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인샤알라, 중동이슬람 829

투탕카문 무덤 ‘비밀의 방’ 미스터리 풀릴까

1922년 11월 4일, 영국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가 이집트 룩소르의 ‘왕들의 계곡’에서 투탕카문(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견해 세계를 놀라게 했지요. 소년왕의 죽음을 둘러싼 숱한 수수께끼와 ‘신화’도 세계에 퍼졌습니다. 무덤을 발굴한 이들이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는 루머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됐으나, 투탕카문의 무덤을 둘러싼 미스터리는 지금도 끊이지 않습니다. 오래 전 이집트를 여행갔을 때 저는 참 무식하고 후회스럽게도 게으른 가이드의 꾐에 빠져 '왕들의 계곡' 씩이나 가놓고도 투탕카문 무덤 대신 다른 무덤들만 들어가봤다는 엉엉엉 ‘투트’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파라오의 황금가면과 무덤은 이집트에 지금까지 막대한 외화를 벌어주는 ‘효자’입니다. 그런데 최근 이집트가 다시 투탕카문 미스터리로 시끌시끌합니다. ..

사우디 '하지' 순례객 압사사고, 최소 717명 사망

하지는 모든 이슬람 신자들의 ‘5대 기둥(의무)’이라고 부르는 것 중의 하나인 성지순례를 가리킨다. 하지 끝의 희생제인 ‘이드 알 아드하’는 이슬람의 최대 명절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축제가, 대규모 참사와 함께 비극으로 변하게 됐다. 희생제 날인 24일 25년 만에 최악의 사고가 일어난 탓이다. 해마다 닷새에서 일주일 정도 진행되는 하지에는 순례객들이 대거 몰린다. 순례자들은 메카의 대(大)모스크 가운데에 있는 ‘카바’라는 검은 돌에 입을 맞추고 5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미나 계곡에서 밤을 보낸다. 마지막 날에는 메카 부근의 아라파트 평원에서 돌을 주워와 미나 계곡에 있는 ‘마귀 돌기둥’에 돌을 던지며 악마를 쫓는 상징적인 의식을 한다. 사고는 사람들이 마귀 돌기둥이 있는 쪽으로 이동해 가는 와..

차이나쇼크 직격탄 맞은 사우디와 유가 흐름

중국 경제가 심상찮습니다. 지난 6월 한 차례 상하이 증시 대폭락, 정부의 인위적인 ‘증시 부양’, 그리고 7월의 더 큰 폭락. 이어서 8월에는 중국의 석유화학 산업 단지이자 수출항인 톈진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중국 경제가 휘청거린다는 분석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세계의 공장’이 가동을 조금이라도 줄이면, 전 세계로 그 여파가 미치게 되죠. 중국 경제의 찬바람, 그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은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산유국들입니다. 지난해부터 미국 셰일가스 업체들과 출혈경쟁을 벌여온 사우디는 중국 경제가 흔들리면서 더 큰 타격을 입게 됐습니다. 미국 셰일가스와의 경쟁도 경쟁이지만, 이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 및 독일, 이른바 P5+1과 지난 7월 핵협정을 마무리했습니다. 미국 의회가 ..

팔레스타인 영화, '오마르'

지난 토요일에 디아스포라 영화제에서 상영된 '오마르'를 봤다. 영화 한 편을 보기가 내겐 왜 그렇게 힘겨운지. 시간이 없거나 돈이 없어서;; 영화를 보지 못한다는 게 아니다. 나는 영화 한 편을 '처음부터 끝까지 보는 일'이 몹시 힘들고 부담스럽다. '진지한 영화'를 보고, 눈 앞에서 펼쳐지는 시각적 효과에 집중하고, 그 내용과 메시지를 곱씹는 일이 고되다. 영화보다 더 힘들고 무거운 현실이 넘쳐나는 판에... 라고 핑계를 대본다. 이 영화가 아랍영화제에서 상영된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보지 않았다. 그러다가 결국 '오마르'를 만났으니, 이 또한 '피할 수 없는 숙제'였던 것일까. 영화는 '장벽'에서부터 시작된다. 아마도 (끝났다고 하지만 끝나지 않은) 이스라엘의 불법 점령 속에,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어딘가..

터만 남은 팔미라 신전, 위성사진으로 확인  

결국 신전은 사라졌다. 30t 분량의 폭약이 터지면서, 2000년을 버텨온 신전은 돌더미가 되고 말았다.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지난달 말 폭파해버린 시리아 유적도시 팔미라의 ‘벨 신전’을 찍은 위성사진이 공개됐다. 돌로 된 신전이 서 있던 자리는 흔적과 외곽의 벽만 남았다. IS의 무지막지한 유적 파괴로 ‘비옥한 초승달’이라 불리던 고대 문명의 유산들이 사라지고 있다. 유엔 직원들의 훈련기관인 유엔훈련연구기구(UNITAR)는 지난 31일 “팔미라 벨 신전의 주 건축물과 주변의 기둥들이 파괴됐다”면서 파괴된 후의 모습을 담은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이 기구가 운영하는 유엔위성사진운영프로그램(UNOSAT) 책임자 에이나르 뵤르고는 BBC에 “불행하게도 우리가 얻은 이미지들은 신전의 주 건물이 ..

[뉴스 깊이보기] IS의 ‘문명 살해’, 유적들 얼마나 사라졌나  

이슬람국가(IS)의 유적 말살은 언제까지 계속될까. 시리아의 유서 깊은 오아시스 도시 팔미라의 유적이 또 다시 파괴됐다. 문화재 지킴이로 이름 높았던 80대의 노학자를 처참히 살해하고 신전 폭파 장면을 공개한 데 이어, 30일 IS가 다시 팔미라의 신전을 폭파했다. 알자지라방송 등은 30일 팔미라의 문화재 보호단체들을 인용, IS가 또 다시 이 지역의 오래된 신전 일부를 폭발시켰다고 보도했다. 부서진 신전은 1세기 말에 지어진 벨 신전으로, 팔미라의 대표적인 유적 중 하나다. IS가 최근 부순 바알샤민 신전보다도 규모가 크다. 원래 바빌로니아의 신이던 벨을 모신 신전이 있던 자리에, 로마제국 황제인 티베리우스 통치 기간에 로마 신 주피터 신전으로 다시 축조됐다. 30톤 분량 폭약으로 신전 폭파 벨 신전은..

IS, 폭탄테러에 장난감 자동차도 동원?

이라크·시리아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가 원격 조작으로 움직이는 모형 자동차를 폭탄 테러에 이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일간 미러는 IS에 맞서 싸우고 있는 이라크와 시리아 쿠르드족 전사들의 말을 인용, IS가 통상의 차량폭탄테러 외에도 무선 자동차를 이용한 폭발물 공격을 저지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터키에서 들여온 오락용 자동차에 폭발물을 실어 원격 조종으로 터뜨리고 있다는 것이다. 스스로 “모로코의 엔지니어”라고 소개한 트위터 사용자 ‘마그레브의 목격자’(@maghrebiwnes)는 앞서 18일 IS가 이라크 쿠르드 자치정부 군대인 ‘페쉬메르가’를 공격하는 데에 쓴 것이라며 장난감처럼 보이는 원격 조종 자동차의 사진을 올렸다. 진짜로 IS의 공격에 쓰인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지..

“유대인에 집 내줘라” 이스라엘 요구에 맞서 농성하는 팔레스타인 주민  

팔레스타인인 압둘라 아부 나브의 집에는 며칠 째 이웃들과 친척들이 모여들어 천막을 치고 농성 아닌 농성을 벌이고 있다. 아부 나브가 사는 곳은 이스라엘이 무단 점령한 동예루살렘이다. 1948년 건국과 함께 예루살렘 서쪽 반토막을 차지한 이스라엘은 1967년 전쟁 때 유엔이 ‘팔레스타인 땅’으로 인정한 동예루살렘까지 불법 점령했다. 아부 나브의 집은 바로 그 동예루살렘에 있다. 이스라엘 정부는 점령지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내몰고 유대인들을 들여보내기 위해 정착촌 건설 작업을 하고 있다. 이름은 정착촌(settlement)이지만 실제론 아랍계를 강제로 내쫓고 유대인들에게 집과 땅을 주는 ‘점령촌’이다. 아부 나브와 가족 16명이 살고 있는 2채의 집들도 그 대상이 됐다. 최근 이스라엘 대법원은 8월 11일까..

[뉴스 깊이보기] 이란 핵 합의, 최대 수혜자는 중국과 러시아

이란 핵 합의가 발효돼 중동의 긴장이 낮아지는 건 세계 전체에 이득이다. 스스로 핵 보유국이면서 이란의 ‘핵 야욕’을 의심하고 군사공격론까지 들먹였던 이스라엘과 이란을 극도로 적대하는 수니 아랍권 맹주 사우디아라비아 정도가 극력 반대하고 있을 뿐, 국제사회는 대부분 ‘역사적인 핵 합의’를 환영하고 있다. 이란 무기시장 노리는 러시아는 ‘승자' 그 중에서도 수혜자로 꼽히는 것은 러시아와 중국이다. 특히 러시아는 이번 합의로 ‘가시적인 이득’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핵 협상 막판 쟁점은 사찰 문제도, 제재 해제 시점도 아닌 이란의 재래식 무기에 관한 것이었다. 이란은 탄도미사일 보유 등을 금지한 유엔 제재를 없애줄 것을 원했고, 러시아도 이란 편을 들었다. 서방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중 하나인 러..

타협과 절충, 마침내 완결된 이란 핵 합의

결국 타협이 이뤄졌다. 이란 핵 의혹을 해소할 포괄적 핵 협정이 최종 타결됐다. 벨기에 브뤼셀의 그리스 구제금융 합의가 완고한 채권자와 백기투항한 채무자 간의 ‘잔인한 협상’이었다면, 같은 시기에 이웃한 오스트리아 빈에서 이뤄진 이란 핵협상은 절충과 타협의 산물이었다. 13년 제재 ‘이란 핵’… ‘실리’로 풀었다 14일 오전 유엔본부가 있는 빈 인터내셔널센터에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교장관이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핵 합의 사실을 발표했다. 함께 선 파트너는 20개월에 걸쳐 지난한 협상을 해온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독일(P5+1)을 대표하는 페데리카 모게리니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였다. 두 사람은 이란 핵 ‘의혹시설 사찰’과 경제제재 해제의 절차·범위·시한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