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인샤알라, 중동이슬람

중동/이슬람 용어

딸기21 2011. 2. 14. 12:18
728x90
http://www.ttalgi21.com/islam/islamdic.htm 이후 업데이트 못하고 있는 것들, 추가로.



아부 abu 아버지라는 뜻이지만 ‘미스터’와 같이 남성들에 대한 경칭으로도 사용된다.
움 Umm 어머니를 뜻하는 아랍어이지만 ‘마담’처럼 여성들에 대한 경칭으로도 쓰임
암무 ammu·삼촌, 아저씨라는 뜻.
시티 sitti 주로 이집트에서 쓰이는 아랍어 방언으로 나이 든 여성, 할머니를 가리킴. 
하자 hajja 메카 순례(Haj)를 마친 여성에게 붙이는 경칭. 남성의 경우는 Haj(j)i.

다브카 dabka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등지에 널리 퍼져있는 아랍 전통 춤.

 
다브카 


아다브 adab 중동의 시문과 역사, 순문학 등 문학장르
미자나 mijana 팔레스타인 전통 시가(詩歌)의 일종
아타바 ataaba 아랍의 결혼식이나 축제에서 행해지는 전통 악극의 일종. 원래는 유목민인 베두인족의 만가(輓歌)였으나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팔레스타인 등으로 퍼졌다. 보통 솔로 가수가 악단의 연주에 맞춰 혼자 부르는 형식이다. 팔레스타인에서는 특히 여성들이 사랑의 슬픔 등을 담은 노래로 많이 부르곤 한다.
키타브 알 아가니 Kitab al-aghani ‘노래의 책’이라는 뜻. 오늘날의 이란 이스파한 태생인 문학가 아부 알 파라지 알 이스파하니 Abu Al-Faraj Al-Isfahani(897-967)가 고대로부터 전해오는 아랍의 시가(詩歌)를 집대성해 묶은 것이다. 세련된 문장과 1만 쪽 20권에 이르는 방대한 내용으로 해서 아랍 문화사의 정수로 꼽힌다. 

후무스 hummus 근동 지방에서 자라는 콩의 한 종류. 혹은 그 콩을 가지고 만든 요리.
물루키야 mulukhiya 이파리를 뜯어 먹는 채소의 한 종류. 혹은 이 채소를 재료로 만든 수프. 
샤와르마 shawarma 케밥처럼 꼬치에 꿰어 구운 아랍식 고기 요리.


 
치킨 샤와르마 


무라르 murrar 중동 지역에 자라는 야생초의 한 종류.
카타예프 qatayef 얇은 밀가루껍데기 속에 치즈나 땅콩 따위를 집어넣은 만두 모양의 과자. 주로 라마단 기간의 해진 뒤 만찬에 등장하는 아랍식 디저트.
쿠나파 kunafa 아랍식 과자. 디저트의 일종. 
페즈 fez 검은 술이 달린 터키식 모자.
나르길레 narghile 아랍식 물담배.

알 파르 al-Far
알 키트 al-Qitt 고양이
알 가말 al-Gamal 낙타
알 디브 al-Deeb 늑대
알 필 al-Feel 코끼리
알 아사드 al-Asad 사자
알 니므르 al-Nimr 호랑이 

알 파티하 al Fatihat 이슬람 경전인 꾸란의 첫 수라. 꾸란은 모두 114개의 수라(surah), 즉 장(章)들로 구성돼 있다. 알 파티하는 그 중 첫 장이라 해서 개경장(開經章)이라 불린다. 이 수라의 첫 구절은 “알라 외에 신은 없으며 나는 무하마드가 그의 선지자임을 믿는다”는 것이다. 모든 무슬림들은 이 구절을 암송하는 것으로 기도를 시작한다. 
비스밀라-아-아 Bismilla-a-ah 비스밀라는 bismillahirahmannirahim 의 줄임말. 꾸란의 첫 문장으로 ‘신의 이름으로 위대함과 영광이 있으라’는 뜻이다. 무슬림들은 식사 때나 도축을 할 때, 혹은 행사를 할 때에 이 말로 시작하곤 한다.


 
꾸란


미나레트 minaret 이슬람 사원의 네 귀퉁이에 세우는 첨탑. 예전에는 무에진 muezzin 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미나레트에 올라가 하루 5번 예배 시간을 주민들에게 알렸으나 지금은 확성기로 대신한다.
피아스타 piasta 터키·이집트 등지에서 쓰였던 옛 화폐단위. 
이드 Id 이슬람의 명절 축제를 가리키는 말. 
이드 알 피트르 'Id al-Fitr 이슬람 금식성월(禁食聖月)인 라마단 끝 사흘간 벌어지는 축제.
이드 알 아드하 'Id al-Adha 성지순례인 하지(haj)가 끝난 것을 기념해 열리는 희생제(犧牲祭). 
무에진 muezzin 이슬람 사원의 미나레트(minaret·첨탑)에 올라가 하루 다섯 번의 기도 시간을 알리는 사람. 
무프티 mufti 판례에 해당되는 종교적 결정(fatwa)을 내리는 이슬람 율법학자(법관). 

인티파다 intifada 이스라엘의 억압에 맞선 팔레스타인의 민중봉기를 가리키는 말. 여기서는 1987년 가자 지구 자발리아(Jabalya) 난민촌에서 이스라엘군 지프가 팔레스타인인 4명을 치어죽인 뒤 일어난 ‘1차 인티파다’를 가리킨다. 1993년까지 계속된 이 1차 인티파다는 야세르 아라파트와 PLO로 상징되는 ‘명망가 위주의 무장투쟁운동’에서 벗어나 팔레스타인에서 자생적으로 일어난 비무장 대중운동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2000년 말에는 이스라엘 극우파 정치인으로 뒤에 총리가 된 아리엘 샤론이 예루살렘의 이슬람 성지 알 아크사 모스크를 일부러 방문, 팔레스타인인들을 자극하면서 ‘2차 인티파다’가 일어나 몇 년간 계속됐다.

타흐리르 Tahrir 해방
페다인 Fedayeen 민병대

파타 Fatah 야세르 아라파트가 이끈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의 주축이 된 무장조직. 오슬로 평화협정으로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에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들어서자 정당 성격의 정치조직으로 변신, PA의 근간을 이루었다. 그러나 부패와 파벌싸움, 팔레스타인을 떠나지 않고 살아온 주민들과의 알력, 아라파트 개인의 명성에 의존하는 구조 등으로 인해 거센 반발에 부딪쳤다. 2006년 PA 총선에서 가자지구를 기반으로 한 무장정치조직 하마스가 승리를 거둬 정권을 잡자, 아라파트의 후계자로서 파타 세력을 대표하는 마흐무드 압바스 현 대통령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지원 속에 친위쿠데타를 일으켜 하마스 내각을 몰아냈다. 그 후 사실상 파타와 압바스 정권은 요르단강 서안 정권으로 축소됐으며 가자지구는 여전히 하마스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

민주전선 The Democratic Front for the Liberation of Palestine (DFLP) 팔레스타인해방민주전선. Al-Jabha al-Dimuqratiya Li-Tahrir Filastin. 팔레스타인의 청년 해방운동 조직.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내세운 세속주의 좌파 조직으로 1969년 좌파 게릴라조직인 팔레스타인인민해방전선(PFLP)에서 갈라져 나왔다.

타가무 당 Hizb al-Tagammu' 민족진보주의자당. 이집트의 좌파 정당.

바트당 Ba'ath 아랍 민족주의와 범 아랍주의를 내세우며 1940년 시리아에서 설립된 정당. ‘바트’는 부활, 부흥을 의미한다. 주변 아랍지역들로 퍼져나가 시리아와 이라크에서 집권당이 됐으나 이라크 바트당은 2003년 사담 후세인 정권이 무너지면서 해체됐고 시리아에는 여전히 남아 있다. 

무슬림형제단 al-Iikhwan al-Muslimun (Muslim Brotherhood) 1928년 이집트의 신학자 하산 알 반나가 창설한 이슬람 정치운동 조직.

 무슬림형제단의 로고


알 나크바 al Nakba 대재앙, 즉 이스라엘의 건국을 가리킴

바그다드 협정 Baghdad Pact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중재 하에 결성된 냉전 초기 중동의 친미 반공 안보조약. 1955년 터키 주도로 체결돼 이란, 이라크, 파키스탄, 영국 등이 가입했다. 중동에서 소련의 영향력을 차단하는 것이 목적이었고, 본부는 바그다드에 있었다. 1959년 이라크가 왕정이 무너지면서 탈퇴했고 미국이 준회원으로 대신 가입했다. 미국은 중앙조약기구(CENTO)라는 기구로 개편하고 터키로 본부를 옮겼다. 1979년 이란 혁명 뒤 해체됐다.

4차 중동전쟁 이스라엘은 유대교의 속죄일인 욤 키푸르(Yom Kippur)에 일어났다 해서 욤 키푸르 전쟁, 아랍 측은 라마단 금식성월에 일어났다 해서 라마단 전쟁이라고도 부른다. 1973년 10월 6일 시작돼 10월 26일까지 전투가 벌어졌다. 이집트와 시리아가 주축이 된 아랍연합군이 시나이 반도와 골란 고원을 기습하면서 일어났다. 이스라엘 남쪽의 시나이 반도는 이집트 땅, 북쪽의 골란 고원은 시리아 땅이지만 1967년의 3차 중동전쟁(일명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무력 점령했었다. 철저한 기습작전을 통해 아랍연합군이 초반 우세를 보였고 이집트는 시나이반도를 되찾았다. 시리아도 골란고원을 불법 점령한 이스라엘군을 몰아내는 데에 거의 성공했으나 이스라엘의 반격으로 땅을 되찾는 데에는 실패했다. 골란고원 반환 협상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미·소 양대 강대국의 중재로 정전협정이 맺어졌으나, 이 전쟁은 아랍 전역에 반 이스라엘·반 서방 분위기를 고조시켜 1차 오일쇼크를 불렀다. 

1919년 혁명 망명 운동가 사아드 자글룰(Saad Zaghlul)의 지도 아래 이집트와 수단인들이 영국 식민지배에 맞서 일으킨 혁명.

알-카라마 al-Karama 전투 1967년 전쟁에서 승리한 이스라엘군은 여세를 몰아 이듬해 3월 요르단 암만 근교 알-카라마 일대의 팔레스타인 난민촌을 공격했다. 하지만 수적으로 훨씬 열세였던 아라파트의 페다인(민병대)과 요르단 군대가 이스라엘군을 막아내는 데에 성공했다. 


 
알 카라마 전투


검은 9월 1970년 9월 요르단의 후세인 국왕은 친미노선으로 갈아타면서 난민촌을 근거지로 활동하는 팔레스타인 게릴라 토벌작전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게릴라·난민들과 요르단 군인 등 수천 명이 숨졌다. 이듬해까지 이어진 이 전투로 팔레스타인해방기구는 요르단에서 쫓겨나 레바논으로 이동해갔으며, 이후로는 레바논이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의 격전장이 됐다. 팔레스타인의 일부 과격세력은 ‘검은 9월단’을 만들어 1972년 독일 뮌헨 올림픽 때 이스라엘 선수단을 공격했다. 

텔 알 자타르 Tell al-Za‘tar 학살 1976년 8월 레바논 내전 시절 베이루트 북동쪽 팔레스타인 난민촌인 텔 알 자타르에서 벌어진 전투와 일련의 학살사건을 가리킴. 당시 텔 알 자타르에서는 기독교 우익 민병대인 팔랑헤와 타이거 민병대, 야세르 아라파트가 이끄는 PLO 무장병력, 팔레스타인 좌파 게릴라 등이 혼전을 벌이고 있었다. 그 해 초부터 유혈분쟁이 심해지자 시리아 군까지 개입하면서 긴장이 더욱 고조됐으며, 유엔 관할 하에 있던 난민촌은 며칠 간격으로 ‘점령자’가 바뀌는 상황이 이어졌다. 그 해 8월 12일 이스라엘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기독교 민병대가 난민 수만 명을 학살하는 비극이 벌어졌다. 사망자는 5만~6만 명으로 추정된다. 영국의 언론인 로버트 피스크는 훗날 저서에서 “아라파트는 대의명분을 위한 ‘순교자’를 원했던 아라파트가 일부러 도발해 학살을 사실상 유도했다”고 고발했다.

아랍연합공화국 United Arab Republic 범 아랍주의를 내세운 이집트의 나세르 대통령 주도로 잠시 세워졌던 이집트-시리아 연합국가. 1958년 2월 출범이 선포됐으나 61년 시리아에서 군사쿠데타가 일어난 뒤 해체됐다. 이집트는 1971년까지 이 이름을 사용하다가 결국 국호를 이집트아랍공화국으로 바꿨다.

A구역 요르단강 서안지구와 가자지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lestine Authority)가 관할하는 자치지역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스라엘이 A, B, C구역으로 나눠 극히 한정된 A구역만 PA가 직할하게 하고 나머지 지역에는 이스라엘군을 주둔시키고 있다. C구역의 경우 이스라엘군이 치안을 통제, 사실상 점령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예루살렘 지위 문제 현재 예루살렘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훗날의 독립국가의 수도로 삼으려 하는 동예루살렘과 이스라엘의 관할권인 서예루살렘으로 나뉘어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까지 불법 점령한 채 유대인 정착촌을 늘리면서 이스라엘 땅으로 병합하려고 한다. 이것이 이른바 ‘예루살렘 지위 문제’로, 이-팔 평화협상의 핵심 이슈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캠프 데이비드 Camp David 협정 미국 지미 카터 대통령의 중재로 미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1978년 벌어진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 수교 협상. 


 
캠프 데이비드에 모인 메나헴 베긴, 지미 카터, 안와르 사다트


사브라 Sabra와 샤틸라 Shatila 학살 레바논 내전이 한창이던 1982년 레바논 내 팔레스타인 난민촌인 사브라와 샤틸라에 기독교 민병대가 들이닥쳐 주로 여성, 노인, 어린이 등 3000여명을 학살한 사건.

팔라샤 falasha 에티오피아에 사는 햄족 유대교도. 스스로를 솔로몬 왕과 시바 여왕의 후손인 유대계 혈통으로 여긴다. 현대 이스라엘은 이를 이용, 이들을 모두 유대인으로 인종하고 이스라엘 국민으로 받아들여 인구를 늘리는 정책을 쓰고 있다.

브루클린 유대인 Brooklyn jews 미국 뉴욕 브루클린의 유대인 집단거주지역 주민을 가리키는 말.
728x90