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아메리카vs아메리카

워싱턴의 한인 교육감 미셸 리

딸기21 2008. 4. 1. 17:08
728x90

공교육 붕괴로 악명 높았던 미국의 수도에서 교육개혁을 책임지는 교육감으로 임명돼 이목을 끌었던 미셸 리(37·사진·한국명 이양희)가 1일 워싱턴 시내 교육위원회에서 한국언론재단 지원으로 미국을 방문한 한국 기자들과 만나 교육개혁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그간의 성과, 그리고 한국의 교육을 바라보는 시선을 털어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워싱턴에서 40여년만에 최초의 소수민족 출신 교육감이 된 그는 한국인 2세로, 지난해 6월 에이드리언 펜티 시장에 의해 전격적으로 발탁됐다. 당시만 해도 워싱턴포스트등 현지 언론들은 30대 중반 한국계 여성이 아프리카계 주민들이 70%를 차지하는 워싱턴의 교육개혁을 책임질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들을 많이 보였다. 


하지만 취임 9개월이 지난 현재, 그는 "주변의 시선에 굴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해내고 있다"고 스스로 평가했다. 교육감이 되어서 그가 실시한 최대의 조치는 공립학교들을 `구조조정'한 것. 그는 아홉달 동안 전체 공립학교 교장의 30%를 교체했고, 학업성적과 학습분위기에서 문제가 심각했던 23개 학교를 아예 폐교시켜버렸다.

두 딸을 시내 공립학교에 보내고 있다는 그는 "워싱턴 시의 학생 1인당 교육예산은 미국 최대인데 학업성취도는 바닥이고, 빈부 간 교육격차도 가장 벌어져 있는 상태"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교육개혁 필요성을 역설했다. 물론 구조조정 과정에서 반발도 적지 않았다. 


처음 폐교조치를 내렸을 때엔 반발하는 이들이 교육위원회 앞으로 몰려와 소리를 지르고 물건을 집어던진 적도 있다고 했다. 워싱턴은 공교육 개혁이 오랜 화두였지만 지난 9년간 교육감 6명이 자리를 바꿀 정도로 실패가 많았고 당국에 대한 주민들의 불신도 뿌리가 깊었다. 리 교육감은 "오직 아이들을 위해 신념을 가지고 밀어붙였다"면서 "내가 여성인 것, 아프리카계가 아닌 것 따위는 아무 문제가 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미시건주 출신으로 명문 코넬대학과 하버드대학에서 공부한 `더블 아이비리거'인 리 교육감은 취임 이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도심 빈민가의 학교에서 교사로 3년간 일한 것이 교육 경험의 전부였다. 


그가 현장에서 포착한 것은, "교사들부터 바뀌어야 한다"는 것. 그는 교사들을 재교육시키고 의지를 북돋우는 `뉴 티처스 프로젝트(New Teachers Project)'를 추진, 단기간에 아프리카계 학생들의 성적을 높이는데 성공해 미국 언론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요즘 그는 당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직 사회에 `경쟁'과 `성과' 같은 개념을 도입하기 위해 전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교사들을 평가, 최대 2배까지 급여에 격차를 두는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고 교원 고용계약을 갱신하기 위해 워싱턴 시내 교원노조들과 협상을 벌이고 있다. 리 교육감은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라며 정치적 이해관계에 휘둘리는 당국과 집단이기주의에 빠진 교사들과 노조를 질타했다.

8년 임기의 첫날을 소년범 수용소에서 시작했던 리 교육감은 영어에 `올인'하는 한국 교육에 대해서도 일침을 놓았다. 그는 자신의 조카들도 서울에 아버지만 남겨둔 채 워싱턴에서 학교에 다니고 있다면서 "극심한 압력 속에서 사는 한국의 아이들이 좀더 개방적인 곳에서 다양한 교육을 받을 기회를 갖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기러기 아빠(goose father)가 되는 것까지 감수하면서 자녀교육만을 최상의 가치로 삼는 한국의 문화에는 문제가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육감이 된 뒤 한국의 교육 현실에 대해서도 들을 기회가 많았다"면서 "교원단체의 이익집단화, 빈부간 교육격차 같은 문제들에 한국 정부와 사회가 적극 대처하지 않는다면 결국 아이들에게로 갈 혜택만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충고했다.

--

인터뷰 장소에 캐주얼한 차림으로, 껌을 씹으면서 나타난 긴 머리의 미셸 리.
정말 당당하고 똑똑한 사람이었다. 아주 인상적이었다.

교육철학은 좀 걱정스러웠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