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얘기 저런 얘기

돌리 탄생 10주년

딸기21 2006. 7. 4. 21:45
728x90

오는 5일은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복제양 `돌리'가 태어난지 10년이 되는 날이다. 돌리의 탄생은 전세계에 큰 충격을 던져줬다. 돌리의 후예들인 여러 복제동물들이 뒤를 이어 태어났고 생명공학의 미래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봇물처럼 터져나왔다. 생명공학 시대를 상징하는 일대 사건으로 받아들여지면서 열광과 우려를 한몸에 받았던 돌리는 죽고 없지만,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아빠 없는 복제 양


영국 스코틀랜드 로슬린연구소의 이언 윌머트 박사가 돌리의 탄생을 세계에 알린 것은 1997년2월22일. 복제의 대상인 어미양의 젖샘세포에서 유전자를 복제해 인공적으로 `제작'한 돌리의 탄생은 외신을 타고 일제히 전세계에 타전됐다. 돌리의 탄생은 충격 그 자체였다. 암수 유전자가 합쳐져 새 생명체가 탄생한다는 자연의 원리를 무너뜨린 인간에 대한 경외심과 생명공학의 미래에 대한 찬란한 전망이 쏟아져 나왔고, 동성애자들이 돌리 탄생을 반기며 축제를 벌이는 진풍경까지 연출됐다.

세계의 눈길은 로슬린연구소가 있는 스코틀랜드 에딘버러로 쏠렸다. `클론(clone)'이라는 낯선 생물학 용어가 대중화되는 순간이었다. 더이상 생명공학은 실험실에서 일어나는 비밀스런 일이 아닌, 일반인들도 피해가기 힘든 논쟁적인 주제가 됐다.

클론은 원예에서 꺽꽂이용 나뭇가지를 가리키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말이다. 원래는 단세포생물의 자기복제를 가리키는 용어였지만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생명복제 가능성이 열리면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복제생물을 가리키는 말로 굳어졌다.




날 때부터 늙은 돌리


인간의 기술로 처음 복제동물을 만들어낸 것은 반세기 전인 195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 워싱턴의 카네기연구소 연구팀은 개구리 난자를 갈라 올챙이를 복제해내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생식세포가 아닌 체세포의 핵을 끄집어내 이식하는 방식의 동물복제가 처음 이뤄진 것은 돌리에 이르러서였다.

돌리 탄생 2년 뒤 일본 연구팀들이 생쥐와 소를 복제하는데 성공했고, 2000년에는 미국 연구팀이 Rh 항체의 제공자로 잘 알려진 붉은털원숭이(rhesus monkey)를 복제해내 영장류 복제의 길을 열었다. 고양이, 노새, 말에 이어 2005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가 발표한 복제개 `스너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동물복제가 줄을 이었다.

그러나 동물 복제라는 과학적 성과에 대한 환호와 함께 우려도 커지기 시작했다. 당장 돌리만 하더라도, 과연 성공한 복제였느냐 하는 의문을 피할수 없었다. 돌리는 무려 277차례의 시도 끝에 유일하게 살아남은 배아에서 태어났다. 돌리 이후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복제 성공률은 2∼5%에 불과하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른 노화현상이었다. 6년생 양의 유전자를 받은 돌리는 날 때부터 조기에 노화현상을 보였고, 폐질환 때문에 결국 2003년 안락사됐다.

섣부른 복제열풍을 우려하는 과학자들은 동물 복제의 성공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점, 복제된 동물이 크고 작은 유전적 결함을 갖는다는 점, 복제된 동물끼리의 교배에서 비정상적인 유전형질이 증가한다는 점 등을 거론한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3일자 인터넷판 기사에서 "돌리 이후 복제동물 10여 마리가 뒤를 따랐지만 과학자들이 깨달은 것은 복제의 불완전성"이라고 지적했다.


끝나지 않은 논쟁


돌리가 젖샘세포에서 빼낸 유전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진정한 체세포 복제로 볼 수 없다는 과학적 반론, 복제동물의 성공가능성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점 외에도 돌리는 훨씬 더 많은 윤리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돌리가 태어난 뒤 외계인 도래설을 신봉하는 라엘리언 그룹 등 다양한 유사종교 집단들이 인간복제를 시도하겠다고 선언했다. 돌리로 인해 잠재적으로 인간복제 가능성이 열리게 된 것은 사실이다. 이는 거센 논쟁으로 이어졌다. 영국의 리처드 도킨스와 미국의 스티븐 제이 굴드 등 생물학계를 이끌었던 당대의 석학들이 나서서 생명공학의 윤리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돌리는 이례적으로 과학계의 논란을 상아탑 밖으로 끄집어내, 일반인들까지 논쟁의 대열로 끌어들였다. 그 이후 쏟아져 나온 `대중적인' 과학서적 붐에서 알 수 있듯 돌리는 과학 논쟁을 대중화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로마가톨릭 등 보수적인 종교세력과 환경운동가들은 "생명과 자연을 파괴하고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생명복제에 반대하고 있다. 반면 과학기술 낙관론자들은 "일란성 쌍둥이와 똑같은 것일 뿐"이라며 일축하고 있다.

극도로 민감한 생명 복제 문제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 막대한 돈이 걸린 복제기술의 개발을 지원해야 하는지, 문 닫힌 실험실에서 이뤄지는 생명공학 연구를 사회가 어떻게 감시할 것인지 하는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황교수 사건과 세계 곳곳에서 일어난 배아줄기세포 연구 논란 등, 생명 복제를 둘러싼 논란은 돌리가 인류에 던져준 숙제인 셈이다.


  제, 젠장... '둘리 탄생 10주년'으로 읽고 딸기님이 실수하셨나 생각했어요 ㅜㅜ 2006/07/04  < a>  
  으하하 둘리 ^^ 2006/07/04  < a>  
  ㅋㅋㅋ 둘리는 벌써 성년인걸요, 그래도 언젠가는 줄기세포도, 기관복제도 가능하길 바라마지 않습니다... 2006/07/04  < a>  
  둘리를 복제하는거야 2006/07/05  < a>  
  맞아요!! 매너놈도 그 말을 하고 싶던 것이에요! 둘리복제!! 2006/07/05  < a>
728x90

'이런 얘기 저런 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얼굴에 독을 발라라  (0) 2006.08.1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그리고 '피클'  (0) 2006.07.12
로마에서  (0) 2006.06.30
이들의 우정  (0) 2006.06.28
워런 버핏의 '마지막 투자'  (0) 2006.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