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한국 사회, 안과 밖

[아프간 인질 피랍사태] 한국이 아프간에 '정보채널' 없는 이유

딸기21 2007. 7. 27. 18:29
728x90

아프가니스탄 한국인 피랍사건과 관련, 협상 소식들이 외신 보도를 통해 단편적으로 들어오면서 해석과 인용이 난무하는 등 혼선을 빚고 있다. 사안의 민감성을 감안할 때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부분이 많고 협상이 곡절을 빚는 것이 일견 당연하지만, 한국 정부ㆍ언론ㆍ비정부기구 등 모든 분야에서 적절한 정보 채널이 없다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요인이다.


2001년 아프간전쟁 이후 한국은 카불 일대에 다산ㆍ동의부대를 파병하고 일부 재정적 지원을 약속하긴 했지만 적극적인 지원을 하지 않은 탓에 제대로 된 채널을 구축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많다. 한마디로 아프간을 "너무 몰랐다"는 것. 옆나라 일본과 비교해봐도 이는 분명히 드러난다.


지갑 여는데 인색한 한국


한국은 아프간전, 이라크전 등 2001년 9ㆍ11 테러 발생 이후 미국이 일으킨 전쟁을 잇달아 지원했고, 국제사회의 시선과 안팎의 비난을 무릅쓰면서까지 군대를 파병했다. 그러나 해당국들의 재건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뒷받침은 충실히 해주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현재 외교통상부와 독일 연방 경제협력개발부, 주아프가니스탄 독일 대사관, 미국 국무부, 일본 외무성 등이 밝힌 각국 아프간 재건 지원 계획을 들여다보면 경제규모가 크면서도 돈 내는데 유독 인색한 한국의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2년1월 일본 도쿄(東京)에서 열린 아프간 원조국 회의에는 61개 국가와 21개 국제기구 대표들이 참석해 5년간 총 45억달러(약 4조원)를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한국은 향후 2년반동안 4500만달러를 내기로 합의했다. 같은 기간 일본은 5억달러를 내기로 했다. 2년 뒤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원조국 회의에는 65개국이 참석해 3년간 82억달러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한국 정부의 추가 지원 약속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열린 영국 런던 원조국 회의에서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은 또다시 추가 지원을 약속했다. 한국은 향후 3년간 2000만달러를 지원하되 1000만달러는 무상, 1000만달러는 유상으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부족장 회의에서 미디어 복구까지 일본이 지원

GDP규모에서 한국의 5배인 일본은 아프간에 한국이 주는 돈의 18배 가까운 지원을 해주고 있다. 일본 외무성 아프간 재건지원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은 원조국회의 때 약속한 특별지원금 뿐 아니라 공적개발원조(ODA)를 포함해 2001∼2007년 약 12억 달러 이상을 지원했다. 자금 지원도 체계적으로 이뤄진다. 일본은 빈민 구호물품 제공 등 인도적 지원에 1억6100만 달러를 썼고, ▲평화정착 지원 ▲치안 향상 ▲인프라 재건 보조 등 3개 분야로 나뉘어진 포괄적 재건 지원에 10억4000만달러 가량을 썼다.
 

그만큼 일본이 아프간에 탄탄한 기반을 갖게 된 것은 당연하다. 탈레반이 무너뜨린 바미얀 불교유적지 복원과 지뢰 제거, 아편재배 근절프로그램 등 아프간 정치ㆍ사회ㆍ경제분야 전반의 재건 프로그램을 세세히 나눠 인력을 파견해 지원해왔기 때문이다. 2002년 아프간 과도정부 수반을 뽑고 헌법을 정하는 부족장ㆍ종교지도자 대회의 `로야 지르가'를 치르기 위한 돈조차 일본에서 나왔다.

아프간 전문가도 없는 한국

반면 한국은 아프간 전문가는 물론이고 현지 언어가 가능한 인력조차 거의 없다. 아프간은 아랍 이슬람국가들과 달리 이란ㆍ인도권 국가이기 때문에 중동 쪽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프간 주요 언어인 파슈토ㆍ다리어를 할수 있는 인력이 없을 뿐 아니라 조언이나 자문을 할만한 전문가도 마땅치 않다.

국내 중앙아시아 관련분야 학자들은 대개 몽골,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지역 전문이고 간혹 파키스탄 전공자가 있을 뿐이다. 한 중앙아시아 전문가는 "아프간 문제를 잘 아는 이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아랍어를 전공한 중동 전문가들이 외신 보도를 읽고 광범위한 이슬람권 전반의 문제를 아울러 말하는 정도에 그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