트의 모든 이들이 애도해주는 것’을 바랬다고 한다. 2005년 내내 이집트에서는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장기집권에 저항하는 반독재 민주화 시위가 일어났었다. 그 해 9월 극히 비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5선 연임’에 성공한 무바라크 정권은 마흐푸즈가 가진 영향력을 의식했는지, 그의 장례식에 극소수 각료들만 참석토록 제한해버렸다. 마흐푸즈가 사랑했던 ‘민중들’은 철저히 배제된 채 장례식이 치러짐으로써 아쉽게도 그의 마지막 꿈은 이뤄질 수 없었다.
마흐푸즈 이후로 2006년까지 아랍권 작가 중에서는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 뉴욕타임스의 부고 기사 (여담이지만 obituary 는 뉴욕타임스가 세계 최고인 듯;;)
August 30, 2006
Naguib Mahfouz, Chronicler of Arab Life, Dies at 94
By ROBERT D. McFADDEN
Naguib Mahfouz, the Egyptian playwright and screenwriter who won the 1988 Nobel Prize in Literature and was widely regarded as the Arab world’s foremost novelist, died today, Reuters and The Associated Press reported. He was 94.
Mr. Mahfouz had been hospitalized and in declining health since suffering a head injury in a fall at his home in July, the agencies reported, citing Dr. Hossam Mowafi, who supervised Mr. Mahfouz’s treatment and who announced his death.
Mr. Mahfouz’s city was teeming Cairo, and his characters were its most ordinary people: civil servants and bureaucrats, grocers, shopkeepers, poor retirees, petty thieves and prostitutes, peasants and women brutalized by tradition, a people caught in the upheavals of a nation struggling through the 20th century.
Around their tangled lives, Mr. Mahfouz chronicled the development of modern Egypt, and over five decades wrote 33 novels, 13 anthologies of short stories, several plays and 30 screenplays. It was a body of work hailed by the Swedish Academy of Letters as “an Arabian narrative art that applies to all mankind.”
Mr. Mahfouz, a slender, modest, shy man who once described himself as “a fourth- or fifth-class writer,” was often called the Egyptian Balzac for his vivid frescoes of Cairenes and their social, political and religious dilemmas. Critics compared his richly detailed Cairo with the London of Charles Dickens, the Paris of Emile Zola and the St. Petersburg of Fyodor Dostoyevsky. (평자들은 그를 ‘이집트의 발자크’로 부르는데 정작 그 자신은 스스로를 '4, 5급 작가'라고 칭했다는군요. )
He was the first Arab writer to receive the Nobel Prize, and while many of his works had been translated into French, Swedish and German, he was largely unknown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n 1988. Only about a dozen Mahfouz books had been rendered into English, and many were out of print.
Since then, his best-known novels have been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English-speaking countries by Doubleday and sister companies. They include “The Cairo Trilogy,” widely regarded as his masterwork.
While Arabic has a rich tradition in poetry, the novel was not a strong art form in that language until Mr. Mahfouz made it accessible. For English-language translators and readers, Arabic presents special difficulties: the dialogue sounds overwrought, the descriptions stilted. As Brad Kessler wrote in a 1990 article for The New York Times Magazine: “Mahfouz writes in the florid classical Arabic, which is roughly the equivalent of Shakespearean English.”
Peter Theroux, the American translator of several major Arab novelists, wrote about completing a new version of “Children of the Alley” in 1996: “Readers of Mahfouz in any language are in thrall to his magic. The warmth of Mahfouz’s characters, the velocity of his storytelling, his gift for fluent dialogue and telling details are unique in modern Arabic literature.”
Until winning his $390,000 Nobel Prize, much of which he said he gave to charities, Mr. Mahfouz had struggled financially despite the popularity of his books. For many years he supported himself and his wife and two daughters by working for Government ministries.
During the 1960’s and 70’s, he was the head of the State Cinema Organization, which is responsible for raising money, for deciding which movies should be made and for censorship. About 30 of his own novels and short stories were adapted, including one that won a national film prize in 1962. For his censorship work, he was often criticized by Cairo intellectuals, who also accused him of being self-serving and subservient to the state.
While he was widely read in Egypt and other Arab nations long before he won the Nobel Prize, Mr. Mahfouz had many enemies. Islamic fundamentalists considered some of his work blasphemous, and political opponents resented his support for Egypt’s peace treaty with Israel in 1979 and his earlier criticisms of President Gamal Abdel Nasser, who seized power after a 1952 coup.
Many of Mr. Mahfouz’s books were banned in other Arab countries, and a 1959 novel, “Children of Our Alley,” whose theme is man’s search for spiritual values, was banned in Egypt at the behest of Islamic theological authorities because it portrays Mohammed as an all-too-human womanizer. It also has characters based on Adam and Eve, Moses, and Jesus.
Like many Egyptian intellectuals, some of whose works have been denounced as disrespectful to Islam, Mr. Mahfouz was put on a “death list” by Islamic fundamentalists who were believed responsible for hundreds of terrorist killings in Egypt and abroad.
In 1989, Mr. Mahfouz joined scores of literary figures in defending Salman Rushdie after Ayatollah Ruhollah Khomeini condemned one of his books, “The Satanic Verses,” as blasphemous and offered a reward for killing Mr. Rushdie. But in 1992, Mr. Mahfouz distanced himself from Mr. Rushdie and criticized his book as “insulting” to Islam, though he also said that the death threats against him were wrong.
Mr. Mahfouz was stabbed in the neck on Oct. 14, 1994, by an assailant who fled in a car. The authorities said the attack might have been carried out by Islamic militants who had declared him an infidel. The police had offered him protection, but Mr. Mahfouz, who condemned “cultural terrorism” by Islamic fundamentalists, refused it.
Though he continued to write in his later years, Mr. Mahfouz was in failing health. He was diabetic and nearly blind, and lived quietly in an apartment overlooking the Nile. After the 1994 attack he largely abandoned his old habit of walking daily to a coffeehouse to meet friends, and to the offices of Al Ahram, the newspaper for which he had written occasional columns. And the injuries he suffered in 1994 made it difficult for him to hold a pen or pencil.
Still, he said, every day a writer must write something, anything. In a 2002 interview, he said he could still manage to write vignettes of his dreams. “They are very, very short stories, like this,” he said, indicating the tip of his index finger.
Asked in the interview whether he had any living contemporaries as friends, he answered with traces of a grin spreading on his face, “One or two ? but they have forgotten they belong to my generation.”
Naguib Mahfouz was born in Cairo on Dec. 11, 1911, the youngest of seven children of a minor civil servant. His early childhood was spent in the old city’s Gamaliya quarter, the setting of many of his books, and he came of age in an era of intense nationalist activity against British rule.
He studied Arabic literature in high school and cultivated a wide range of literary interests while studying philosophy at the University of Cairo, from which he graduated in 1932. He read Tolstoy, Dostoyevsky, Chekhov, Proust, Mann, Kafka and Joyce and the playwrights O’Neill, Shaw, Ibsen and Strindberg.
He began writing short stories, 80 of which were published in magazines ? 50 others were apparently destroyed by the writer ? and in 1938 he published his first collection, “A Whisper of Madness.” A year later, his first novel, “Games of Fate,” appeared. It was a thinly veiled allegory about the struggle against British occupation, but was set in ancient Egypt to get around the censors.
After several such “historical” novels, he turned to a new genre, the realistic novels of the 1940’s and 50’s for which he is best known. “The Cairo Trilogy,” whose three volumes took 12 years to complete, appeared in the late 1950’s and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of the Arabic language.
It tells the story of Egypt through the eyes of three generations of a middle-class Cairo family, from World War I through the 1952 coup that overthrew King Farouk. Each of the volumes ? “Palace Walk,” “Palace of Desire” and “Sugar Street” ? is named for a Cairo street, and the tragedies and fortunes of the family parallel the nation’s struggle for political independence.
Later works by Mr. Mahfouz - “The Thief and the Dogs”(1961), “Chatting on the Nile”(1966) and “Miramar”(1967) - were experimental, sometimes given to stream-of-consciousness, and critical of either the coup that eventually made Nasser the ruler or of his dictatorial rule. Though other writers were jailed for writings of that kind, Mr. Mahfouz never was.
Women play important roles in many Mahfouz stories, and often illuminate the inferior status of women in Egypt and the wrenching social changes under way. In one story, a girl exploited as a prostitute fights back; another story tells of a home where women are not even allowed to look out a window for fear of being seen, until a modern woman marries into the family and begins to demand equal rights.
Mr. Mahfouz supported President Anwar el-Sadat and the Camp David accords that led to the Egyptian-Israeli peace treaty, and he was denounced by many of his countrymen for doing so. But his works were still popular, and his Nobel Prize was welcomed throughout the Arab world.Mr. Mahfouz, who almost never left Egypt, did not go to Stockholm to receive the prize but sent his daughters, Om Kolthoum and Fatima, to accept on his behalf. They survive him, as does his wife, Attiyat-Allah.
A military funeral will be held for Mr. Mahfouz on Thursday at a Cairo mosque, with his coffin covered with an Egyptian flag and carried by caisson, The Associated Press reported.
(연합뉴스 기사 퍼놓습니다>
아랍권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마흐푸즈 타계
(카이로=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유명한 이집트 문호이자 아랍권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나깁(나집) 마흐푸즈가 30일 이집트 경찰병원에서 별세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향년 95세.
1911년 카이로에서 태어난 마흐푸즈는 1988년 아랍권 작가로는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는 이집트 뿐만 아니라 아랍권에서 정론을 추구하는 지식인의 표상으로 이름을 날렸다. 문학 평론가들은 1960년대 들어 활동을 시작한 아랍권 작가들이 모두 '마흐푸즈의 외투에서 나왔다'고 말할 정도로 마흐푸즈는 현대 아랍권 문단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지켜왔다.
그는 '광기의 속삭임(1938년)'을 비롯한 10여 권의 단편집과 30여 권의 소설 및자신의 작품을 각색한 30여 편의 시나리오를 완성했으며 최근까지도 알-아흐람 위클리에 에세이를 써올 만큼 왕성한 집필활동을 계속했다. 그러나 마흐푸즈는 자신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장편소설인 '게벨라위의 아이들(우리 동네 아이들)' 내용에 불만을 품은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지난 94년 암살을 기도, 죽을 고비를 넘기기도 했으며 오랜 눈병으로 거의 실명에까지 이르러 이 사건이후 카이로의 자택에서 경찰의 보호를 받아왔다.
이집트 관영 일간인 알 아흐람에 1959년 연재된 '게벨라위의 아이들'은 이슬람 창시자인 마호메트를 모독하는 내용이 들어있다는 이유로 이집트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이슬람 종교교육기관인 알 아즈하르에 의해 금서로 지정돼 있다.
마흐푸즈의 생애와 작품세계
(카이로=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30일 타계한 이집트의 문호 나깁 마흐푸즈(95)는 아랍문학계의 큰 별이었다.
1919년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의 알 가말리야에서 3남4녀의 막내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부터 탐정소설을 즐겨 읽고 아랍노래의 여왕으로 불리는 움므 쿨숨(그의 두 딸 중 장녀 이름도 움므 쿨숨임)의 노래를 즐겨들으며 성장했다. (움 칼툼이라고 생각했는데 현지 발음은 ‘움므 쿨숨’인가보군요. 중화권의 등려군처럼 아랍권의 사랑을 받았던 옛날 여가수이지요) 이런 유년기의 경험은 향후 그의 작품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는 1930년 카이로대학의 전신인 푸아드 1세 대학 철학과에 들어가 서양철학을 공부하면서 어릴 적부터 접해온 이슬람과는 색다른 세계에 대한 인식을 경험한다. 1934년 대학졸업 후 대학원에서 2년 간 공부를 더한 그는 1936년부터 2년 간 대학 행정서기로 일하며 본격적인 문학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그는 영화와 문학에 큰 관심을 가졌지만 체계적으로 문학 수업을 받지는 않았다. 청소년기에 문학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갖고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 체홉, 셰익스피어 등 세계적 작가의 작품들을 두루 섭렵하고 대학 시절 미학 분야에서 안목을 길러 놓은 것이 그가 세계적 작가로 크는 밑바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1939년 종교부 대출 과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했는데, 이 때의 경험은 말단 공무원들의 좌절과 욕망을 작품화하는 데 도움을 줬다. 1953년 문화부 산하 예술위원회 영화위원이 된 뒤 영화분과위원장, 영화ㆍTV 예술검열 위원장, 이집트 영화사 고문, 문화성 고문 등으로 일하다 1971년 11월 공직을 떠난 뒤 이집트의 최고 유력지인 알-아흐람 신문 편집위원을 지내면서 글 쓰기에 전념했다.
그는 1988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고, 1994년에는 그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작품인 `우리 동네 아이들(게벨라위의 아이들)'의 내용에 불만을 품은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휘두른 칼에 찔려 목에 중상을 당했으나 다행히 목숨을 건졌다. 그는 이후 대외활동을 접은 채 카이로의 자택에 주로 칩거하며 작품 구상에 몰두했다. 그는 눈병이 악화해 시력을 거의 상실한 말년에도 알 아흐람에 기고를 해 올 만큼 왕성한 집필의욕을 보였다. 그는 평소 "내가 글을 쓰고자 하는 욕구가 사라진다면 그 날이 바로 내 최후의 날이 될 것"이라고 말해 왔다.
마흐푸즈는 간결하고 순수한 문체로 표준 아랍어 문장을 현대적 감각에 맞춰 자유롭게 구사한 작가라는 평을 듣고 있다. 그는 노벨문학상 수상 직후 가진 회견에서 "나는 내가 태어난 동네를 사랑하며, 골목은 나의 인생 이야기이다"라고 말했을 정도로 사회의 축소판인 동네가 그의 작품의 주요 배경이 되고 있다.
그의 작품세계는 통상 낭만주의 경향의 역사소설에 집중됐던 청년기인 제1기(1938∼1944년), 사실주의 소설을 발표하며 명성을 얻은 제2기(1945∼1958), 인간의 정신문제를 다룬 철학적 소설을 쏟아낸 시기인 제3기(1959∼1971), 그리고 특정 경향에 치우치지 않고 글을 쓴 말년기인 제4기(1972∼2006)로 구분된다.
1기의 대표작은 28편의 소설을 담은 단편소설집 `광기의 속삭임(1938)'이다. 이 작품집에 포함된 `포로의 옷'은 주인공이 서구 열강의 대리 전쟁터인 이집트에서 포로의 옷을 담배 두 갑을 주고 사 입었다가 외국어를 못 알아들어 총에 맞아 죽는 비극을 담은 것으로, 단편소설의 압권으로 평가된다. 이 시기에는 세 편의 역사소설인 `운명의 장난' `라두비스' `티바 족의 투쟁'이 발표된다.
2기에는 카이로 동네를 무대로 한 사실주의 소설이 많이 나왔는데, 금은 세공과 토산품 거리로 유명한 올드 카이로 지역의 칸 알 칼릴리 시장으로 이사하는 중년 남자를 주인공으로 한 `칸 알 칼릴리'와 3권으로 이뤄진 대하소설 `3부작'이 가장 유명하다.
마흐푸즈의 소설이 성숙단계에 들어간 3기의 작품으로는 1959년 알 아흐람에 연재됐던 `우리동네 아이들'을 비롯해 `도적과 개들(1961)', `나일 강가의 잡담(1966)'등이 있다. `우리동네 아이들'은 이집트의 수니파 종교교육 기관인 알-아즈하르가 예언자 마호메트를 모독하는 내용이 들어있다는 이유로 금서로 지정해 아직까지 이집트에서 단행본으로 출간되지 못한 그의 대표작이다.
4기 작품으로는 이집트 소설과 서구 소설의 만남을 보여주는 극치라는 평가를 받는 `알 하라피시의 학살(1977)'과 아랍 역사에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갈등을 열두 가지 이야기로 보여주는 `천 하룻밤', 가족 3대의 이야기를 다룬 `남은 건 한 시간뿐' 등이 있다. 4기에는 `희곡소설'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그의 작품에 대화가 많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예술의 유일한 근본은 한마디로 솔직함"이라고 역설해 온 마흐푸즈는 70년 가까운 작품생활을 통해 이집트 경계를 넘어 아랍권 문학계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일부 평론가들은 1960년대 들어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 이라크 등에서 배출된 아랍 문단의 작가들이 모두 "마흐푸즈의 외투에서 나왔다"고 말할 정도이다. 이집트인 특유의 입심을 타고난 이야기꾼으로 불렸던 마흐푸즈는 아랍 문학의 고전인 `아라비안나이트(천일 야화)'의 영광을 재현한 아랍권 최고의 문호라는 평가를 뒤로 하고 영면했다.
■ 나깁 마흐푸즈 연보
1911년 올드 카이로의 알 가말리야에서 태어남(3남 4녀 중 막내)
1913년 카이로 알 압바시야로 이사
1930년 푸아드 1세 대학(카이로대 전신) 철학과 입학
1934년 대학 졸업ㆍ대학원 진학(`이슬람 철학에서의 미의 개념' 논제로 석사학위)
1936∼38년 대학 행정부서 서기로 근무
1938년 단편소설집 `광기의 속삭임' 발표로 문학계에 정식 데뷔
1939년 종교부 대출과 직원으로 공무원 생활 시작
1953년 문화부 산하 예술위원회 영화위원
1954년 아티야 알라와 결혼..두 딸(움무 쿨숨과 파티마)을 둠
1959년 상징적 철학소설 `우리 동네 아이들' 알 아흐람에 연재
1960∼68년 영화 분과위원장, 영화-TV-예술 검열위원장, 문화부 고문 등 역임
`도적과 개들(1961)' `길(1964)' `나일 강가의 잡담(1966)' 등 발표
1971년 11월 공직을 떠나 알 아흐람 비상근 편집위원 역임하며 작품활동에 전념
`거울들(1972)' `빗속의 사랑(1973)' `알 하라피시의 학살(1977)' `성자 무덤 가의 결혼(1981)' `남은 건 한 시간뿐(1982)' 등 발표
1988년 노벨문학상 수상
1994년 이슬람 근본주의자 암살 공격. 이후 자택에 칩거하며 작품활동
2006년 8월30일 노환으로 타계
728x90
'딸기가 보는 세상 > 인샤알라, 중동이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라크는 '미국의 적들'에게 넘어갔나 (0) | 2006.11.24 |
---|---|
3년 전 이라크, 지나간 이야기 (0) | 2006.11.13 |
지나간 뉴스지만 너무 미워서 (0) | 2006.10.30 |
터키가 나빠, 프랑스가 나빠? (0) | 2006.10.18 |
오르한 파묵, 그리고 터키라는 나라 (0) | 2006.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