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맘대로 세계사/동유럽 상상 여행 51

41. 베르사유의 분할과 독립국가 폴란드

41. 베르사유의 분할과 독립국가 폴란드 현대 유럽의 정치 지도가 그려진 것은 1차 대전에서 승리를 거둔 ‘연합국’ 진영의 세 나라, 즉 영국과 프랑스와 미국의 베르사유 회의(1919-21년)에서였습니다.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은 ‘14개조 평화원칙’에서 이것이 미국의 1차적인 참전 목표라고 선언했습니다. 윌슨의 선언은 ‘연합국’의 적인 ‘동맹국’ 내 억압받던 민족들의 민족적 열망을 고취시켰습니다. 이는 ‘동맹국’의 군사적 잠재력을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연합국’이 승전하는 데에 보탬이 됐고, 윌슨과 한 편에 섰던 나라들도 민족자결의 원칙을 베르사유 평화회담의 기본 전제로 모두 받아들였습니다. 우드로 윌슨의 '14개 조항' 베르사유조약 영어판(사진/위키피디아) 하지만 유럽의 승전국들은 민족국가라는 윌슨의..

40. 1차 세계대전 시기의 동유럽

40. 1차 세계대전 시기의 동유럽 7월 28일이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지 100년 되는 날입니다. 그래서 요즘 1차 대전에 대한 외신들을 종종 접하게 되네요. 유럽 사람들은 어떤 눈길로 100년 전의 전쟁을 되돌아보고 있을까요. 1차 대전. 세르비아계 청년 가브릴로 프린치프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계승자였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하면서 시작됐다고들 하지요. 전쟁을 불러온 '사라예보의 총성'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분분합니다만, 초간단 설명으로 요약하자면...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장차 물려받을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를 점령통치하고 있었고, 보스니아의 세르비아계는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자기네를 탄압한다며 독립국가인 세르비아와 합쳐서 자기네 민족의 나라를 만들고 싶어했고, 그래..

39. 지금부터 100년 전, 일촉즉발의 동유럽

39. 1914년의 동유럽 올해가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지 100년이 되는 해이지요. 유럽에서는 곳곳에서 전쟁의 교훈을 되새기는 행사가 벌어지는 모양입니다만... 지금부터 100년 전, 위기를 향해 치닫는 동유럽으로 가보겠습니다. 당시 독일 의회에서는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가 러시아와 밀착하는 데에 대한 반감이 갈수록 고조돼 폭발 직전에 와 있었습니다. 뭐니뭐니해도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반까지는 '세력균형'의 시대. 한참 국력이 커진 독일이 이제는 합스부르크와 러시아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하는 상황이 된 거죠. '철혈재상' 비스마르크도 이를 잘 알고 있었습니다. 비스마르크의 생각은 '저 둘이만 친해지면 우리가 외톨이가 되니, 아예 3각 균형을 잡자'는 것. 어쩐지 제갈량의 정(鼎)이 생각나는.....

38. 1912-1913년의 발칸 전쟁

벌써 올해도 반이나 지나갔어요. 에효... 올봄은 세월호 이후 슬프디 슬프게 흘러가고 어느새 초여름이네요. 이대로라면 이 연재를 대체 올해 안에 끝낼 수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암튼 다시 정신 가다듬고 정리해 올립니다. 38. 1912-1913년의 발칸 전쟁 오스만 투르크 '제국'이 유럽 열강에 갈갈이 찢겨나가고, 힘겹게 '근대'로의 변모를 이루며 '터키 공화국'을 향해가던 20세기 초반. 그 주축에 선 것은 케말 파샤가 이끄는 청년투르크였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내세운 '투르크 민족주의'는 제국의 폭넓은 틀 속에서 용인되던 '다민족 문화'를 뿌리부터 부정한 것이었습니다. 관용적인 제국이 협소한 투르크 민족주의로 향해간 것일 수도 있고, 열강에 맞선 투르크 엘리트들의 어쩔 수 없는 방어본능이라고도 할 수 ..

37. 1908-1914년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37. 1908-1914년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으흐흐... 기필코 올해 안에는 이 시리즈를 끝내겠다는 일념으로... 또다시 '간만에' 올립니다. 드뎌 1차 세계대전 전야로 넘어왔네요. 올해는 1차 대전 발발 10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그래서 여기저기서 1차 대전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사라예보에서 어느 나라 왕자가 총맞아 죽고 전쟁이 났는데 유럽이 다 끼어들어 아수라장이 됐다' 이 정도밖에 모르는 게 우리같은 보통 사람들... 학교 다닐 때 세계사 시간에 그 정도밖에 못 배웠다, 라고 일단 선생님께 책임을 넘기고~~ (그나마 그 시절엔 세계사 수업이라도 있었지만 지금은 학생들이 '십자군 전쟁도 못 들어보고' 대학에 들어간다죠 ㅠㅠ)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야금야금 오스만투르크의 땅을..

36. 1908년의 발칸

36. 1908년의 발칸 1860년대 서유럽의 영향을 받은 오스만 투르크 내 개혁파들이 전통적인 제국 운영방식과 술탄의 허울뿐인 개혁을 비판하며 민족주의 운동을 일으켰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술탄의 탄압을 받아 곧 해외로 추방됐습니다. 1902년 이들은 프랑스 파리에서 ‘청년투르크 Jön Türkler’라는 이름의 조직을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청년투르크 조직은 이내 두 파벌로 갈렸습니다. 한 쪽은 투르크족 중심으로 오스만 제국을 다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다른 한쪽은 제국 내 모든 신민(臣民)들이 민족에 따라 자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며 분권화를 주장했습니다. 파리에서 청년투르크가 정치토론을 하고 있을 동안 마케도니아에서는 투르크 장교들이 행동에 들어갔습니다. 제국 전역에 흩어져 있던 장교들은 테살로..

35. 19세기말~20세기, 마케도니아를 노린 동유럽 민족국가들의 분쟁

35. '마케도니아 문제' 1878년 회의와 1912-13년의 발칸 전쟁 사이에 발칸의 민족주의자들의 관심은 이른바 ‘마케도니아 문제 Macedonian Question’에 쏠려 있었습니다. 이는 베를린 회의에서 열강의 결정, 특히 마케도니아를 오스만 영토로 다시 내어준 데에 불만을 품은 불가리아, 그리스, 세르비아 세 나라 간 분쟁을 가리킵니다. 베를린에서 러시아는 산스테파노 조약에 따라 정해졌던 불가리아의 국경을 다시 그리도록 용인하고 마케도니아를 다시 오스만에 넘겼습니다. 불가리아는 자신들이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땅을 내어주고 영토가 크게 줄어드는 걸 봐야 했고, 세르비아인들은 1877-78년 러시아와 오스만의 전쟁 와중에 얻어낸 땅의 일부를 돌려주어야 했지요. '마케도니아 문제'가 무엇인지 알려..

34. 1878-1885년 발칸, 반 오스만 봉기와 열강들의 횡포

34. 1878-1885년의 발칸 1875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서 반 오스만 투르크 봉기가 일어나자 세르비아는 오스만의 종속에서 완전히 벗어나 영토를 늘릴 기회를 얻게 됐습니다. 반 오스만 봉기는 또한 유럽의 열강들이 이른바 ‘동유럽 문제 Eastern Question’에 본격적으로 손을 대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역사란 무엇인지... 지금까지도 '서유럽'은 '동유럽 문제'를 놓고 씨름하고 있는 형국이니. 최근 벌어진 우크라이나 시위 사태가 그런 예이지요. '유로마이단(유럽) 시위'라 이름붙은 이번 시위는 동유럽의 우크라이나를 서유럽(정확히 말하면 옛 동구권도 포함된 유럽연합)이 끌어당기고, 반대편에서 러시아가 붙잡으면서 벌어진 사달이거든요. 아무튼 오늘날의 유로마이단 시위에서, 140여년을 거슬..

33. 저물어가는 합스부르크, 헝가리와 '대타협'을 하다

33.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대타협(Austro-Hungarian Ausgleich) 유럽 민족주의의 부상에 따른 당연한 결과로, 봉건적인 합스부르크 치하의 오스트리아 제국에는 암운이 드리워졌습니다. 오스트리아는 1848-49년의 격변을 간신히 헤치고 나오기는 했지만 이 성공은 합스부르크가 민족주의자 그룹들을 이간하고 내분을 일으켜 간신히 얻어냈던 것이었습니다. 오스트리아는 다양한 민족들로 구성돼 있어, 반 제국 세력들이 단합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결국에 가서 봉건적인 제국을 밑바닥에서부터 흔든 것은 합스부르크 왕조 내 비 독일계 가신들의 반발이 아니라, 독일계의 민족주의였습니다. 19세기, '민족주의의 시대' 동유럽의 변화 1848-1849년 오스트리아 제국을 휩쓰는 혁명의 물결 자유주의-민족..

32. 1848-1849년 오스트리아 제국을 휩쓰는 혁명의 물결

32. 1848-1849년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일어난 혁명들 1848-49년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연달아 혁명이 일어납니다. 그 씨앗을 뿌린 것은 요제프2세 Joseph II (1780-90년 재위)였습니다. 요제프는 다른 유럽의 왕실들처럼 지리적으로 통일된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비엔나 중앙정부의 권력을 강화하는 조치들을 취했습니다. 그 중에는 독일어를 제국의 행정에 쓰이는 공식 언어로 만드는 것도 들어있었습니다. 이것이 제국 내 비독일계 국민들의 반작용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때는 바야흐로 '민족'의 시대... 민족을 구성하는 핵심 중의 하나가 바로 '언어'죠. 귀족들과 지식인들은 지방분권과 전통문화를 강조하며 반발했습니다. 요제프가 죽자마자 그가 취했던 조치들은 다시 무효로 돌아갔습니다. 오히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