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크먼, <평화의 지정학>
평화의 지정학
니콜라스 존 스파이크먼. 김연지 외 옮김. 섬앤섬. 4/7

강연록 정리한 것이라 짧지만 흥미로웠다. 뒷부분 한국 학자들이 각기 해제 성격의 글을 올려 둔 것도 재밌게 읽었다.
독일과 일본은 1941년 이후로 두 개의 다른 전선에서 벌어지는 두 가지 유형의 전쟁, 즉 대륙 전쟁과 수륙양면 전쟁에 개입되어 있다는 사실 때문에 큰 곤란을 겪고 있었다.
오직 해전만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앵글로색슨의 두드러진 편견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러시아와 중국의 육군력이 영향을 미치는 육지의 전장도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자각했다. 유럽의 해안과 태평양의 섬에 상륙했더라도, 러시아와 중국의 전선이 없었다면 독일과 일본의 힘을 물리치기에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러시아의 힘은 우랄산맥의 서쪽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해 있었고, 중국의 힘은 대부분 해안 지역에 놓여 있다. 따라서 대륙에서의 전투 전선은 자국의 힘만으로는 유지될 수 없었고, 미국과 영국의 군수로 보강되어야만 했다. 러시아와 중국의 육군은 당연히 전체 연합국 전쟁 계획의 일부였다.
러시아로 들어가기 위해 유라시아 대륙의 육지에 갇혀 있는 하트랜드 지역에 접근해야 했다. 구세계의 지형을 통해 이 지역으로의 통항로가 극히 소수이고, 그것마저 제한적 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100-101
전략적 지점의 본질을 결정짓는 기본적인 지리적 요인들은 전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더라도 제거되지 않을 것이다. 이번 전쟁의 전투 지대를 구성했던 힘의 중심지들은 계속해서 평화를 조성하기 위한 전략 지역이 될 것이다.
전후에는 싸우지 않고도 동일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정책을 수행해야 한다.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적 관계를 판단하는 데 활용했던 지형적 특성에 대한 이전의 분석은 구세계의 잠재적 갈등 영역이 어디인지를 알려줄 것이므로, 그곳에 대한 정책을 수행해야 한다.
-103
전후 시기에는 신장지역과 외몽골에 대한 지배와 영향력을 놓고 러시아와 중국 간의 계속되는 투쟁을 보게 될 것이다. 실제로, 러시아의 림랜드에 대한 압력이 전후 안정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다음의 갈등 영역은 림랜드 내부에 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 독일 및 동유럽 국가 간의 힘의 분배가 계속해서 중요할 것이다.
인도양과 유라시아 연안의 극동 지역에서는 민족주의의 성장과 그에 따른 민족국가들 사이의 긴장이 매우 중요해질 것이다. 인도가 독립한 후에 통합에 실패한다면, 인도반도의 많은 작은 국가들 사이에 엄청난 충돌이 발생할 것이다.
-104-105
우리는 그린란드와 알래스카의 새로운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그 이유는 북극해의 경제 지형이 아니라 발트해와 일본해(동해)의 군사 지형에 있다.
미국의 평야와 공장에 서의 산출물들은 대권해로를 통해 유럽과 아시아의 시장으로 계속 수송될 것이다.
이러한 사실 때문에 미국이 구세계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해양력 수단에 의존해야 한다. 이 접근로의 효율성은 미국 외교정책의 성격을 결정할 것이다.
전후 프랑스의 위상은 협력해서 유럽의 안보를 보장할 수 있을 만큼 강해지지는 않을 것이 확실하다. 반면 러시아는 대륙에서 가장 강력한 육군세력이 될 것이기에, 러시아를 동맹국으로 삼는 것이 영국과 미국에 유리할 것이다. 사실 유럽의 림랜드에 대한 패권을 쥐려고만 하지 않는 한, 소련은 평화를 집행하는 데 있어 가장 효과적인 대륙 기지가 될 것이다.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