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이웃동네, 일본

올 프리츠커 상은 일본 건축가 이토 도요오에게

딸기21 2013. 3. 18. 17:22
728x90

재작년 대지진과 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은 일본 센다이 시의 미야기노에는 ‘모두의 집’이라 불리는 나무 지붕의 작은 집이 한 채 서있다. 방 몇 개와 주민들이 함께 이용하는 거실로 이뤄진 특이할 것 없는 단층짜리 건물이다. 하지만 이 집을 설계한 이들의 면면은 눈부시다. 일본이 낳은 세계적인 건축가 이토 도요오(伊東豊雄·71)를 비롯해 야마모토 리켄, 구마 겐고, 나이토 히로시, 세지마 가즈요 등이 힘을 합쳤다.

 

도쿄 중심가 오모테산도의 TOD‘s 빌딩과 긴자 미키모토 빌딩 등으로 유명한 이토는 ‘모두의 집’ 외에도 이와테현 가마이시 재건계획의 자문을 해주고 있으며, 2년전 3·11 대지진 뒤 센다이 시가 입은 건물 피해들을 직접 조사하기도 했다. 


특히 센다이에 관심을 가진 것은, 이토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준 ‘센다이 미디어테크 도서관’이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 6년에 걸친 작업 끝에 2001년 완공한 이 건물은 ‘튜브’라고 부르는 쇠파이프들을 가지고 지탱하는 독특한 구조에 유리로 된 눈에 띄는 외양으로 센다이의 자부심이 돼왔다. 이 도서관은 “공공건물의 공간은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 보여준 모범”으로 건축계의 예찬을 받기도 했다.


   
2013 프리츠커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토 도요오. 왼쪽 오른쪽, 이미지가 꽤 다르죠? /AP


치명적인 피해는 아니었지만 미디어테크 도서관도 대지진으로 크고작은 손상을 입었다. 거대한 바위가 떼밀려와 건물 한쪽을 부쉈고, 지붕이 일부 무너져내렸다. 이토는 동료 건축가들을 모아 지진 피해지역의 재건에 함께 나섰다. 이토는 “재난이 건축물을 파괴함으로써 사람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아사히신문 인터뷰)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이토는 1941년 서울에서 태어나 2년 뒤 일본으로 건너갔다. 옛 식민지에서 일본으로 돌아간 ‘귀환 세대’다. 도쿄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훗날 자신의 이름을 딴 건축사무소로 바뀌게 되는 기쿠타케 기요노리 건축사무소에서 일을 시작했다. 1960~70년대 이뤄진 그의 초창기 작품들은 주로 일본인들의 ‘도시 생활’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경제성장과 함께 풍요로워진 도쿄 같은 대도시 주민들의 주거환경이 주요 관심사였다. 남편을 잃은 여동생을 위해 설계한 ‘화이트U’, 도쿄 ‘노마드 걸 프로젝트’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다.


1980년대 후반 이후 그의 시선은 ‘집’을 떠나 ‘함께 하는 공간’으로 옮겨갔다. 공공의 공간을 구현하는 데에 관심을 쏟으면서 요코하마 ‘바람의 타워’ 같은 건물을 지었고, 도쿄 도심의 상업건물들에도 손을 대 특색있는 풍경을 만들었다. 영국 런던의 서펜틴 갤러리 파빌리온, 칠레 마르베야의 주택단지 ‘화이트 O’,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스위츠 애비뉴 빌딩, 싱가포르의 쇼핑몰 ‘비보시티’, 대만 카오슝의 월드게임스타디움 등 세계 곳곳에 그의 작품들이 흩어져 있다. 


대지진은 이토를 다시 ‘집’으로 돌아가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번엔 주안점이 다르다. 초창기 이토의 ‘집’들이 도시민들을 위한 내부 설계에 치중한 것이었다면 지금은 ‘어우러진 삶’이 건축의 주제가 됐다. 


“집을 잃은 노인 한분이 내게 오더니 이재민 수용소에서 지내는 게 좋다고 했다. ‘함께 식사를 하니 좋더라’라는 것이었다.” 


그 얘기를 들으며 이토는 ‘재건 건축’의 방향을 잡았다. 눈에 띄는 디자인은 아니어도 ‘모두의 집’처럼 누구든 몸 녹이며 쉬어갈 수 있는 곳을 만들기로 한 것이다. 


“경제가 1순위에 놓이는 사회에서는 자연과 공동체성을 건물에 녹여내기가 힘들다. 지진 때문에 기차들이 멈추자 모두들 거리로 나서 피난소를 찾았고, 그러면서 함께 한다는 것의 의미를 발견하게 됐다. 이런 공통의 감정을 (건축물에) 반영하는 것이 관건이다.”


요코하마에 있는 '바람의 타워'


에히메현 이마바리 시에 있는 이토 도요오 건축박물관

(일본어 이름은 이토 도요오인데, 영어로는 TOYO ITO 라고 씁니다;;) /AP


대만 카오슝의 World Game Stadium. /AP


이것이 바로 이토의 대표작인 센다이의 미디어테크 도서관. /AP


일본 구마모토 현 야쓰시로 시의 시립박물관. /AP


바르셀로나 복합 단지 '피라 바르셀로나- 그란 비아 베뉴' 


도쿄 긴자의 미키모토 빌딩


여기가 바로 '모두의 집'. 사진/ atoh490625.blog50.fc2.com

 

돈 있는 이들, 힘 있는 기관의 전유물로 여겨지기 쉬운 건축을 ‘삶의 공간’으로 끌어온 이토는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게 됐다. 프리츠커상을 시상하는 미국 하얏트 재단은 17일 홈페이지에 이토가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7명의 심사위원들은 “시대를 초월한 건축, 새로운 발견을 향한 헌신에 높은 점수를 줬다”면서 이토가 보여준 ‘사회적 책임’도 선정의 주요한 요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선정 소식을 들은 이토는 “건축은 여러가지 사회적 제약을 받게 되는데 그런 제한에서 잠시라도 자유로워지면 좀더 편안한 공간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으로 설계를 한다”며 “내 작품에 결코 만족하는 일은 없겠지만, 후회하고 고쳐나가는 일을 반복하면서 앞으로도 내 스타일을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프리츠커상의 상금은 10만달러(약 1억1000만원)이고, 오는 5월 보스턴에서 시상식이 열린다. 특이하게도 이 상의 수상자에겐 금메달이 아닌 동으로 된 메달이 주어진다. 일본 건축가의 수상은 이번이 6번째다. 지난해엔 중국의 왕슈가 받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