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네 책방

시린 에바디, 'IRAN AWAKENING' -배신당한 혁명과 이란 여성의 투쟁

딸기21 2008. 9. 15. 17:57
728x90

IRAN AWAKENING- One Woman‘s Journey to Reclaim Her Life and Country

Shirin Ebadi. RANDOM HOUSE



2003년 노벨평화상을 받은 이란의 여성 인권변호사 시린 에바디의 자서전이다. 국내 번역본에는 <히잡을 벗고, 나는 평화를 택했다>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또 아자데 모아베니라는 ‘공저자’의 이름이 표기돼있는 것을 보면 편집이 조금 다른 것 같기도 하다. 나는 랜덤하우스에서 나온 영어판으로 읽었는데, 한국어판 책 제목으로 보면 번역자와 기획자의 소양이 조금 부족하지나 않았을까 하는 우려가 생긴다. 


(* 책을 한번 보지도 않고 이런 지적을 하긴 좀 뭣하지만, ‘히잡을 벗고’라는 표현을 버젓이 써놓은 것을 보니 의아스럽다. 히잡이 이슬람 여성들의 머리 쓰개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명칭이기는 하지만 보통 이란에서는 몸통을 가리는 ‘차도르’를 많이 쓴다. 영어본에는 모두 ‘차도르’로 돼있는 것 같던데, 쩝. 이란은 이슬람권이지만 아랍어를 쓰지 않기 때문에 좀 다른 어휘들이 많이 나오는데 번역이 어떻게 돼 있을지 잘 모르겠다.)

 

에바디가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결정됐다는 소식을 듣던 때가 기억에 생생하다. 


에바디를 소개하는 기사를 썼고, 그 다음날에는 ‘에바디가 차도르를 쓰지 않고 기자회견을 했다는 이유로 보수파들의 공격을 받았다’는 기사를 썼다. 이란 사회의 단면은 늘 그런 것이었을까. 


주변 사람들에게 늘 이야기하지만, 나는 한번 가보지도 않은 이란이라는 나라에 말도 안 되는 애정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바로 그 이란에 대한 이야기다. 이란의 역사, 이란의 여성들, 이란의 이슬람, 이란의 혁명, 이란의 억압과 인권탄압에 대한 이야기. 시작은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에바디의 어린 시절 이야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뒤이어 나오는 것은 민족주의자였던 모사데크 정권의 붕괴(<감히> 석유산업을 국유화한 모사데크 총리는 CIA의 도움을 얻은 레자 샤의 쿠데타로 축출됐다)와, 파흘라비 왕조의 독재 같은 정치적인 진행과정들이다.

에바디의 표현을 빌면, 1979년의 이슬람 혁명은 그보다 10여년 전 미국이 모사데크 정권을 뒤엎어버린데 대한 이란인들의 ‘조금 뒤늦은 반발’이었다. 이런 역사의 진행과정은 2차 대전 이후 지구상 곳곳에서 일반화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민족주의 정권이 세워지고, CIA 혹은 미군이 직접 개입해서 민족주의 정권을 뒤엎은 뒤 독재정권을 세우고, 독재정권에 지치고 지친 국민들이 반발해 새 정권을 만들고... 다행히 여기서 ‘악의 사이클’이 끝나면 괜찮은데, 처음부터 또다시 이 과정에 반복되면 진정 불운이다.


다시 에바디의 회고록으로 돌아가면- 이슬람 혁명이 일어났다. 그저 우리 사회가 그랬던 만큼, 전근대에서 근대로 이행한 대부분의 사회가 그랬던 딱 그 정도만큼 ‘가부장적’이었던 이란에서 에바디는 테헤란국립대학을 졸업하고 법관이 되었다. 그리고 샤를 비판하는 공개성명에 자기 이름을 쓰는, 딱 그 정도로 ‘혁명’에 동참했다. 


뒤이은 이야기는 극적이다. 이슬람 혁명은 여성 판사 에바디를 법정에서 내몰았다. 혁명은 어떻게 사람을 배반하는가, 그 뼈아픈 스토리는 이란 이슬람 혁명에만 국한된 일이 아닐 것이다. 어쩌면 모든 혁명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혁명의 수레바퀴를 밀었던 사람들을 치이고 지나며 그렇게 배반을 하는 것이 아닐까.

 

배반당한 혁명. 이란인들은 이라크와의 전쟁, 혁명 보수파들의 탄압에 치이고 깔리고 피를 흘린다. 그러나 그들은 역사의 격랑에 빠져 침잠해 들어가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에바디 같은 사람이 있었으니까. 반정부 인사들을 무참히 살해하는 준군사조직의 폭력을 폭로한 악바르 간지 같은 언론인(만일 에바디가 노벨평화상을 받지 않았다면 이 사람이 받지 않았을까)이 있었으니까. 에바디는 무자헤딘 할크(인민무자헤딘-이란의 무장 이슬람조직)의 선전물을 뿌렸다는 이유만으로 나이어린 시동생이 사형당하는 아픔을 겪는다. 험난한 일상은 두 아이의 엄마를, 똑똑하고 적극적이었던 전직 여성법관을 투사로 만들었다.


책에는 이란의 여러 모습이 등장한다. 이슬람 혁명 전 그런대로 서구적인 분위기가 넘쳤던 메흐라바드의 거리, 온몸을 둘러 싸매고 즐기는 겨울스포츠라는 이유 때문에 스키가 여성들에게도 허용됐다는 에피소드, 작은 분수가 놓인 테헤란 중류층 가정집의 마당 풍경, 아무리 극악한 혁명정부일지라도 최소한 선거의 유효성만은 보장해 주었던 이란 신정체제의 독특한 특성, 그리하여 전혀 의도하지 않았던 ‘투표권을 가진 대졸 여성들’을 양산해낸 체제 등등. 그런 스케치들을 접하는 것만 해도 책을 읽은 보람이 있었다.


이란은 어디로 갈까. 책이 출간된 2004년까지만 해도, 비록 한계가 많긴 했지만 이란에서는 시대의 지성이라 할 수 있는 무하마드 하타미 대통령의 개혁파 정부가 집권하고 있었다. 1997년 하타미 정권의 등장은 지구촌에 쇼크를 먹인 일대 사건이었다. 그 후로 8년, 하타미 대통령의 연임이 끝난 뒤 치러진 2005년 대선에서는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라는 수구보수파가 압승해 또다시 세계에 충격을 안겨줬다.

이란이라는 나라, 지금의 모습이 어쨌든 정말 크고(크기도 크고 문명의 깊이도 깊고) 저력 있는 나라이긴 한 모양이다. 그 강고한 탄압 속에서 에바디 같은 여성들이 목숨 건 싸움을 하는 나라. 책을 읽는 동안 여러 번 울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