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구정은의 '현실지구'

[구정은의 ‘현실지구’]보스니아의 위태로운 평화는 지켜질 수 있을까

딸기21 2023. 8. 12. 14:16
728x90

청년이 난간에 섰다. 
 
한때 발칸의 화약고라 불렸던 곳,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서부 도시 모스타르. 해마다 이곳에서 7월 말 열리는 다이빙 대회 챔피언 출신인 청년은 까맣게 탄 몸에 차가운 물을 한번 끼얹고 10층 높이의 다리 위에서 시커멓게 흐르는 네레트바 강으로 뛰어내린다. 다리를 메운 구경꾼들에게 돈을 받고 보여주는 ‘퍼포먼스’다. 
 

유서 깊은 모스타르의 다리. 내전으로 부서졌다 복원됐다.

 
강을 사이에 두고 반질반질한 자갈이 깔린 길을 따라 상점들이 줄지어 있는 이 작은 도시는 오스만 시절 만들어진 다리로 유명하다. 강을 따라 교회의 종탑과 이슬람 사원의 미나레트(첨탑)가 번갈아 우뚝 솟아 있다. 이웃하고 마주보는 첨탑, 십자가와 초승달. 아이스크림을 들고 다니는 관광객들 사이로 군데군데 묘지가 있다. 묘석에 적힌 연도가 똑같다. 1993년의 죽음들. 폐허로 남은 건물들, 도처에 아직도 총탄 자국이 선명하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이 붕괴될 당시에 보스니아 내의 크로아티아계는 ‘크로아티아 국방위원회’라는 민병조직을 만들어서 이곳에 사는 무슬림 주민들을 학살했다. 15세기 오스만투르크 제국 시절에 만들어진 유서깊은 다리마저 끊었다. 두 동강을 낸 것이 아니라 양 옆의 망루만 남기고 아예 다리를 다 무너뜨렸다. 지금 서 있는 다리는 2000년대에 유네스코의 지원으로 다시 세운 것이다. 
 
모스타르 동쪽, 버스로 2시간 30분 거리의 사라예보. 이 나라의 수도, 1984년 동계 올림픽이 열렸던 도시다. 1차 대전을 일으킨 ‘사라예보의 총성’으로 더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세르비아계 청년 가브릴로 프린치프가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를 암살했던 라틴슈카 다리 옆 건물에 ‘1차 대전의 시발점’임을 알리는 사진들이 붙어 있다. 오스만 시절의 가지 후스레브베이 모스크를 중심으로 한 구시가지의 골목은 조금만 내려오면 유럽 스타일의 거리로 바뀐다.
 
바닥을 내려다보니 동서를 가르는 라인이 그려져 있다. 한 걸음 안쪽은 동양, 한 걸음만 내딛으면 서양. 동과 서가 만나는 곳이다. ‘성 심장 가톨릭교회’ 부근에 정교도들의 ‘성모 교회당’이 있고, 실개천만한 밀랴츠카 강 건너에는 ‘황제의 모스크’가 있다. 무슬림들에게 기도 시간을 알리는 모스크의 안내방송인 ‘아잠’과 교회의 종소리가 하루에도 몇번씩 번갈아 울린다.
 

사라예보 시내.

 
여기서도 묘지는 디폴트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절의 요새로 올라가는 언덕길에 새하얀 묘지석들이 여름 햇빛을 받아 반짝거린다. 모두 1992-1995년 숨진 사람들이다. 보스니아 북동쪽은 크로아티아와 이어져 있고, 동쪽은 세르비아와 맞닿아 있다. 보스니아 안의 정교도들이 세르비아의 부추김과 지원을 받아 내전을 일으켜 3년 넘게 사라예보를 봉쇄했고 잔혹한 학살극을 벌였다. 동과 서 뿐만 아니라 과거와 현재, 전근대와 근대, 문명과 야만이 뒤죽박죽 섞인 도시에서 시민들이 여름날을 즐긴다.
 
사라예보에서 다시 동쪽으로 2시간 남짓 자동차로 달리면 스레브레니차 마을이 나온다. 세르비아계의 ‘인종청소’로 무슬림 830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어른뿐 아니라 어린 소년들까지, 남성들은 다 골라내 수용소에 가두고 고문을 하고 학살을 했다. 그 많은 이들의 목숨을 빼앗는 데에 단 며칠 밖에 걸리지 않았다. 묘지에 적힌 기나긴 이름들, 한 집안이 몰살당했음을 보여주는 같은 성씨의 목록들. 아직 유해를 못 찾은 ‘실종자’가 1000명이 넘는다. 아직도 추적과 조사와 발굴과 매장이 이어지고 있다.
 

스레브레니차의 제노사이드 희생자 묘지.

 
묘지 옆 제노사이드(종족말살) 박물관은 유고 시절 차량용 배터리 공장이었던 건물이다. 학살이 벌어질 당시 스레브레니차는 유엔이 설정한 ‘안전지대’ 가운데 하나였고, 유엔군으로 파견된 네덜란드 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그러나 ‘더치뱃(네덜란드 여단)’으로 불리던 유엔군은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 심지어 유엔군 사령관이 세르비아계 학살자와 선물을 주고받기까지 했다. 지금 오래된 공장 건물은 학살 기념관이자 ‘유엔의 실패를 보여주는 기념관’으로 쓰이고 있다. 학살이 시작된 1995년의 그 날을 가리키는 ‘7.11’이라는 숫자는 한국의 ‘5.18’이나 미국의 ‘9.11’처럼 이곳 사람들에게 각인돼 있다. 지난달 11일에도 희생자 유족들은 추모식에 찾아와 통곡을 했고, 여기저기서 새로 ‘발굴’한 유해 30구가 그제서야 묘지에 안장됐다.
 
겉보기에는 안정되고 정갈한 사라예보, 관광객들로 넘쳐나는 모스타르, 기념관으로 남은 스레브레니차. 한국 절반 크기의 땅에 380만명이 살아가는 보스니아, 이곳 사람들에게 30년은 긴 세월일까, 짧은 세월일까. 
 
1995년 미국 빌 클린턴 정부의 중재로 세르비아, 크로아티아와 ‘데이튼 평화협정’이 맺어지면서 전쟁은 끝났다. 제조업은 유고 시절만큼도 못하고 코로나19에 관광산업마저 타격을 입었지만 1인당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만5000달러 선이니 가난하다 할 수는 없다. 교육 수준도 높고 주거환경과 생활은 안정적이다. 하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총탄 자국과 묘지들처럼, 정치는 복잡하다. 데이튼 협정으로 만들어진 헌법은 종교-민족집단 간 싸움을 막기 위한 권력 분점에 초점을 맞췄다. 그래서 무슬림, 정교도, 가톨릭교도를 대표하는 3명의 대통령이 4년 임기 동안 8개월씩 돌아가며 재임을 한다. 의회도, 각료회의도 여느 나라와는 다르게 운영된다. 
 

사라예보 시내의 내전 희생자 묘지

 
이 복잡한 체제는 늘 불안요인을 안고 있다. 내전 시절 세르비아계는 ‘스릅스카 공화국’이라는 정치체를 만들었는데 데이튼 협정은 그들의 존재를 인정한 채로 체결됐다. 그래서 무슬림이 다수이고 크로아티아계가 함께 사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계 정교도가 절대다수인 스릅스카가 한 나라 안에 공존하게 된 것이다.
 
스릅스카의 정치지도자들은 최근 자신들 지역에서 연방국가의 헌법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게끔 규정한 법안을 만들었다. 지난달 말 미국 국무부는 이 법안이 데이튼 체제의 뿌리를 흔드는 짓이라며 스릅스카 정치인 4명을 제재 리스트에 올렸다. 사라예보타임스 등은 이 조치를 환영하는 기사를 실었지만 심상찮은 분위기는 주변국들로까지 번지고 있다. 스릅스카를 지원해온 세르비아는 곧바로 “미국의 제재를 따르지 않겠다”고 했고, 헝가리도 스릅스카 편에 섰다. 문제의 법안을 발의하고 미국의 제재를 받게 된 스릅스카 정치지도자 밀로라드 도딕은 헝가리 극우파 오르반 빅토르 총리와 가까운 사이다. 
 

사라예보의 제노사이드 박물관에 있는 추모의 방.

 
1977년생 에미르는 사라예보에서 태어나 열 여섯 살에 봉쇄를 겪었다. 전쟁의 기억은 그에게 늘 현재진행형이다. 정교도나 무슬림이나 가톨릭 교도들이나 모두 수백년 동안 한데 어울려 살았는데 왜 그토록 잔인한 일이 벌어졌는지 “나도 보스니아인이지만 아직도 이해하지 못한다”고 했다. “나는 증오의 아이, 악마의 아이가 아닙니다. 나는 내 엄마의 아이일 뿐입니다.” 구시가지 골목길의 어린이 전쟁박물관에 걸린 전시물에는 전시 성폭행으로 태어난 아이의 증언이 걸려 있다. 어른이 되었을 그 아이는 이제는 행복해졌을까. 스릅스카가 다시 분란을 일으키면 보스니아의 아슬아슬한 평화는 언제고 흔들릴 수밖에 없다. 보스니아는 위태로운 평화를 지켜낼 수 있을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