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말 시리아 반정부군이 정부군 측의 화학무기 사용 의혹을 제기했을 때,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것이 확실하다면 미국 뿐 아니라 국제사회 모두에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이 극도로 경계해온 대량살상무기(WMD) 사용이라는 ‘금지선(red-line)’을 넘는 게 될 것이라는 경고도 덧붙였다.
21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부근에서 화학무기로 인해 수백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전해지면서, 시리아 사태는 완전히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건은 시리아 위기의 진정한 ‘게임 체인저’가 되는 셈이다.
사상자 수는 엇갈리고 있지만, 현지 구호단체들과 반정부군 측은 650~1300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전하고 있다. 대규모 사망자가 발생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구호활동가들은 다마스쿠스 교외에 있는 아인타르마와 자말카, 조바르 지역에 새벽 3시(현지시간)쯤 화학무기가 실려있는 로켓이 날아들었다고 전했다.
구호기구 연합단체인 지역조정위원회 활동가들이 인터넷에 올린 동영상과 사진들에는 학교와 병원, 임시치료소 등에 수십구의 시신들이 안치돼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시신들은 뚜렷한 외상이 없어, 신경가스로 인한 사망일 가능성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희생자들은 대부분 아이들과 여성들이다.
이미 지난 3월부터 시리아 정부군이 대도시 알레포 근교 등지에서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정부 측은 반대로 “반정부군이 화학무기를 쓰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 때문에 유엔 화학무기 조사단이 지난 18일 시리아에 입국해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이번 대규모 사망사건에 대해 반정부군과 구호단체들은 화학무기 공격이 분명하다고 주장하지만, 시리아 정부는 “전혀 근거 없는 소리”라며 국영방송 등을 통해 강력 반박했다. 유엔 조사단이 들어와 있다는 점, 더군다나 조사단이 체류하는 다마스쿠스에서 가까운 곳에서 벌어진 일이라는 점 등으로 봐서 정부군 공격으로 단언하기엔 의구심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영국 제인스 테러·봉기연구소 분석가 찰스 리스터는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이런 시점에 시리아 정부가 그런 장소에서 화학무기 공격을 했다면 이해하기 힘든 일”이라면서 “하지만 해당 지역은 반정부군의 거점이었던 데다 정부군과의 교전이 계속되던 상황이었다”고 지적했다.
과거 이란-이라크전쟁 때, 그리고 이라크 사담 후세인 정권의 쿠르드족 학살 때 화학무기가 쓰인 사실이 알려져 있지만 20세기 후반 이후의 내전·분쟁에서 화학무기가 이처럼 대규모로 쓰인 것은 전례가 드물다. 미국은 화학무기를 핵무기, 생물학무기와 함께 대량살상무기(WMD)로 규정하며 확산을 극력 막아왔다.
하지만 시리아는 화학무기 보유·사용을 금지한 어떤 종류의 국제협약에도 가입하지 않은 극소수 국가 중 하나다. 미국 정보회사 글로벌시큐리티는 2007년 시리아가 200~300톤 분량의 화학무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린, 타분(GA), VX, 겨자가스 등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한 바 있다. 군사 전문가들은 세린, 하마, 홈스, 라타키아, 팔미라 등 5곳에 화학무기 생산시설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시리아 내전이 2년 반을 넘어섰고 사망자는 10만명을 훨씬 웃돌지만 시리아 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은 미온적이었다. 이스라엘·요르단·터키·이라크 등과 접경하고 있는 지정학적 복잡성 때문에 개입이 쉽지 않았던 탓이다. 인구밀도가 낮고 군사적 거점이 한정돼 있는 리비아와 달리 시리아는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가 많아 ‘군사적 대응’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다.
리비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자국민 학살 뒤 공습을 가했던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는 시리아에 대해서는 의견일치를 보지 못했다. 러시아와 중국이 바샤르 알아사드 정부를 지원해주고 있다는 점도 미국과 유럽의 발목을 잡았다.
미국과 유럽은 시리아 난민들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구호품 지원을 형식적으로 해오다가 올들어 살상무기를 뺀 군수품 등의 지원을 늘리고 있었다. 하지만 무기지원 등을 놓고는 의견이 분분했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화학무기 의혹과 주민 피해만 불어나고 있었다.
이번 참사가 발생함으로써, 미국은 시리아 사태에 대한 대응을 미루다가 참사를 초래했다는 비난을 면하기 힘들게 됐다. 이번 사건으로 미국과 나토의 시리아 대응이 전격적으로 변화할지도 주목된다. 1988년 이라크의 화학무기 사용 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쿠르드족이 사는 북부 지역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는 강수를 뒀다.
시리아의 경우 정부군이 화학무기 사용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고 유엔 조사가 진행중이라는 점, 미국과 나토가 군사행동에 나서기엔 여의치않은 형편이라는 점에서 즉각적인 대응책을 내오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딸기가 보는 세상 > 인샤알라, 중동이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리아에 무력 써야" 화학무기 공격 뒤 기류변화 조짐 (0) | 2013.08.23 |
---|---|
'군사개입', 리비아는 했는데 시리아는 못 하는 이유 (0) | 2013.08.22 |
이집트 군사 원조, "해도 욕먹고 끊어도 욕먹는" 미국의 딜레마 (0) | 2013.08.21 |
무슬림형제단 지도자 무함마드 바디에 체포... '85년 역사상 최대 위기' (0) | 2013.08.20 |
기로에 선 이집트... '범국민 시위'냐, 무슬림형제단의 와해냐 (0) | 201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